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utgaru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당뇨의 식·의약 치료를 위한 약선 미숫가루의 동, 서 식품학적 효능 분석 (Oriental and Western Food Effects Analysis of Misutgaru for Fusion Remedy in Diabetes Mellitus)

  • 박성혜;차경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37-143
    • /
    • 2016
  • 본 연구는 쥐눈이콩을 주재료로 하는 당뇨의 식이요법에 활용할 수 있는 간편 편이식을 개발하고자 계획하였고 그 첫 단계로 고처방을 기초로 하여 미숫가루를 고안하였다. 동양의 기미론을 기본으로 그 효능을 분석하고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한 후 동 서 식품영양학적으로 그 효능을 비교, 고찰하여 당뇨의 식 의약 치료에 있어 활용가치를 판단해 보았다. 본 연구는 식품을 기미론(氣味論)적으로 분석하여 약선식료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동시에 식품영양분야에서 식품효능 접근 방법과 원활한 접목을 위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향후 식품의 효능이나 섭취방안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여 식품 효능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어 동양에서 바라보는 식품의 섭취효능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자들은 본 연구에서 고안한 미숫가루의 보간익신(補肝益腎) 효능을 객관적으로 판단해 보고자 임상실험을 진행하여 당뇨의 식 의약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계속적으로 연구 보고하고자 한다.

LC-MS/MS를 이용한 곡류가공품의 제랄레논 분석과 측정불확도 추정 (Analysis and Uncertainty Estimation of Zearalenone in Cereal-Based Products by LC-MS/MS)

  • 최은정;강성태;정소영;신재민;장민수;이상미;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58-665
    • /
    • 2012
  • 본 연구는 시중 유통되고 있는 곡류가공품 중 zearalenone을 immunoaffinity column 및 LC-MS/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의 검량선은 1, 10, 50, 100, 250 ng/mL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r^2$) 0.999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3, $1.0{\mu}g/kg$이었다. 회수율은 77.2-107.8%였고, RSD는 1.5-12.8이었다. Product ion 283 m/z으로 정량하여 분석한 결과 과자류 21건 중 1건(4.8%) $2.3{\mu}g/kg$, 옥수수가공품 9건 중 2건(22.2%) $1.6-8.5{\mu}g/kg$, 기타곡류가공품 14건 중 선식 1건(7.1%)에서 $3.4{\mu}g/kg$이 검출되었다. 미숫가루가 19건 중 6건(31.6%)이 검출되어, 최고 검출율을 나타냈으며, $1.1-29.7{\mu}g/kg$의 검출농도를 나타내어 다른 곡류가공품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총 시료 89건 중 10건에서 제랄레논이 검출되어 11.2%의 검출율을 보였고, 오염수준은 $1.1-29.7{\mu}g/kg$이었다. 검출시료 12건은 product ion 187 m/z으로 모두 제랄레논임을 확인하였다. 제랄레논을 측정하는 과정 중 불확도 인자를 파악하여 측정 불확도를 추정 한 결과 41.7, $166.7{\mu}g/kg$일때 보리차는 각각 $44.9{\pm}5.0{\mu}g/kg$(95% 신뢰수준 약 k=2), $128.7{\pm}7.9{\mu}g/kg$(95% 신뢰수준 약 k=2), 미숫가루는 각각 $30.7{\pm}5.8{\mu}g/kg$(95% 신뢰수준 약 k=2), $173.7{\pm}14.9{\mu}g/kg$(95% 신뢰수준 k=2.26), 과자는 $37.2{\pm}7.4{\mu}g/kg$(95% 신뢰수준 k=2.31), $151.0{\pm}10.4{\mu}g/kg$(95% 신뢰수준 약 k=2)를 나타내었다.

한국 전통 음료의 소비자 기호도 분석 - 한국·중국·베트남 어린이 대상 - (Drivers for Liking Korean Traditional Drinks - By Korean, Chinese, and Vietnamese Children -)

  • 이솔지;정라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3-14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five traditional Korean drink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of children aged 7-12 in Korea, Vietnam, and China. The samples used in a sensory test were omija-cha, yuza-cha, sujeonggwa, sikhye and misutgaru. Th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verall, appearance (color), odor, taste and mouth-feeling and a sweetness intensity using 5 point hedonic scale (1=dislike extremely, 5=like extremely) and, check-all-that-apply (CATA) method was performed to determine preference and non-preferences factors. The preference of all samples except sujeonggw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p<0.001). Almost items of the preference was rated more than 4 points in Chinese and Korea children. The sweetness intensity showed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except sujeonggwa (p<0.001), and evaluated as not sweet-appropriate with the score between 2 and 3 points. Sweetness, color, mouth-feeling, familiar flavor and healthy feeling was selected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termine the preferences and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traditional Korean drinks in children of Korea, Vietnam, and China.

경북 지역 종가(宗家)의 다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Dasik's Recipe of Jong-Ga (Head Family) in Gyeongbuk Area)

  • 박모라;김보람;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5-33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Dasik's recipe of Jong-Ga in the Gyeongbuk area. Main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To study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raditional Dasik, analysis of 11 cooking books from the 1400's to 1800's was carried out. Jong-Ga was made using Dasik and main ingredients were Songhwa, Kka and Kong Dasik. Special Dasik was in nine of Jong-Ga (Ipjae's head family of Pungyang Jo's clan, Sojea head family Gwangju No's clan, Sawoodang head family Uiseong Kim's clan, Heobaekdang's head family of Bukye Hong's clan, Taechon's head family of Gyeseong Go's clan, Gwiam's head family of Gwangju Lee's clan, Songdang's head family of Milyang Park's clan, Haeweol's head family of Pyeonghae Hwang's clan, Galyam's head family of Jaeryoung Lee's clan) and Dasik are Gamphi dasik, Heukimja dasik, Baksulgi dasik, Tibap dasik, Daechu dasik, Yukpo dasik, Misutgaru dasik, Dotori dasik and Omija Dasik. It was used as a ritual food and reception food for guests. These recipes are good examples of functional and modern of Korean food. In the future, Dasik as well as discovery of ingredients in other foods of Jong-Ga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