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es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33초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공간분포 분석과 표본조사법 개발 (Spatial Distribution and Sampling Plan for Pink Citrus Rust Mite,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idae) in Citrus Orchard)

  • 송정흡;홍순영;이신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91-97
    • /
    • 2012
  • 온주밀감에서 귤녹응애, Aculops pelekassi의 분산지수와 분포양상, 표본조사시 적정 표본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귤녹응애는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분산지수는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Taylor's power law의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열매 표면 $cm^2$당 누적충수에 따라 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표본조사법을 만들었다. 경제적인 표본조사를 위하여 Kono-sugino의 경험적 이항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항모델을 이용하면 귤녹응애가 $cm^2$당 12마리 이상 발생한 열매 비율을 이용하여 평균밀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 $ln(m)=4.61+1.23ln[-ln(1-p_{12})]$. 최적의 tally threshold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정평균에 대한 분산을 계산한 결과 tally threshold가 12일 때 추정평균의 분산이 적었으며, 발생과율 0.1~0.5의 범위에서 분산의 변동이 거의 없어 다른 tally threshold에 비해 높은 정확도로 평균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적정 표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층표본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고정 정확도 0.25수준에서 감귤원당 적정 조사 나무수는 13주였으며, 나무당 조사 열매수는 5개, 열매당 2지점에서 $cm^2$당 귤녹응애수 조사가 바람직하였다(총 130표본).

시설재배 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 (Control Efficacy of Natural Enemies on Four Arthropod Pests found in Greenhouse Hot Pepper)

  •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박은미;강은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3-90
    • /
    • 2012
  •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660 $m^2$의 면적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은 3포트의 진디벌-뱅커플랜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m^2$당 4월16일 0.8 마리와 4월 23일 2.3 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을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5월 11일과 6월 12일 $m^2$당 총 3.0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 동안 총채벌레 밀도를 꽃 당 0.3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11일과 5월 30일 $m^2$당 총 113.7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동안 담배가루 이 밀도를 트랩 당 171.0마리 이내, 차응애 밀도는 잎 당 0.8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방사 12일 후에 완전방제 되었다. 4종 해충의 방제에 소요된 천적사용 비용은 660 $m^2$당 42만원이었다.

오이에 피해를 주는 오이긴털가루응애(신칭), Tyrophagus neiswanderi 보고 (Report on Tyrophagus neiswanderi (Acari: Acaridae) as a Pest of Greenhouse Cucumber in Korea)

  • 김형환;김동환;양창열;강택준;정재아;이종호;전성욱;송진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1-495
    • /
    • 2014
  • 무농약 시설재배 오이에서 잎, 꽃 및 과실을 가해하던 응애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오이긴털가루응애(Tyrophagus neiswanderi)로 동정되었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분류학상 응애목(Acarina) 가루응애과(Astigmat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는 유백색의 계란형을 띄고 체장은 $490.1{\mu}m$, 체폭은 $288.1{\mu}m$의 매우 작은 응애이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잎, 꽃, 과실에 모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증상은 정식 초기 유묘의 경우 신초가 수축되면서 연노란색으로 탈색이 되고, 심하면 신초가 멎는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오이가 생육을 하는 과정에서 잎이 피해를 받으면 처음에는 오이잎에 흰색의 반점이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점에 구멍이 나고 찢어진다. 꽃에서도 흰색 반점과 찢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실에서는 어린 과실일 때 피해를 받으면 과실의 비대가 저해되거나 기형과가 나타나며, 과실이 비대하더라도 코르크증상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Monoclonal antibodies to recombinant Der p2, a major house dust mite allergen: specificity, epitop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wo-site capture ELISA

  • Yong, Tai-Soon;Lee, Sang-Mi;Park, Gab-Man;Lee, In-Yong;Ree, Han-Il;Kim, Kyung-Sup;Oh, Sang-Hwan;Park, Jung-Won;Hong, Chein-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3호
    • /
    • pp.163-169
    • /
    • 1999
  • House dust mite allergens have been well established as sensitizing agents that are important in the induction of allergic diseases. In order to analyze epitopes of the allergen and to develop a quantitative method of the allergen exposur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a recombinant Der p 2 (rDer p 2), one of the major allergens of Dermatophogoides pteronyssinus, were produce. Four monoclonal antibodies produced wee species-specific and did not cross-react to the D. farinae crude extract. Two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were found to be IgG1 and the others were IgM. For the analysis of epitopes, a Der p 2 cDNA encoding 126 amino acids (aa) was dissected into three fragments with several overlapping peptides, A (aa residues 1-49), B (44-93), and C fragment (84-126). Three monoclonal antibodies showed reactivities to the recombinant B fragment and to the full-length rDer p 2, but one monoclonal antibody reacted only with the full-length rDer p 2. Two-site capture ELISA was developed using two different monoclonal antibodies for quantitating Der p2 in house dust. The sensitivity limit was 4ng/ml with rDer p2 and $8{\;}\mu\textrm{g}/ml$ with the d. pteronyssinus crude extrac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rDer p2 could be useful for the environmental studies a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mite allergen extracts.

  • PDF

금강에 서식하는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Black Bullhead,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 from Kum River, Korea)

  • 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8
  • 한국 고유종인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인공종묘 생산과 자원 증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눈동자개의 수정난은 점액 물질이 두텁고 단막 표면위에 방사상의 주름무늬가 있어 특징을 보였다. 난은 구형으로 직경이 $2.59{\pm}0.08$(2.45~2.70, n=10)mm 이었으며 유구는 없다. 수용 $21{\sim}23^{\circ}C$에서 수정 후 첫 번째 난할은 수정 2시간 후에 시작되었으며 이어지는 난할은 약 30분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난할 중 특징으로는 난황 표면이 굴곡하는 운동으로 상실기에서 낭배기 끝까지 관찰되었다. 부화는 수정 후 72시간에 시작하여 90시간에 완료되었으며 부화 자어는 전장 5.41~5.81mm, 항문앞 거리 2.76~2.94mm이었고 근절수는 15~16+33~34(48~50)이었다. 부화 1주 후의 자어는 수염과 부레가 완성되었고 제2등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가 형성되었으며, 크기는 전장 9.67~10.52mm, 항문앞거리 5.20~5.65mm 이었다. 부화 2주 후의 자어는 모든 지느러미와 반문이 완성되었고 점액이 분비되며, 크기는 체장 14.59~16.02mm, 두장 3.31~4.16mm, 항문앞거리 8.07~9.31mm 이었다.

  • PDF

전북지역 쯔쯔가무시증 발생과 기후요소의 상호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crub Typhus Outbreak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Jeollabuk-do Province)

  • 강공언;마창진;오경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52
    • /
    • 2016
  • Objectives: Scrub typhu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vector-borne diseases. It is caused by Orientia tsutsugamushi, which is transmitted when people are bitten by infected chigger mites. This study aims at quant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Jeollabuk-do Province over the period 2001-2015. Methods: Reported cases of scrub typhus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the Disease Web Statistical System suppor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Simultaneous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temperature, rainfall, relative humidity, and sunshine dur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the National Climate Data Service System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and meteorological factors. Results: The general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Jeollabuk-do Province were similar to those nationwide for sex, ag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However, the annual incidence rate (i.e., cases per 100,000) of scrub typhus in Jeollabuk-do Province was approximately four times higher than all Korea's 0.9. The number of total cases was the highest proportion at 13.3% in Jeonbuk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Korea.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nnual cases of scrub typhus and monthly data for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late spring and summer, especially in the case of temperature in May and June.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termining factors in the regression equation explaining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reached 46.2% and 43.5% in May and June.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each 1oC rise in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in May or June may lead to an increase of 38 patients with scrub typhus compared to the annual mean of incidence cases in Jeollabuk-do Province. Conclusion: The result of our novel attempts provided rational evidence that meteorologic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crub typhus in Jeollabuk-do. It should therefore be necessary to observe the trends and predict patterns of scrub typhus transmission in relation to global-scale climate change. Also, action is urgently needed in all areas, especially critical regions, toward taking steps to come up with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crub typhus transmission.

Chorioptes texanus에 자연감염된 국내사육 젖소에 대한 Eprinomectin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Eprinomectin against Chorioptes texanus in Naturally Infected Dairy Cows Reared in Korea)

  • 허태영;강석진;정영훈;최창용;류일선;손동수;강태영;신성식;손창호;김홍집;서국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0-456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topical eprinomectin (0.5% pour-on solution, $Eprinex^{(R)}$, Merial) against Chorioptes texanus (C texanus) infestation in dairy cows reared in Korea. Dairy cows naturally infected with C texanus showed skin lesions as alopecia, erythema, excoriations and crusts on the tail head, the caudal folds, the back of udder and the rump area. Fourteen adult Holstein dairy cows with chorioptic mange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gross lesion and microscopic examination. Experimental dairy cows infected with chorioptic mange were treated with eprinomectin ($Eprinex^{(R)}$, Merial, France) at the rate of 1 ml /10 kg/BW.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 is based on mite counts and gross lesion at weekly interval for 6 weeks. Milk yields were measured every day and calculate at the mean of milk yield at weekly interval. Mange mites absolutely removed after 1 week of topical eprinomectin against C. texanus infestation on dairy cows. The skin lesion of dairy cows infested with C. texanus recovered normal status after 6 weeks of eprinomectin treatment. After eprinomectin treatment, return to the normal level of milk yields in diary cows infested with C. texanus has indirectly indicated that C. texanus infestation have negative effect on productivity of dairy farm. However,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and the effective control method of C. texanus infestation of dairy farms in Korea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Serosurveillance of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near the DMZ, Northern Gyeonggi-do, Korea, and Analysis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Chiggers from Mammals Examined

  • Kim, Heung-Chul;Lee, In-Yong;Chong, Sung-Tae;Richards, Allen L.;Gu, Se-Hun;Song, Jin-Won;Lee, John S.;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237-243
    • /
    • 2010
  • Comprehensive quarterly serosurveillance on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loc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OK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rodent-borne and associated ectoparasite disease risks to military personnel. A total of 1,196 rodents and insectivores representing 8 species, Apodemus agrarius (87.3%, n = 1,044), Mus musculus (5.4%, n = 65), Crocidura lasiura (3.3%, n = 40), Microtus fortis (2.6%, n = 31), Micromys minutus (0.3%, n = 4), Tscherskia triton (0.3%, n = 4), Rattus norvegicus (0.3%, n = 4), and Myodes regulus (0.3%, n = 4) were assay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antibodies were detected in 6 of 8 species and seroprevalence determined; A. agrarius (45.6%), M. musculus (23.1%), M. fortis (48.4%), M. minutus (50.0%), T. triton (50.0%), and R. norvegicus (25.0%). A total of 31,184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508 rodents and insectivores were slide-mounted and 10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Leptotrombidium pallidum (53.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followed by L. pal pale (15.7%), Neotrombicula tam/yai (14.3%), L. orientate (10.7%), L. zetum (3.1%), Walchia fragilis (2.1%), and L. gemiticutum (0.8%), while the remaining 3 species, L subintennedium, N. gardellai, and Euschoengastia koreaensis were rarely observed (prevalence < 10%). In contrast to previous surveys, higher chigger indices of the primary scrub typhus vectors, L. pallidum (165.4), L. orientale (45.0), and L. palpate (21.4), were observed during the spring season.

쯔쯔가무시병 다발생지역과 저발생지역간의 매개/숙주동물의 역학적 비교조사 (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ies on vector/reservoir animals of tsutsugamushi disease between high and low endemic areas in Korea)

  • 이한일;조민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27-36
    • /
    • 1995
  • 쭈쭈가무시병 환자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남해안 연안지역과 유병률이 낮은 동해안 연안 지역에서 매개 진드기 및 들쥐와 연관되는 제반 역학적 비교조사를 1993년 10월에 실시하였다 채집된 6 종의 들쥐(187개체) 중 등줄쥐(Apodemugrwin)가 양지역에서 모두 절대 우점종이었고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다(트랩 채집률 각각 20.4%, 19.4%). 국내 매개종으로 확인된 Leptotrombidiumpalldum과 L. sueuare는 모두 채집된 6종의 들쥐중 등줄쥐에 주로 기생하였는데, 두당 각각 59마리와 69마리가 기생하고 있었다 등줄쥐의 Rickettsia tsutsugamushi, 병원체에 대한 항체 양성률은 남해안 43.2% 동해안 63.6%로 동해안 지역에서 약간 높게 나타나 환자 발생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역에 관계없이 등줄쥐의 감염률(항체 양성률)과 매개종인 L. suteuure와 L. poninw의 개체군 밀도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87). 이와같은 사실은 들쥐에 대한 양종의 매개 효율성(vectorefacacy)이 똑같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지역간의 가장 중요한 역학적 차이는 매개종으로. 남해안 지역에서는 L. sueuore가 절대 우점종(74.9%)인 반면 에 동해안 지역에서는 L. pallidum이 절대 우점종(60.4%)이었다. 두종의 개체군 밀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지역이 불충분하여 확실하게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L. sueuqre의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환자 유병률도 높게 나타나 L. sueuare가 인체에 대한 매개효율성(vectorefacacy)이 L. pallidum보다 월등하게 높은 중요한 매개종이라 생각된다.

  • PDF

감귤원에 발생하는 귤응애에 대한 3종 이리응애의 포식량 비교 (Comparison of Predation Rates of Three Phytoseiid Mite Species on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on Citrus Tree)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정순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60
    • /
    • 2002
  •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25^{\circ}C$,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25^{\circ}C$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