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ng Teeth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IN KOREAN CHILDREN)

  • 김현진;현홍근;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96
    • /
    • 2010
  • 많은 연구에서, 유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에는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하악 전치부에서, 유치의 선천적 결손에도 불구하고, 그 계승 영구치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증례가 임상적으로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9월 5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한 6세 이하의 남녀 어린이 총 14,307명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의 치아양상을 관찰하여 유치와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유절치의 결손률은 0.24%였으며, 하악 유절치가 존재 시 후속 영구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7163.5였으며, 유절치의 결손시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 0.79였다. 2. 하악 유절치 결손의 증례 중 후속 영구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44.12%였다. 유절치의 양측 결손 시 후속 영구치가 하나라도 존재할 승산(odds)은 유절치 편측 결손 시에 비하여 1.57 배였다. 3.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유절치의 편측 결손일 승산(odds)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2.2 배였다. 또한,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남자가 여자의 경우에 비하여 2.22 배였다.

한국청년의 구강상태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THE STUDY OF ORAL CONDITIONS BY THE FULL MOUTH ROENTGENOGRAMS IN YOUNG ADULTS.)

  • 최대호
    • 치과방사선
    • /
    • 제11권1호
    • /
    • pp.51-58
    • /
    • 1981
  • The author examined 515 full mouth roentgenograms stored in the Dept. of Oral Radi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routine full mouth roentgenogram, each of abnormal conditions such as impacted teeth, missing, caries, crown, filling and apical lesions was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14.420 teeth examined, missing teeth were 174, impacted 16, caries 161 and treated 1,162. 2. The incidence of impacted third molar was close to 18.7 percent and the incidence of missing third molar was about 33.4 percent. 3. Among carious and treated teeth, 178 teeth (1.2%) were needed observation of root apex. And of these teeth, 119 teeth 0.8% were observed with apical lesion. 4. There is a considerable 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r size of apical lesion and the accuracy of endodontical treat. 5. Among the teeth with apical lesion, upper and lower first molars were most frequent (about 41%), upper and lower canine were rare (about 1.7%).

  • PDF

선천성 결손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MISSING TEETH)

  • 정해경;양연미;김재곤;백병주;정진우;김하나;김미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5-252
    • /
    • 2009
  • 치아의 선천성 결손은 치배의 발육이 시작되지 못하여 치아의 증식, 분화가 일어나지 못함으로서 발생하는 흔한 치아의 발육 이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결손치의 발생률, 결손치의 수, 발생부위와 결손치 환자에게서 나타난 다른 치아이상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파노라마를 촬영한 1,520명의 환자(2.9$\sim$17세)를 대상으로 제 3 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성 결손치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1,520명 중 총 8.88%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으며, 남자가 9.05%,여자가 8.64%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다. 2.총 350개의 영구 결손치 중 하악 제 2소구치가 22.3%로 가장 발생률이 높았고, 하악 측절치, 상악 제 2소구치 하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순이었다. 또한 총 18개의 유치 결손치 중 하악 유측절치가 가장 높은 발생률(50%)을 보였다. 3. 1개의 영구치 결손치를 가지는 환자는 43.3%, 2개는 34.3% 3개는 6.7%, 4개는 1.5%, 5개는 3.7% 6개 이상은 10.4%이었다. 또한 유치 결손치의 수는 1개는 86.7%, 2개는 13.3%이었다. 4. 결손치가 있는 환자 중 과잉치를 가지는 환자는 18명(13.3%)이 있었으며, 왜소치, 이소맹출, 융합치 등의 치아이상을 지닌 환자도 관찰되었다.

  • PDF

전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에서 선천적으로 결손된 치아의 유병률 및 분포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Patients Visiting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

  • 전현순;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4-282
    • /
    • 2013
  • 이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소아치과에 내원한 7~15세 사이 아동 중,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촬영한 3302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아결손증의 유병률 및 선천적 결손치의 분포에 대해 분석하기 위함이었다. 치아결손증의 유병률은 남자(5.9%)가 여자(4.7%)보다 약간 높게 나왔으며, 남자에서 평균 선천적 결손치 수는 3.58개, 여자는 2.43개였다. 평균 선천적 결손치 수는 상악보다 하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고(p < 0.05), 좌측과 우측치열간의 선천적 결손치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05). 선천적 결손치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부위는 하악 제2소구치였으며 반대로 선천적 결손치가 가장 적게 분포하는 부위는 상 하악 제1대구치, 상악 중절치였다. 치아결손증 환자들에서 선천적 결손치의 악궁 내 대칭성 혹은 악궁 간 대칭성은 80.3%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임상의에게 선천적 결손치의 수와 위치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바람직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일부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Behavior and Missing Teeth of Some Workers)

  • 배지영;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9-346
    • /
    • 2013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시 근로자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인지도는 30대가 가장 높았고(p<0.01), 구강건강의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여성(p<0.01), 연령이 낮을수록(p<0.05), 학력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연령이 낮을수록(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았고(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루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치아를 닦을 때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위생용품 사용하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예방목적으로 치과 내원한 경우에 결손치 비율이 낮았으며 (p<0.05),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4.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 감수성, 구강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구강건강상태와 결손치수, 잇솔질 횟수와 결손치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근로자들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관리와 치아의 소중함을 배우고,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될 것이다.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hypodont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a Chinese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 Xin Xiong;Jiaqi Liu;Yange Wu;Chengxinyue Ye;Qinlanhui Zhang;Yufan Zhu;Wenke Yang;Jun Wa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50-162
    • /
    • 2023
  • Objective: To investigate craniofacial differences in individuals with hypodontia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features and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61 Chinese patients (males, 124; females, 137; age, 7-24 years),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out hypodontia: no teeth missing, mild: one or two missing teeth, moderate: three to five missing teeth, severe: six or more missing tee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Differences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Further,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d smooth curve fitting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and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Results: In patients with hypodontia, SNA, NA-AP, FH-NA, ANB, Wits, ANS-Me/N-Me, GoGn-SN, UL-EP, and LL-EP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Pog-NB, AB-NP, N-ANS, and S-Go/N-M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NB, Pog-NB, and S-Go/N-M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contrast, NA-AP, FH-NA, ANB, Wits, N-Me, ANS-Me, ANS-Me/N-Me, GoGn-SN, SGn-FH (Y-axis), UL-EP, and LL-EP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bsolute values of regress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0.147 to 0.357. Further, NA-AP, Pog-NB, S-Go/N-Me, and GoGn-SN showed the same tendency in both sexes, whereas UL-EP and LL-EP were different. Conclusions: Compared with controls, patients with hypodontia tend toward a Class III skeletal relationship, reduced lower anterior face height, flatter mandibular plane, and more retrusive lips. The number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had a greater effect 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males than in females.

한국인(韓國人)의 치아상실(齒牙喪失)과 회복(回復)에 관(關)한 통계학적(統計學的) 고찰(考察) (A Statistical Study on the Tooth Mortality and Replacement of Korean)

  • 김명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4
    • /
    • 1968
  • A total of 11,039 permanent missing teeth and their 2,696 prosthetic replaced teeth in 6,123 Korean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age, sex, jaw and the loca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ooth mortality and replacement were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2. Replaced teeth were only 24 percent of missing teeth. 3. More teeth were extracted and replaced on lower jaw in young patients and on upper jaw in old patients. 4.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ght and left sides of both jaws in missing and replaced teeth, respectively. 5. First molar was the highest percentage in both mortality and replacement. 6. Upper tooth mortality and replacement were higher in anterior portion and lower in posterior portion.

  • PDF

치아결손, 보철물의 장착 및 치열부정이 미소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MISSING TEETH, PROSTHESIS AND MALALIGNMENT ON THE SMILE)

  • 고준원;진태호;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42-548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ssing teeth, prosthesis and malalignment on the smile. The full smile photographs of 145 Korean adults(male 114 : female 31) were taken and classified by the lip patter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p and the teeth, and the number of teeth displayed in a smile. Besides, the esthetic smile score were estimated by five dentists. Obtain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esthetic level of missing teeth group and malalign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The esthetic level of prosthesis group had no difference with that of the normal group. 3. The Number of teeth displayed in a smile had the most effect on the esthetic level in each experimental group.

  • PDF

치아 이상의 발생 빈도와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PATTERN OF DENTAL ANOMALIES)

  • 전승준;이제호;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29-449
    • /
    • 1996
  • An objective definition of the anomaly is not avaliable and most investigators define the term differently or fail to describe their criterion. Because dental anomaly may lead to many complications,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dental anomalies are essential steps in the evaluation of the child patient and in treatment planning. These procedures require detailed medical and dental histories, through clinical examination and the use of radiographs.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The clinical and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was undertaken for 8,054 children at age from 0 to 15 yea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examined subjects, 2,134 subjects(26.5%) showed dental anomalies. The prevalence of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 supernumerary teeth 15.6%, congenitally missing teeth 6.6%, fusion 2.2%, odontoma 0.35%, microdontia 1.2%, macrodontia 0.05%, gemination 0.22%, talon cusp 0.36%, dens evaginatus 0.24%, dens invaginatus 0.15%, dilaceration 0.27%, taurodontism 0.09%, abnormal tooth position 1.7%, natal & neonatal teeth 0.92%, amelogenesis imperfecta 0.01%. 2.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s with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 between group I and other group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group I and group II.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le and female showed differences. 3. For the supernumerary teeth group, the prevalence of male was higher than female(p<0.001). While for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macrodontia, microdontia, abnormal tooth position group, the prevalence of female was greater than male(p<0.001). 4. For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group, the mandibular primary lateral incisor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in primary dentiton, while mandibular lateral incisor in permanent dentition. In the mandible(72.5%), this site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in maxilla. In the case with deciduous congenitally missing teeth, the prevalence of successive permanent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about 33.9%, the incidence was highest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s. 5. Most supernumerary teeth existed on middle area and showed inverted position and unerupted state. In addition, supernumerary teeth showed higher incidence on maxilla (99.3%). 6. In the case with deciduous fused teeth, the prevalence of successive permanent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39.9%, while that of successive permanent fused teeth was 2.7%. And the highest rate of the prevalence (40.3%) appeared in fusion of mandibular deciduous lateral incisor and canine. 7. In the case of odontoma, the prevalence was higher in maxilla(78.6%) and anterior region(82.7%) than mandible and posterior region.

  • PDF

구치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 (Orthodontic protraction of the third molars to the posterior teeth missing area)

  • 이강규;박제혁;전진;강재연;김정기;전영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60-269
    • /
    • 2019
  • 구치 결손 부위가 장기간 방치될 경우 후방 구치의 근심이동과 대합치 정출 등의 원치 않는 치아이동, 치조골의 소실, 치아치조 교합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상실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결손 부위에 대한 보철 수복 치료를 권장하고 있지만, 제3대구치 등 잔존 치아를 결손 부위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교정치료를 병행할 경우 최적의 크기와 형태로 보철 수복이 가능하고, 기능교합 시 힘의 분산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수복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생역학적으로 보다 유리한 치주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구치부 치아를 상실한 두 환자를 비교하여 구치부 치아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