• 제목/요약/키워드: Mitral regurgitation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3초

마판 증후군 소아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a Pediatric Patient with Marfan Syndrome)

  • 김경진;박소연;현홍근;신터전;김정욱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9-214
    • /
    • 2013
  • Multiple caries in a pediatric patient often requires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especially when the patient is suffering from a systemic disease. The patient was a 6-year-old boy with Marfan syndrome and needed extensive dental treatment. Marfan syndrome is an inherited disorder resulting from mutations in Fibrillin-1 gene. Patients are known to have mainly cardiovascular, ocular, and musculoskeletal problems. Although clinical symptoms of the syndrome are age-realted, thus hindering early diagnosis of the disease in young children, our patient had been confirmed by a gene study at a younger age.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 revealed moderate to severe mitral regurgitation and aortic root dilatation, which required mitral valve replacement surgery with a mechanical valve. As a result, the patient was taking warfarin post-operatively and changes in medication had to be made before the dental treatment. Also, prophyalctic antibiotics had to be given before the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o prevent the) infective endocarditis. With careful control of the medications and bleeding tendency, general anesthesia and the treatment were done successfully without any complications.

Serum Concentration of Nitrotyrosine as Indicator of Disease Progress in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Bang, Ju-Hwan;Park, Jun-Seok;Seo, Kyoung-Won;Song, Ku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2-105
    • /
    • 2019
  • Nitrotyrosine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severity of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 However, a correlation of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in dogs with MMVD and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has no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compared changes in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with the progression of MMVD. Nine client-owned dog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ogs were classifi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regurgitation using echocardiography into mild, moderate, or severe MMVD groups.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est.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80 days than at 0 day (P < 0.05). However,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at 360 days was lower than that at 180 days (P < 0.05).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at 540 days was lower than at 180 days (P < 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rum nitrotyrosine and left atrial to aortic root diameter ratio (LA/Ao ratio) (n = 33, $R^2=0.003$, P = 0.759). Also,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rum nitrotyrosine and vertebral heart score (VHS) (n = 33, $R^2=0.026$, P = 0.368) and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normalized for body weight by the formula (LVEDDN) (n = 33, $R^2=0.053$, P = 0.196).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ogression of MMVD is correlated with changes in serum nitrotyrosine concentration, which shows potential for use as a cardiac biomarker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the progression of disease in MMVD.

냉동절제 없이 시행한 Maze III 술식의 조기 결과 (Early Results of Maze III Operation Without Cryoablation)

  • 김형수;이원용;오동진;지현근;홍기우;두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55-261
    • /
    • 1999
  • 배경: 심방세동은 모든 부정맥중에서 가장 흔하고 승모판질환을 가진 환자의 79%를 차지한다. 이 연구에서는 승모판 수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심방세동이 냉동절제 없이 시행한 Maze 술식으로 제거되는지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에서 1998년 4월까지 승모판 질환과 심방세동이 있는 14명의 환자에서 냉동절제 없이 Maze III 술식을 시행하였다. 남자는 6례, 여자는 8례였고, 평균 나이는 46.2$\pm$10.7세 였다. 승모판막 협착증 11례, 그리고 승모판막 폐쇄부전 3례였다. 동반 질환으로 대동맥판막 질환 4례, 삼첨판막 폐쇄부전이 1례, 그리고 심방중격결손증이 2례였다. 경흉적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평균 크기는 54.7$\pm$5.3 mm였고, 좌심방내에서 혈전이 관찰된 경우는 2례였다. 수술후 심초음파 검사상 승모판막을 통과하는 혈류를 측정함으로써 초기 충전파의 최고 속도와 심방수축파의 최고 속도 사이의 비(A/E ratio)를 계산하였다. 수술은 대동맥판막 치환술 4례, DeVega 판륜성형술 1례, 그리고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2례를 동반하여 승모판막 치환술을 13례에서 시행하였고, 나머지 1례는 Maze III 술식만 시행하였다. 결과: 5례(38%)의 경우에서 일시적인 심방세동이 재발하였고, 수술후 평균 38.8$\pm$23.5일에 flecainide 또는 amiodarone의 투여로 정상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다. 수술후 합병증은 일시적인 접합부율동 6례, 일시적인 심방세동 5례, 출혈로 인한 재수술 3례, , 술후 심막절개증후군 1례, 편측 성대마비 1례, 정신증 1례, 그리고 심근경색이 1례였다. 수술후 A/E비는 0.43$\pm$0.22였고, A파가 9(64%)례에서 양성이었다. 수술후 3개월에서 14개월(평균 추적관찰, 8.1개월)동안 14례에서 모두 정상 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고, 9례(64%)에서 좌심방의 수축을 관찰할수 있었으며, 11례(79%)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다. 결론: Maze III 술식에서 냉동절제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에 효과적인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승모판막성형술 실패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 (Immediate Reoperation for Failed Mitral Valve Repair)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김욱성;이영탁;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29-936
    • /
    • 2003
  • 승모판성형술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승모판성형술 직후 성형술 실패로 판단되는 환자에서 즉시 시행한 재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세종병원에서 승모판성형술을 받은 환자 중 체외순환 이탈 직후 시행한 경식도초음파 검사에서 승모판막폐쇄부전 혹은 협착이 의미있게 잔존하거나 다른 이유로 재수술이 즉시 필요하였던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녀비는 5 : 13이었고 평균 연령은 44세였다. 승모판막 질환은 폐쇄부전 12명, 협착 3명, 그리고 혼합형이 3명이었다. 원인은 류머치스성 9명, 퇴행성 8명, 그리고 심내막염이 1명이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잔존 승모판폐쇄부전 13명, 협착 4명, 그리고 좌심실천공이 1명이었다. 14명(77.8%)에서 재성형술을, 4명에서는 인공기계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없었다. 조기결과는 승모판막치환을 한 4명을 제외한 14명 중 13명(92.9%)에서 0-I도의 폐쇄부전을 보였고 협착은 14명 모두 경도 이하 상태였다. 평균 33개월을 추적조사 한 결과 1명이 술 후 4개월 후 심기능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승모판폐쇄부전은 9명(64.3%)에서 0-I도를, 승모판협착은 11명(78.6%)에서 경도 이하였고 재수술은 1명에서 시행되었다. 6년 생존율과 재수술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94%와 90%였다. 4년 후 승모판폐쇄부전 및 협착 재발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56%와44%였다. 결론: 승모판막성형술 직후 재수술은 양호한 조기 및 중기 생존율을 보이며 일차성형술 실패 후에도 높은 빈도에서 재성형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재성형술 시 특히 류머치스성 판막질환에서는 판막 기능부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성형술 후 판막부전의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형술의 적절한 적용 및 적응증 선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7명의 환자에서는 완전 방실전도차단이 발생하였고, 이 중 6명의 환자에서 영구 인공심박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였다. 걸론: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은 낮은 사망률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가장 많았다. 방실판막구조물의 기형이 동반된 경우 재수술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술후 좌심실유출로협착여부가 재수술의 위험인자였으므로 좌측 방실판막 및 좌심실 유출로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좌심실유출로협착은 발생시 대동맥하부의 조직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재발 가능성이 크고, 필요시 수정 Konno수술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방실전도차단은 초기시행단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심장 전도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와 경험축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6주째까지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분변 중 카드뮴 함량은 C4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C3군과 C4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째에 카드뮴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가 6주 이후에 다시 카드뮴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erefore the guidelines for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al education to improve their iron status should be provi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량이

정상 및 퇴행성이첨판 질환이 있는 개에서 조직도플러를 통한 좌심실 Tei index의 평가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Tei Index in the Normal Dogs and Dogs with Mitral Valve Degenerative Disease)

  • 이인;이정우;최수영;한우석;이기자;이영원;최호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2-167
    • /
    • 2015
  • 좌심실의 용적과부하와 심할 경우 심근 기능부전을 일으키는 질병에서 Tei index는 심근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비교적 측정이 쉽고 재현율이 양호하다고 보고된 심초음파 측정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퇴행성 이첨판 질환이 있는 개에서 조직도플러와 펄스파 도플러를 통해 Tei index 값을 측정하고, 다른 초음파평가지표와 비교평가하였다. 정상 개에서 Tei index 측정을 위해 심혈관계에 이상이 없는 13마리의 비글견을 사용하였으며, 이첨판 역류를 진단받은 환자 31마리를 환자군으로 하여 각각의 환자는 임상증상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대부분의 측정항목들이 좋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Tei index의 경우 조직도플러를 통한 Tei index가 펄스파 도플러에 비해 좀 더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정상 개에서 Tei index는 조직도 플러의 심실외벽과 중격에서 각각 $0.58{\pm}0.07$, $0.60{\pm}0.07$로 측정되었다. 조직도플러 검사 결과 중격과 좌심실벽 지점간에는 Tei index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펄스파도플러를 통해 측정한 Tei index는 조직도플러를 통해 측정한 Tei index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게 측정되었다. 정상 및 퇴행성이첨판 질환이 있는 환자군에서 Tei index는 두 가지 측정 방식 모두에서 이첨판 역류의 임상증상에 따라 그룹별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eiindex는 이첨판 역류가 있는 개에서 좌심실 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유용한 검사 요소로 생각된다.

개심술 후에 발생한 급성 복부 대동맥 차단 -1예 보고- (Acute Abdominal Aortic Occlusion after Open Heart Surgery - A case report -)

  • 한원경;조준용;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10-713
    • /
    • 2005
  • 급성복부대동맥 폐쇄는 드물지만, 응급을 요하며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이는 혈관질환이다. 늦은 진단은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승모판 협착, 심방세동, 관상동맥협착, 삼첨판 역류 및 심방중격결손으로 인한 개심슬을 받은 60세 여자가 술 후 13일에 하지의 감각이상, 마비,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배꼽 아래부터 발끝에 이르는 피부가 얼룩덜룩하였으며 하지의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다중 검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급성 복부 대동맥 폐쇄를 진단하고, 응급 혈색전 제거 및 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심마비액을 사용하지 않은 수술방법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with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 서동만;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76-281
    • /
    • 1993
  • During the 3 years through December 1992, 118 cases of coronary bypass graft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They consisted of 80 males and 38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59.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was noted in 23 cases[20%], congestive heart failure in 11[10%], left ventricular aneurysm in 6, postinfarct VSD in 2, and mitral regurgitation in 1. The angina was stable in 13 cases, and unstable in 104 cases[89%]. Left main stem disease were 41 cases[35%], triple vessel 36[31%], double vessel 30[26%] and single vessel involvement[LAD] in 10. We performed 335 distal bypasses out of 117 cases, with single bypass in 9, double 29, triple 52, quadruple 23, and quintuple 4. Myocardial protections were cardioplegia in 29 and 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79 and continuous aortic perfusion 7. The ischemic time per graft was 13 minutes[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group] and 20 minutes [cardioplegia group] respectively, and the mean number of graft per patient is 2.85. Early mortality was 6.8% [8/117]. If we exclude the patients with LV aneurysm, the surgical mortality could be downed to 4.5% [5/111]. The causes of deaths were cardiogenic shock[6], aortic dissection[1], and neurologic complication[1]. We conclude that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may be equally beneficial or sometimes advantageous to cardioplegic technique in aortocoronary bypass graft surgery.

  • PDF

심내막상 결손증에 대한 임상고 (Clinical study of endocardial cushion defect: 37 cases report)

  • 조재일;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57-665
    • /
    • 1984
  • Thirty-seven patients had undergone repair of a endocardial cushion defect between 1977 and Aug. 1983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wenty eight had a partial defect, one intermediate defect and eight complete endocardial cushion defect. Tricuspid cleft was found in 4 cases and mitral cleft was in all p-ECD. Seven patients were of type C anatomy in c-ECD. Four patients had associated major anomalies, including three TOF in c-ECD, one coarctation in p- ECD. In p-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patch in all cases and the atrioventricular valvular insufficiency was corrected with MVR in 4 cases, TVR in 1 case and simple interrupted sutures in remainders. In c-ECD patients the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single patch except one case. The atrioventricular valve was repaired with simple interrupted sutures except one MVR and TVR cas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14.2% in p-ECD, 44.4% in c-ECD, but recent 3 years [1980-1983] mortality was 8.7% in p-ECD, 20% in c-ECD. More than grade III systolic regurgitant murmur was oted postoperatively in 4 cases of c-ECD and 3 cases of p-ECD. The operative risk factors were preoperative NYHA classification, cyanosis, Rp/Rs, systolic pressure of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degree of regurgitation of atrioventricular valves. The causes of death were low cardiac output syndromes, pulmonary complications and arrhythmias.

  • PDF

대동맥교약증의 임상연구 (Surgical Management of Coarctation of Aorta)

  • 김훈;강면식;홍유선;조범구;홍승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59-66
    • /
    • 1989
  • Coarctation of aorta, a well known congenital cardiovascular defect, can be recognized in the most instances by simple finding of physical examination. This condition shortens life if untreated, but it can be corrected surgically to render the patient functionally normal. It seems relatively rare in Asian. During Six-Year period from January, 1982 through June, 1988, twenty four consecutive operations for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were performed at Yonsei Medical Center. The patients included 14 males and 10 females in the range, 2 months and 34 years old.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patient ductus arteriosus, ventricular septal defect, mitral valve regurgitation, aortic stenosis,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corrected transposition of great vessel, etc. The preoperative main symptoms were frequent URI and dyspnea. Congestive heart failure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t the group younger than 2 year olds. Operative techniques for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were prosthetic patch aortoplasty in 18 patients, resection & vascular graft interposition in 4, resection and end to-end anastomosis in 2. There was no operative death. Four patients had persistent or paradoxical hypertension, and one had postoperative paraplegia.

  • PDF

Open Surgical Repair Using the Femoral Vein for a Mycotic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

  • Namkoong, Min;Hong, Seok Beom;Kim, Hwan Wook;Jo, Keon Hyon;Kim, Jang Y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3호
    • /
    • pp.209-212
    • /
    • 2018
  •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aneurysms are rare and often fatal. A 72-year-old man had previously been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epigastric pain and heart murmur. The echocardiographic diagnosis was vegetation on the aortic and mitral valves, with moderate regurgitation from both valves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No aneurysm was detected 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emergency double-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On postoperative day 25, the patient experienced abrupt abdominal pain,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ycotic SMA aneurysm. Open surgical repair of the SMA aneurysm was performed using the femoral vein, and the patient'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