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ies on vector/reservoir animals of tsutsugamushi disease between high and low endemic areas in Korea

쯔쯔가무시병 다발생지역과 저발생지역간의 매개/숙주동물의 역학적 비교조사

  • 이한일 (연세대학교 열대의학연구소) ;
  • 조민기 (연세대학교 열대의학연구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ies on vector reservoir animals of tsutsugamushi disease were carried out in between south coast (the highest endemic) areas and east coast flow endemicl areas in October 1993. Fauna of field rodents and their population densiti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areas. Antibody positive rate of Apodemus agrarius sera was higher in east coast (43.2% in south coast and 63.6% in east coast). High correlation (r = 0.87) was shown between antibody positive rate of A. osrwiur sera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vector mites (Leptotrombidium scutellare and 1. pnllidunl). L. scutellare was predominant in south coast, showing 110.6 chigger index (74.9% of the total chiggersl , whereas L. pcllidum was predominant in east coast, showing 126.3 chigger index (60.4% of the total). As higher population density of 1. scutellare was found in south coast where the prevalence rate of tsutsugamushi disease is the highest, it is believed that L. scutellare is more important vector species than L. pallidum which may result from more frequent vector-human contact.

쭈쭈가무시병 환자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남해안 연안지역과 유병률이 낮은 동해안 연안 지역에서 매개 진드기 및 들쥐와 연관되는 제반 역학적 비교조사를 1993년 10월에 실시하였다 채집된 6 종의 들쥐(187개체) 중 등줄쥐(Apodemugrwin)가 양지역에서 모두 절대 우점종이었고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다(트랩 채집률 각각 20.4%, 19.4%). 국내 매개종으로 확인된 Leptotrombidiumpalldum과 L. sueuare는 모두 채집된 6종의 들쥐중 등줄쥐에 주로 기생하였는데, 두당 각각 59마리와 69마리가 기생하고 있었다 등줄쥐의 Rickettsia tsutsugamushi, 병원체에 대한 항체 양성률은 남해안 43.2% 동해안 63.6%로 동해안 지역에서 약간 높게 나타나 환자 발생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역에 관계없이 등줄쥐의 감염률(항체 양성률)과 매개종인 L. suteuure와 L. poninw의 개체군 밀도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87). 이와같은 사실은 들쥐에 대한 양종의 매개 효율성(vectorefacacy)이 똑같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지역간의 가장 중요한 역학적 차이는 매개종으로. 남해안 지역에서는 L. sueuore가 절대 우점종(74.9%)인 반면 에 동해안 지역에서는 L. pallidum이 절대 우점종(60.4%)이었다. 두종의 개체군 밀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지역이 불충분하여 확실하게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L. sueuqre의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환자 유병률도 높게 나타나 L. sueuare가 인체에 대한 매개효율성(vectorefacacy)이 L. pallidum보다 월등하게 높은 중요한 매개종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