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conduc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의학전문직업성과 의학교육에서의 자기성찰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elf-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 전민영;유상호;차경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2호
    • /
    • pp.78-90
    • /
    • 2018
  • Recently, unprofessional behavior by physicians and misconduct by medical students have led to increased public concern over medical professionalis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strategies that reinforce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prevent misconduct in medical students. However, most studies focused on defining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nceptual componen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categorize issu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dentified doctors' indifference to self and others as the reason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r. In this regard, self-reflection provides a practical tool to overcome such indifference. We suggest 'educ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self-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s' as the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in medical students.

장기 계류 어선에 대한 보험자의 면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emption of Insurer for a Long Period Laid-up Fishing Vessel)

  • 박용섭;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10-118
    • /
    • 1993
  • A squid gill-net fishing vessel Jayueoroho which was being insured ITC-Hulls and was laid up long period illegally under the condition of unmanned in the Pert of Kamcheon. On 30, March, 1993, the fishing vessel moved out toward the high sea by assistance of two tugboats, 12 miles southeast from Teajongdae, to discharge sewage. At that time the shipowner, the skipper, chief engineer and two labourers were boarding, and a fire was broken out by electric leakage at sea. For all their efforts of fire-fighting operation the fishing vessel foundered with explosion. In this case, she had been breached the warranties of legality, especially Korean maritime acts concerned, and the warranties of seaworthiness(MIA 39(5)) as attributable cause because of unmanned on board by wilful misconduct of the insured. Therefore it is prima facie evidence that the insurer is not liable for any loss attributable to the wilful misconduct and breach of warranties of the insured in MIA 1906.

  • PDF

체육학 연구에서의 연구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Promoting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 이원일;진연경;이경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227-240
    • /
    • 2016
  • 연구 부정행위는 체육학 연구에서 지속돼야 할 연구주제이지만 연구 부정행위의 복잡한 매커니즘과 연구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육학에서의 연구부정행위의 발생원인 및 해결방안을 학계 구성원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을 통해 13명의 학자 및 대학원생들에 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개인인터뷰(follow-up one-on-one interview), 서술적 설문조사(qualitative questionnaire)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부정행위는 사회구조적(socio-political), 사회문화적(socio-cultural), 개인적(personal)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해결 방안은 첫째, 위로부터의 변화(Top-down approach), 둘째, 아래로부터의 변화(Bottom-up approach), 셋째, 지속적인 교육 및 점검(Continuous education)의 변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된 경험적 지식이 체육학을 연구하는 개인 연구자의 연구윤리 의식 제고에 활용되고, 대학의 교육 및 학계 차원의 향후 노력들에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황우석·김병준·이필상 사례에서 배우는 연구윤리교육적 교훈 (Research Ethics Education's Lessons Learned through Cases of Woo Suk Hwang, Byong Joon Kim and Phil Sang Lee)

  • 최용성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95-126
    • /
    • 2008
  • 최근 한국 사회는 학문 공동체에서의 연구위반 사례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날조와 표절 등 연구윤리의 스캔들과 연관된 황우석 교수, 전 교육부 장관 김병준, 전 고려대 총장 이필상과 같은 이들에 의해 연구윤리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먼저 서울대학교 황우석 연구자는 2005년도에 발표된 논문에 데이터의 날조와 변조 활용에 대한 책임을 완전히 시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례를 통해 배운 중요한 교훈으로 데이터의 날조 및 변조의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연구윤리 규정의 필요성, 올바른 저자 표시와 공로배분 및 공동 연구자들의 책임감, 인간 인체 대상 실험과 불충분한 보호, 이해갈등이란 연구윤리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의 중요한 연구부정 사례로서 김병준 사례가 있다. 김병준 사건의 교훈으로서 표절 자기표절의 기준 문제, 과거 표절 청산과 표절 기준 적용 시점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보다 최근의 고려대 이필상 사례는 연구부정행위의 조사 절차와 후속 조치의 문제, 연구지도의 문제, 바람직한 내부고발의 문제 둥을 교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의 개요와 교훈에 대한 결론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윤리와 관련된 제도적 정비의 계기 마련이며 둘째, 언론 및 미디어의 역할 제고이다. 셋째, 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모색이다. 정부나 대학 그리고 연구기관이나 학회들은 황우석 사건 및 그 이후의 사례들에서 보이는 여러 연구윤리에 대한 문제점들과 교훈들을 배우고 연구윤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그리고 제도적 방책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서울 시내 일부 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Drug Abuse by Some Juveniles in Seoul - Based on Third School Year Students of Some Senior High Schools -)

  • 고홍경;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2-82
    • /
    • 1990
  • The actual condition of drug abuse by some Juveniles in our country and effects of some elements on their drug abusing were observed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health education to juveniles to contribute to the health improvement of them and the reduction of the harmfulness of drug abuse. 1035 third school year students of some senior high schools in Seoul were subject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mong the twelve kinds of drug involved in the study, alcohol (72.0%), cigarette (44.2%), stimulants (23.9%), analgesics (7.9%) appeard abused in the order named. 2. As for the motives of using antitussives, 30.1% of students answered because of curiosity, then 28.8%, in order to get a calm condition, and then 16.4%, to get along with friends. 3. As the result from seeing how much each drug abuser is contact with his family, frends, school, social surroundings and himself, every abuser appeared having higher degree of discontentment with family, school, society and himself excepting friends. 4. And w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isconducting and drug-abusing, a close relationship was shown : mere abusers among misconduct-experienced students, and more misconduct-experienced students among abusers.

  • PDF

The Consequences of Data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among Researchers

  • KANG, Eungoo;HWANG, Hee-Joong
    • 연구윤리
    • /
    • 제1권2호
    • /
    • pp.7-10
    • /
    • 2020
  • Purpose: The experience by a researcher highlighted steps is guided by a specific ethical codes of condu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the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of data as the key ethical misconduct committed by many researchers focus on their causes and impact in the research fiel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obtain suitable textual resource, the current study used content analysis to closely take a look at the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based on prior research in the realm of publication ethics. As a result, the current authors could collect and understand adequate textual data from appropriate prior resources. Results: The Research misconduct is a common practice in different countries across the wor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data fabrication or falsification have a grievous impact on all the stakeholders of a study. The unethical behavior affects the parties concerned both psychologically and financially. Conclusions: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researchers should be held accountable. This can be done through different means, including raising awareness of vulnerability to data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Th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 should also advocate for effective policies guiding research studies across the world.

A Study on Ethics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nd Finding Solutions to Unfair Authors

  • CHA, Seong-Soo
    • 연구윤리
    • /
    • 제2권1호
    • /
    • pp.1-6
    • /
    • 2021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auses and types of the most common and serious fraudulent authors among research misconduct, and to examine ways to reduce the mass production of unjust authors. In scientific research, it is universal and efficient to have multiple authors participate. This is because each author group consisting of a team has its own expertise, and most of them participate in research in a complementary way to maximize the research effect. However, the competition for achievements between researcher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ie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performance-oriented are tempting researchers to abandon research ethics.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research ethics of existing researchers, the contents of research ethics by a few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Canada, Australia etc. and the situation in Korea was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the types and causes of domestic unfair authors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tensively. In conclusion, in order to no longer produce unfair authors such as compulsory authors, honorary authors, mutually supported authors, and duplicate authors, which researchers unknowingly recognize as co-authors, reinforcement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national organization and system should be supported.

Exploring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 LEE, Hyo-Young
    • 연구윤리
    • /
    • 제3권1호
    • /
    • pp.17-21
    • /
    • 2022
  • Purpose: Research ethics has social implications beyond the issues of personal morality and research integrity. In recent years, research ethics has become a more controversial topic in societ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def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is discuss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was explored based on the framework . Results: field education to secure university research ethics is still insufficient. In other words, only 12 universities for undergraduate programs and 37 universities for graduate programs included research ethics in their regular curriculum.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research misconduct is mainly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error or not taking it seriously. In particular, university research misconduct results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research ethics, poor research education, a performance-oriented academic climate, and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al system for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바르샤바체제(体制)의 개정문제(改正問題) (The Warsaw System: Developing Instruments)

  • 신성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5권
    • /
    • pp.265-301
    • /
    • 1993
  • 지난 6월 3일 동경에서 있었던, 아시아 항공/우주법 학술대회 제 3분과에서 영국 Bin Cheng교수의 "The Warsaw System: Mess up, Tear up, or Shore up?"이라는 주제의 논문발표가 있었다. Bin Cheng교수는 특히 유럽의 EC Consultant Paper 와 일본항공사들의 1992년의 무한책임보상주의 채택에 대하여, 마치 무한 책임보상주의의 이론이 승리하였으며, 위의 상황들이 그 시작이라고 단정하였는데 이러한 견해는 아직까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본 글에서는 동경회의에서의 Bin Cheng교수의 논문중 특히 10항의 결론 부분을 중점으로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제항공사법인 와르소체제가 과연 발전하고 있는 것인가? 퇴보하고 있는 것인가? 와르소체제의 반대론자들은 미국의 소송변호사들, 일본항공사들과 일부 순수이론을 고수하는 학자들로써 이들은 와르소체제로부터의 탈퇴와 무한책임보상주의를 고수하고 있다. EC Consultation Paper (각주 122 참조)에서 보듯이, 비록 항공운송시의 손해배상액이 타 운송시의 손해배상액보다 적기는 하지만 이것이 곧 '무한책임보상주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판례중 불법행위로 인한 소송 (Nichole Fortman v. Hemeo Inc.)에서 보면, 작은 창자의 대부분을 병원의 과실때문에 잃은 Brooklin의 한 여인에게 500억 정도의 손해배상이 주어진 것을 보면, 과연 완전 보상에 맞는 무한책임이 과연 항공소송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 무한책임보상주의는 특히 개발도상국의 항공사들에게 보험료가 너무 과중하고, 와르소협약의 근본목적인 국제항공법의 통일성에 반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 전반에 적용하기에는 비현실적이다. 와르소체제의 통일 성에 대한 거부는 만약 와르소체제에 버금가는 다른 보상체제가 있는 경우에는 다르지만, 현실적으로는 결국 국제적 혼란만을 야기사킬 것이다. 또한 와르소체제 반대자들은 항공운송인과 승객들의 관계를 갈등관계로 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와프소협약에서의 항공운송인파 승객들의 관제는 공동이악관계로 보아야 한다. 항공운송사업의 목적도 또한 이윤추구인 바, 승객들이 항공운송인에게 과다한 손해배상을 요구하면, 결국 항공운송인은 승객들의 주머니에서 그 댓가를 찾으려고 할 것이다. 절국 양자의 이익을 보는 것은 소송변호사들 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Unlimited Liability' 에서 'Unlimited' 란 'Full-Compensation' 을 의미하는 것으로, 'Wilful-Misconduct' 의 경우에는, 'Full-Compensation' 의 개념과 다르게, 그 보상액이 Warsaw협약 제 22조 1항에 적용되지 않는 'No-limited' 의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항공소송의 경우에 통상 'Wilful-Misconduct' 의 경우에 손해배상액이 약 $700,000 인 것을 보더라도 'Full-Compensation'의 의미로 해석할 수 없다. 몬트리올 제 3추가의정서에서 'WilfulMisconduct' 의 개념을 삭제하고자 하는 것은, 이에 대비하여 추가보상제도, 임액수의 종액, 영격책임추의 등의 요소들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몬트리올 제 3추가의정서가 최근의 발전적인 손해배상제도인가에 대하여, Bin Cheng 교수는 반대를 하고 있지만, 최선의 제도를 찾는 입장에서 몬트리올 추가 의정서는 여러가지로 부족하다. 그러나, 유한책임제도의 개선, 엄격책임주의의 도입, 빠른 소송타결의 제도, 재판관할권의 확대 그리고, SDR 화폐단위의 채택 등은 헤이그 의정서 이후의 보다 나은 제도적 장치를 하고 있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전된 보상제도를 채택하였다면, 오늘날과 같이 시대에 뒤떨어진 보상체제로 혼란을 겪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

  • PDF

표절 방지에 관한 최근 정보 (Recent Information on the Plagiarism Preven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71-76
    • /
    • 2011
  • 연구윤리(혹은 연구진실성)는 과학 사회의 건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 때문에 학계, 정부는 물론 과학계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들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연구부정인 표절을 다룬 유용한 논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연구 결과는 독창성(originality), 정확성(accuracy), 재현성(reproducibility), 정밀성(precision) 그리고 연구윤리(research ethics)가 보장되어야 한다. 표절의 정의는 "적절한 언급이나 인정 없이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 또는 아이디어를 도용하는 것이다." 표절은 간혹 데이터의 위조와 변조보다는 경미한 연구부정으로 고려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그 속성은 지적 산물의 절도에 해당한다. 표절은 논문 출판 단계에만 국한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제안과 연구수행 그리고 종설 논문 작성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다. 표절의 정의를 확대하면, 중복 출판은 자기표절로 간주할 수 있다. 표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학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정직한 노력이 요구된다. 먼저,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과학적인 작업수행에 있어서 투명성(transparency)과 진실성 내지 고결성(integrity)을 유지해야 한다. 편집위원회 구성원들과 심사자들은 임무 수행과정에서 공평함과 충분한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정부와 연구 재단들은 과학 사회에 표절 방지를 위한 재정적, 정책적 지원을 아낌없이 해야 한다. 향상된 편집 서비스, 표절 방지 프로그램 활용, 그리고 정직한 과학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철저한 교육은 과학 사회의 건전한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