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d-Body Dualism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데카르트의 심신론이 의학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Rene Descartes′s Mind-Body Theory on Medicin)

  • 반덕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56
    • /
    • 2000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Rene Descartes's mind-body theory in medical aspect. Though Rene Descartes was not so much a doctor as a philosopher, he had health and medical science at heart. When he came into the world in 1596, he was in poor health. Therefore, he suffered from his bad health. Descartes's ideas absolutely colored Western thought for three hundred years, especially, his mind-body theory, mechanistic life-view, and reductionism had important effect on medical study and science of public health. As a rule, we know that his mind-body theory was applicable to mind-body dualism, and his mind-body dualism was connected with biomedical model of medicine. But by this study, his mind-body theory was not only mind-body dualism but also mind-body monoism. And he asserted mind-body interaction too. In other words, he advocated mind-body dualism in scientific aspect, but he knew mind-body monoism from his experence. He confessed this fact to Princess Elizabeth of Bohemia, he wrote mind-body interaction in $\boxDr$Discours de la methode$\boxUl$, $\boxDr$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boxUl$, and $\boxDr$Traite des passions de 1'ame$\boxUl$ etc. However, only mind-body dualism of his mind-body theories was written in our medical text book, morever mental realm was excluded from the persuit of learning Descartes advocated a mechanistic world-view and mechanistic life-view, he regarded human body as a machine part. And a paticent corresponds to a troubled machine, a doctor deserves a repairman. But this point of view made holistic understanding of man impossible. Descartes divide the whole into basic building blocks, we named the approach Reductionism. Reductionism led to ontological concept in medical science, bacteriology established 'specific cause-specific disease-specific therapy'. We examined medical influence of Descartes's thought, we need to draw out a philosophic basis of medical science and science of public health by a close study of his records.

  • PDF

마음-신체의 이원론: 건강을 위한 행동, 채식의 선택 및 사회적 가치지향과의 관계 (Mind-Body Dualism: Health Behaviors, Plant-Based Food Choice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7권3호
    • /
    • pp.37-50
    • /
    • 2024
  • 많은 사람들이 건강과 동물보호를 위한 채식에 관심이 있지만, 채식을 실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의 마음-신체의 관계에 대한 생각이 건강을 위한 행동과 채식제품의 선택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연구 1에서는 마음-신체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마음-신체가 분리되는 이원론과 마음-신체가 연결되는 물리주의로 구분하여, 이 두 가지 유형의 생각이 건강을 위한 행동과 채식제품의 선택에 끼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마음-신체에 대한 생각이 한 개인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3에서는 건강한 채식과 이원론의 관계가 양방향으로도 가능한지를 건강한 음식사진과 건강하지 않은 음식사진을 점화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마음-신체의 이원론조건에서 마음-신체가 연결되는 물리주의 조건보다 건강을 위한 행동의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이원론조건에서 채식제품의 선택의향과 배려의 가치선호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건강하지 않은 음식조건에서 건강한 음식조건보다 이원론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마음-신체의 관계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 건강을 위한 행동과 사회적 가치의 활성화에 차별화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심신의학(Mind-Body Medicine)의 선구로서의 "동의보감(東醫寶鑑)" -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의료철학이 지닌 미래적 가치 (Donguibogam as a Pioneer of Mind-Body Medicine - Forward-looking Value of Donguibogam as a Documentary Heritage)

  • 황경식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9
  • The value of Dongeuibogam has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as a Memory of the World.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orward-looking value of Dongeuibogam in addition to its backward-looking value. For the past 200 years, Western medicine has attained great achievements in therapeutic medicine based on Descartes' mind-body dualism, which focuses on the body as a separate entity from the mind. Recently, Western medicine modified its previously one-sided track into a new orientation towards holistic mind-body medicine in recognition of the two as an organic whole. At this point in time, it is essential to draw attention to the forward-looking value of Dongeuibogam, which pioneered mind-body medicine based on the medicinal philosophy of Jing Qi Shen more than 400 years ago.

  • PDF

심신일여 체육 사상에서의 비선형 거동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in Idea of Physical Exercise with Unification of Mind and Body)

  • 김명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645-652
    • /
    • 2016
  • 본 논문은 몸과 마음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몸과 마음의 방정식을 로미오와 줄리엣에 기반한 사랑 모델을 적용하고 외력은 인가한 상태에서 심신일여의 체육사상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몸과 마음이 하나인 심신일원론과 몸과 마음이 나누어지는 심신이원론의 비선형 거동에 대하여 시계열과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고, 이들 사이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유아사 야스오(탕천태웅(湯淺泰雄))의 경락학설(經絡學說)에 대(對)한 소고(小考) (A Study on Yuasa Yasuo's Meridian Theory)

  • 송석모;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7권4호
    • /
    • pp.25-34
    • /
    • 2010
  • Objective : This paper introduces a unique meridian theory developed by Japanese philosopher Yuasa Yasuo. Method : His meridian theory is well organized in his philosophy, so we systematically review his major works and philosophy from which we systematize his meridian theory. And we critically examine it with current studies. Results and Conclusions : He tried to overcome Cartesian mind-body dualism by Eastern thought and newly developing neurophysiology. He articulated "body scheme" from human information systems, primarily nervous system and meridian system, which regulate physiological functions. It consists of 1st external sensory motor circuit, 2nd circuit of coenesthesis, 3rd emotion-instinct circuit and 4th circuit of unconscious quasi-body. Meridian system is the 4th circuit, through which he thought various affect(emotion) flows.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utonomic nervous system- meridian-skin, he tri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meridian system. His theory illuminates mind-body problem and emotion-meridian relationship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An Exploration of a Way for Contemporary Actor Training/Acting: A Perspective from Denis Diderot and Tadashi Suzuki's Concepts

  • Son, Bo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58-63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reconsider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way(s) for contemporary actor training and acting in discussing and articulating Diderot and Suzuki's concepts and approaches for acting/training. First of all, the physical body, assumed and conceptualized by Diderot is beyond our control by means of a type of radical body/mind dualism, and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body and mind are separate. In contrast, Suzuki's notion of acting/training is raised by his concern about the role of an actor's body in the constitution of an actor's bodily experience against the imitation of the West-oriented theatre/acting/training. The descriptions of the two theatre artists' notion of acting/training gives us insight into the place and role of contemporary theatre as a practical root to encounter and communicate between a doer and a spectator where an actor's body must appropriately be attuned and cultivat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bodily attributes which are foundation but usually neglected by actors/directors/practitioners particularly in Korea. Especially, misunderstanding of a specific training sources/approaches, namely 'scientific system' and the 'method' have taken us away from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the lived oneness. Here, the 'possibility' refers to the primary bodily functions within a specific context or being in the here and now rather than attempting to copying, imitating and/or adapting a specific cultural source(s)/approaches/techniques as we have faced with through the previous century. We reconsider and argue that a potential way to correspond the nature of theatre/acting/training is that how to meet the demand of contemporary spectators which in turn intensifies an actor's stability, sustainability and hopefully professional identity in this contemporary era.

죽은 사람의 마음 이론: 죽은 사람의 마음은 시공간을 초월하는가? (Theory of the Dead's Mind: Does the Mind of the Dead Transcend Time and Space?)

  • 김의선;김성호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105-120
    • /
    • 2018
  • 현대 신경과학은 인간의 마음이 신체기관인 뇌 활동의 산물이며, 뇌의 활동이 멈추면 마음의 작용도 함께 정지한다는 심신 일원론을 지지한다. 그러나 상당수의 일반인은 여전히 일원론적 입장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마음영속성과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사람의 마음이 단순히 작동정지하거나 약화된 마음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의 마음과 구별되는, 시공간의 물리적 제약을 초월하는 마음으로 간주되는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은 주인공이 교통사고 후 사망하거나, 생존하거나, 또는 뇌사상태가 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읽은 뒤, 각 상태의 주인공이 보유한 '일반적 정신능력'과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 수준을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주인공이 사망한 조건에서는 주인공의 일반적 정신능력이 높다고 평가할수록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도 높다고 응답하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생존 조건에서는 이러한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죽은 사람과 산 사람에게 기대되는 정신능력의 속성이 서로 달라서, 죽은 사람이 소유한 높은 일반 정신능력은 초월적인 능력을 함축함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종교적 믿음 또한 사망한 사람의 초월적 정보수집 능력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아유르베다 5원소설과 서양 원소이론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Ayurvedic Five-element Novel and Western Element Theory)

  • 최정순;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65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 사상을 통해 현대 서양 과학과 철학의 한계의 원인을 고찰하고, 치유사업 발전을 위한 홀리즘의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현대 서양 문명이 오늘의 한계에 이르게 된 배경과 치유사업의 현실이 그맥을 함께 할 것이라 추론하였다. 방법: 이를 살펴보기 위해 동서양의 '몸과 마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존재의 근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유르베다 5원소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 그 과정을 통해 서양의 '심신이원론'과 서양 4원소설에서의 '공(空)요소'의 부재'를 한계의 원인으로 지목하게 되었다. '공(空)요소'가 보이지 않는 세계, 비물질의 세계라는 점에서 공의 부재가 서양 문명의 한계인 동시에 국가 치유사업 현실의 문제라고 결론짓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가 아유르베다 사상의 지속적인 연구와 자연치유 분야의 연구로 이어져 치유사업의 발전의 기초정보가 되고, 국민의 건강과 웰빙·자기치유를 기대하여 본다.

만들어지는 자아 - "이성 vs. 감성"을 너머 - (The Self in the Making - Beyond the "reason vs. emotion" -)

  • 최용철
    • 철학연구
    • /
    • 제148권
    • /
    • pp.357-377
    • /
    • 2018
  • 이 논문은,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터라, 사람이란 이미 완성된 어떤 존재가 아니라, 지금도 만들어지는 중이다, 라는 결론을 내린다. 이 결론에 이르기까지 다음 네 단계를 거친다. 첫째, 인간이 오로지 이성 존재일 수 있는가를 묻는다. 칸트처럼 인간을 '선의지'를 가진 도덕 행위자로만 묘사하는 것은 왜곡된 자화상처럼 여겨진다. 둘째, 오로지 '선의지'만을 발휘하여 보편 도덕법칙을 따를 수 있는가를 묻는다. 현실에서 보편 도덕법칙을 따르기가 불가한 것은, 도덕 행위자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상황을 배제할 수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성 명령에 따라 보편 도덕법칙을 지키라는 요구는 인간에게 지워진 '불운한 유산'이다. 셋째, 인간에게 '불운한 유산'이 지워진 것은, 마음과 몸을 '안'과 '밖'으로 나누는 이원론 때문임을 밝힌다. 이성 명령이란 '안'을 '밖'으로부터 지키라는 요구로서, 외부 환경에 민감한 감성을 일체 배제하라는 명령이다. 넷째, 삶이란 본래 '안'과 '밖'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이성과 감성은 서로 분리될 수 없으며, 이성만으로는 살아가는 인간은 무기력할 따름이다. 결론은, 인간은 이성 아니면 감성 어느 한 극단으로 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은 '이성 존재'로 이미 완성된 어떤 자아가 결코 아니다. '인간적 동물'은 외부 세계와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자아'일 따름이다.

수학적 인식에서 '활동'이 갖는 의미에 대한 고찰 (On the Meaning of 'Activity' in Mathematical Cognition)

  • 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51-165
    • /
    • 1999
  • In this study, I consider the meaning of activity as the source of mathematical knowledge. Mind-body dualism of Descartes which understands that knowledge precedes activity is somewhat overcomed by Ryle who understands that knowledge and activit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But his discussion cannot offer the explanation about the foundation of rightness or the development of rules which can be expressed propriety of activity or rationality. Contrary to these views, Piaget solve this problem by the reasonability of 'the whole system of activity'. The theory of Dewey can be evaluated as an origin of activism of Piaget. Piaget considers knowledge as the system of activity itself, whereas Dewey considers knowledge as 'the result of activity'. This view of Dewey is related to the view of pragmatism which considers 'practice' is more important than 'theory'. The nature of 'activity' in this study has to be understanded as the interaction o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f we understand activity like this, we can explain that the whole structure of activity has the 'wholeness' that cannot be simply restored to the sum total of 'parts' and the new structure is a self-regulative transformation system which includes former structure continu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