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연구에서의 연구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Promoting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 투고 : 2016.05.30
  • 심사 : 2016.07.01
  • 발행 : 2016.07.31

초록

연구 부정행위는 체육학 연구에서 지속돼야 할 연구주제이지만 연구 부정행위의 복잡한 매커니즘과 연구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육학에서의 연구부정행위의 발생원인 및 해결방안을 학계 구성원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을 통해 13명의 학자 및 대학원생들에 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개인인터뷰(follow-up one-on-one interview), 서술적 설문조사(qualitative questionnaire)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부정행위는 사회구조적(socio-political), 사회문화적(socio-cultural), 개인적(personal)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해결 방안은 첫째, 위로부터의 변화(Top-down approach), 둘째, 아래로부터의 변화(Bottom-up approach), 셋째, 지속적인 교육 및 점검(Continuous education)의 변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된 경험적 지식이 체육학을 연구하는 개인 연구자의 연구윤리 의식 제고에 활용되고, 대학의 교육 및 학계 차원의 향후 노력들에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Research misconduct has been a strong societal concern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mplex mechanisms and ways of promoting research integrity.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ways in which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could be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Employ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3 academics and graduate students were invited to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primarily through focus group and one-on-one follow-up interviews. Perceived negative factors contributing to research misconduct within socio-political/socio-environmental, socio-cultural, and personal contexts were identified. Three approaches, (a) top-down approach, (b) bottom-up approach, and (c) continuous education, as well as subsequent practical strategies were also suggested for the enhancement of research integrity within the field. This paper provided empirical knowledge regarding barriers to and opportunities for improving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