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rcea Eliad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An Interpretation of Human View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 안신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1-30
    • /
    • 2019
  • 대순사상의 인간관에 대한 연구는 크게 내부자와 외부자 그리고 종교학의 입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엘리아데가 주창한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을 분석한다.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엘리아데의 종교적 인간의 주요 특징을 잘 구현하고 있다. 대순사상은 미로와 같은 인생의 중층성과 복잡성을 다루며, 그 중심에 증산의 인간관을 위치시킨다. 증산은 선천의 인간이 직면한 실존문제를 진단하고, 후천의 세계관 변혁을 위한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종교적 처방을 내린다. 동학혁명에 대한 새로운 종교적 대안으로서, 증산은 평화의 길을 제시하였다. 천지공사를 통하여, 선천의 상극관계를 후천의 조화관계로 변화시킨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은 삼계 가운데 신인관계를 재정립하고, 구천상제의 인신화현을 통하여 권선징악의 윤리관과 인존사상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엘리아데의 신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더 이상 해명이 필요 없는 종교적 인간관이다.

M.엘리아데의 종교현상학 관점으로 본 현대 기독교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hristian Spaces seen from the Perspectives of M. Eliade's Religious Phenomenology)

  • 이진경;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57-64
    • /
    • 2017
  • Modern Christian spaces are developing from the past architectural styles to the phenomenological asp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since it was judged that research and analysis is desirable with the application of religious phenomenological theories which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paces. A scholar of religion, M. Eliade studied religious phenomenology based on relig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phenomenology of the Christian spaces based on his theory.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category of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phenomenology derived from them and selected M. Eliade as one of the theorists in the field of religious phenomenology. Study drew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M. Eliade's religious phenomenology as follows; In the Christian spaces,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spatiality and ambiguous spatiality appeared in relation to the spaces of 'Sacred' and 'Profane' which M. Eliade aim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aces drawn out from the time of 'Sacred' and 'Profane', which is M. Eliade's theory, were fundamental temporality, environmental temporality and subjective temporality. From the structure and form of 'Sacred' and 'Profane', which is M. Eliade's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aces can be considered to be formative symbolism and physical naturalne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aces materialize the concepts of 'hierophany' and 'sublimity' vaguely felt in religious sp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searchers, religious people and general public who study Christian spaces with research basis to further objectify results of their studies as well as basic data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religion.

공간의 성스러움으로 본 고대 중국인의 성현(聖顯) (Hierophany in Ancient China and the Sacred Sites)

  • 김종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173-202
    • /
    • 2011
  • 엘리아데는 애초의 성스러움이 저절로 드러나는 것을 성현(聖顯)이라고 하였는데, 성현이 일어나는 대상이나 장소는 질의 전환을 이루어 그 자체가 성스러워진다. 사람들은 태초의 성스러움을 되살리기 위해 최초로 성스러움이 일어난 그 순간을 재현하고자 하여 원형의 순간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행위를 통해 성을 재현하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성스러움이 드러나는 구체적 장소이다. 천제가 세운 지상의 도읍으로 신이 사는 영역이며, 지상과 천상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우주산의 특성을 갖춘 곤륜, 하늘과 지상을 이어주는 매개인 하늘사다리의 역할을 하는 건목, 종교적 인간이 성스러운 실재적 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망을 드러내며 성스러운 공간을 통해 신적 존재나 조상과 교류함으로써 태초의 순수한 영혼으로 회귀할 수 있는 공간인 도시와 종묘는 모두 고대 중국에서 볼 수 있는 성이 드러나는 구체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오네스코와 루마니아 (Ionesco et Roumanie)

  • 박형섭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95-121
    • /
    • 2012
  • Ce travail est de rechercher la vie litteraire d'Eug?ne Ionesco ? l'?poque de la Roumanie(1921~1937). Ionesco fait partie d'une cat?gorie d'?crivains(Mircea Eliade, Emil Cioran, Tristan Tzara, Pana?t Istrati, etc) qui sont n?s en Roumanie et ont commenc? leur carri?re dans leur pays d'origine pour la continuer et l'achever en France. Eugen Ionescu devient Eug?ne Ionesco. Ce dernier repr?sente d?j? dans les ann?es 30 une personnalit? hors du commun. C'est un homme qui a deux patries, deux racines : une roumaine, une autre fran?aise. Sa vie est a ?t? marqu?e par ses publications des l'adolescence. Ils font l'objet de ce livre-portrait d'Eugen Ionescu, po?te et critique, ?crivain de langue roumaine. L'?tude de la jeunesse roumaine d'Ionesco nous m?ne sur un terrain p?rilleux, celui de la biographie, plus pr?cis?ment des ann?es d'adolescence, de jeunesse et d'apprentissage d'un ?crivain qui a masqu? cette p?riode de sa vie. Nous avons pr?fer? tracer une biographie intellectuelle plutot qu'?num?rer des d?tails anecdotiques. La projection d'Ionesco dans son oeuvre est le r?cit de ses propres aventures intellectuelles. Une part importante de notre travail est consacr?e ? l'anlayse d'un livre de critique Nu(Non) de jeune Ionesco. Nous avons utilis? le texte de la version fran?aise publi?e en 1986 pour ce travail. Pour Ionescu le Roumain, le po?te Ionesco, ?l?gies pour des ?tres minuscules, nous avons consult? une th?se d'Ecaterina Cleynen-Serghieve La jeunesse litt?raire d'Eug?ne Ionesco et puis l'?tude de Gelu Ionesco sur la carri?re roumaine d'Ionesco. Nous nous sommes aussi r?f?r?s ? divers documents comme Notes et contre-notes(1966), D?couvertes(1969), Journal en miettes et Pr?sent pass?, Pass? pr?sent(Mercure de France), et les entretiens avec Claude Bonnefoy pour comprendre la personnalit? d'un jeune ?crivain roumain.

불교와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Jinmuk Tales in Buddhism and Daesoon Thought)

  • 이병욱
    • 대순사상논총
    • /
    • 제29집
    • /
    • pp.141-170
    • /
    • 2017
  • 이 글에서는 한국불교의 진묵설화와 대순사상의 진묵설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자세히 말하자면,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의 진묵설화를 비교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진묵조사유적고』에 나타난 진묵의 사상을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서 접근한다. 첫째, 진묵은 석가모니의 화신불이라는 것이다. 『진묵조사유적고』의 서문에서 초의(艸衣)는 진묵이 석가모니의 화신이라고 밝히고 있다. 둘째 무애행의 정신이고, 셋째 선교일치의 정신이며, 넷째 유불일치의 정신이다. 3장에서는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에 관한 관점을 살펴보고, 『진묵조사유적고』의 진묵설화와 비교한다. 우선 『전경』에서 진묵의 설화는 천지공사와 해원상생의 관점에서 활용된다. 이것이 불교의 진묵설화와 가장 다른 점이다. 그 다음 진묵설화 가운데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에 공통된 주제를 말하는 것이 있는데, 그 설화들을 비교해보면 역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면 이러한 차이점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서는 엘리아데의 신화이론에 근거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엘리아데는 신화는 그것을 전달하는 사람의 희망사항이 투영된 것이라고 한다. 이 이론에 근거해서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불교계의 『진묵조사유적고』에는 불교의 가치관이 투영된 진묵설화가 전승되었고, 대순사상의 『전경』에는 대순사상의 가치관이 반영된 진묵설화가 전승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불교와 대순사상은 서로의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주제의 진묵설화라고 해도 전승된 내용에 차이점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