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T

검색결과 8,610건 처리시간 0.041초

Busy Period 기대값을 사용하여 삼변수 Min(N, T, D)와 Max(N, T, D) 운용방침사이의 관계식 설정 (Construction of a Relation Between the Triadic Min(N, T, D) and Max(N, T, D) Operating Policies Based on their Corresponding Expected Busy Periods)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70
    • /
    • 2010
  • Based on the known result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triadic Min (N, T, D) and Max (N, T, D) operating policies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a relation between them is constructed. Such relation is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simple N, T and D, and the dyadic Min (N, T), Min (T, D) and Min (N, D) operating policies. Hence, if any system characteristics for one of the two triadic operating policies are known, unknown corresponding system characteristics for the other triadic operating policy could be obtained easily from the constructed relation.

조정가능한 M/G/1 대기모형에 삼변수 Min(N, T, D) 운용방침이 적용될 때 busy period 기댓값의 상한과 하한 유도 (Derivations of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Triadic Min(N, T, D) Operating Policy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4
    • /
    • 2010
  •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in (N, T, D) operating policy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and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better approximations.

삼변수 Med(N, T, D) 운용방침에 따른 Busy Period 기대값의 상한과 하한 유도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ed(N, T, D) Policy)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2013
  • Using the known result of the expected busy period for the triadic Med (N, T, D) operating policies applied to a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its upper and lower bounds are derived to approximate its corresponding actual values. Both bound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expected busy periods for the dyadic Min (N, T), Min (N, D) and Min (T, D) or Max (N, T), Max (N, D) and Max (T, D) with the simple N, T and D operating policies without using any other types of triadic operating policies such as Min (N, T, D) and Max (N, T, D) policies. All three input variables N, T and D are equally contributed to construct such bounds for estimation of the expected busy period.

소형 어류 플랑크톤 채집용 FMT Net 의 운용 특성 (Handling Charactristics of FMT Net for the Larval Fish and Plankton)

  • 정순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2호
    • /
    • pp.122-128
    • /
    • 2005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e out the handling characteristics of the FMT(Frame Mideater Trawl)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using a trawler "DONGBAEK" belongs to Yosu National University. The realtionship between the net depth D(m) and the warp length L(m) at the towing speeds of 2.5k't and 3.5k't werw as follows ; D(m) = 0.30L - 1.3(2.5k't), D(m) = 0.16L - 1.5(3.5k't). Therefore, the net depth was 3.0m deeper when the warp length was 10m longer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1.6m deeper for 10m longer at the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sinking speed of FMT was 6.5m/min when the warp releasing speed was 24m/min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3.8m/min for 25m/min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rising speed of FMT was 6.9m/min when the warp rewinding speed was 28m/min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5.3m/min for 25m/min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The mean elapsed time getting to the stable towing condition was 104sec at the towing speed of 2.5k't and was 105sec at the towing speed of 3.5k't,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time difference for the towing speed variation. During the towing, the net depth was comparatively stable on the condition of no change for the warp length and the towing speed.

술 전 분무한 10% lidocaine이 현미경 하의 후두 미세 수술 시 혈역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operative Sprayed 10% Lidocaine on the Hemodynamic Response during Suspension Microlaryngeal Surgery)

  • 이덕희;도현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62-169
    • /
    • 2007
  • 현미경 하 후두 미세 수술에서 10% lidocaine 술 전 분무가 혈역학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기 위하여 대상 환자 50명을 각 25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10% lidocaine 분무군으로 하였다. 마취 유도 후 대조군에서는 근이완제 투여 후 3분 30초에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으며, 연구군은 근이완제 투여 2분 후 인후두 점막과 기관내에 lidocaine 1.5 mg/kg을 분무하였고 다시 1분 30초 후에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심박수를 마취 유도 전에 측정하여 기준치(T0)로 삼았으며 기관내 삽관 후 1분(T1), 3분(T2), 5분(T3), 현수 후두경 거치 후 1분(T4), 3분(T5), 5분(T6), 10분(T7)에 각각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동맥압과 심박수가 기관내 삽관후 3분까지 그리고 현수 후두경 거치 후 3분까지 대조군에 비하여 10% lidocaine 분무군에서 유의하게 낮음을 보아 기관내 삽관 전 10% lidocaine 분무는 기관내 삽관과 현수 후두경으로 인한 심혈관계 자극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Bacillus subtilis DEAD-Box RNA Helicase 유전자 결손 균주들의 저온 민감성 생장 (Cold-Sensitiv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Mutants Deleted for Putative DEAD-Box RNA Helicase Genes)

  • 오은하;이상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3-239
    • /
    • 2010
  • Bacillus subtilis에 존재하는 DEAD-box RNA helicase에 대한 유전자 상동성 검색을 통해 yqfR, yfmL, ydbR, deaD 의 4종류의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이들 유전자 각각의 결손 돌연변이체를 제조하였다. 이들 돌연변이체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B 배양액을 사용하여 여러 온도에서의 생장 속도를 조사하였다. LB 배양액에서 $37^{\circ}C$의 생장 결과 ydbR 결손 균주가 다소 생장이 느려지나($T_d$=53 min) 다른(yqfR, yfmL, deaD) 결손 돌연변이체들은($T_d$=30-40 min) 결손이 없는 야생형 균주 CU1065와($T_d$=32 min) 유사하였다. 반면에 $22^{\circ}C$에서의 생장은 CU1065 ($T_d$=102 min)에 비해 yqfR ($T_d$=151 min), yfmL ($T_d$=214 min), ydbR ($T_d$=343 min) 결손 균주 순으로 생장속도가 느린 저온 민감성을 보인다. deaD의 $22^{\circ}C$에서의 생장 속도는 ($T_d$=109 min) CU1065와 ($T_d$=102 min) 매우 유사하여 저온 민감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들 유전자들의 이중, 삼중, 사중의 결손 균주들을 제조하였고, 여러 온도에서 ($42^{\circ}C$, $37^{\circ}C$, $22^{\circ}C$) LB 배양액을 사용하여 생장 속도를 측정 하였다. 다중 결손은 단일 결손보다 더 심한 저온 민감성을 보이며, 이중 결손의 경우, ydbR과 yfmL의 결손이 다른 조합의 결손보다 보다 큰 저온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T_d$=984 min). 이러한 저온 민감성은 E. coli의 csdA 혹은 srmB 결손의 결과와 유사하며 리보솜 조립과 관련이 있는 생리적 기능으로 보인다.

이기종 사물들의 효과적 동작을 위한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IoT Middleware for Effective Operation in Heterogeneous Things)

  • 전수빈;한영탁;이충산;서동만;정인범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517-53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미들웨어인 MinT를 제안한다. MinT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주변 디바이스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지역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MinT는 이기종 센싱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Sensor Abstract Layer,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및 외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리소스 관리, 디바이스 플랫폼의 성능에 따라 요청에 대한 처리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호작용 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상위 API 제공을 통해 사용자들이 쉽게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은 데이터 관리 및 요청 처리 성능 향상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에너지 효율 및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평균 요청 처리율이 평균 25% 증가 하였고 평균 응답시간은 90% 감소, 에너지 소비 또한 68% 감소한 것을 입증하였다. 결국 제안하는 미들웨어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전송 지연 및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를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전자식유량계를 활용한 홀스타인 젖소의 비유형질 분석 (Analysis of Daily Milking Flow in Holstein Dairy Cow Using the LactoCorder)

  • 조광현;최준표;유병화;이득환;공홍식;박경도;이학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265-272
    • /
    • 2009
  • 본 연구는 임실군 관내 16농가를 선정하여 총 486두에 대한 비유기록을 수집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비유개시 3분이내 유량(3MG)은 7.44 kg으로 총 유량의 55%가 3분이내에 비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우유속 거품함량(SPL)은 33.93%였으며, 평균 후착유 유량은(MNG)은 0.14 kg으로 총 유량의 1%에 불과하였다. 순간최고유속(HMF), 분당최고유속(HMG)과 주착유시평균유속(DMHG)에 대한 평균치는 각각 3.03 kg/min, 2.94 kg/min과 2.05 kg/min으로 임실군 젖소군의 비유속도는 대체적으로 느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유개시부터 유속 500 g/min 도달시간(tS500)은 평균 0.23분(약 14초) 이었으며, 총비유 시간(tMGG)의 평균은 7.75분이었다. 평균 과착유소요시간(tMBG)은 0.58분(35초) 이었으며, 후착유소요시간(tMNG)은 평균 0.42분(14초) 걸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고유속시 전기전도도(ELHMF)와 비유개시시 최고전기전도도(ELAP)의 평균은 각각 6.81 mS/cm와 7.58 mS/cm로 조사되었고 최고유속이후 최고전기전도도(ELMAX)는 평균 7.48 mS/cm로 나타났으며, 비유초기와 최고유속의 전기전도도 차이(ELAD)는 평균 0.61 mS/cm로 나타났다. 총비유량은 주착유시 평균유속(DMHG), 주착유시간(tMHG), Plateau 비유 소요시간(tPL), 비유하강기 소요시간(tAB)과 총착유 시간(tMGG)에 대하여 0.35~0.54 범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과착유시간(tMBG)과 우유속 거품함량(SPL)과는 각각 -0.11과 -0.27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주착유시 평균유속(DMHG)이 증가하면 총비유시간(tMHG), Plateau 비유 소요시간(tPL), 비유하강기 소요시간(tAB), 총비유시간(tMGG)과 우유속 거품함량(SPL)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개시시 전기전도도가 높은 개체의 우유는 체세포 수가 적은 반면 최고 비유기 이후 최고전도도가 높은 개체의 우유는 체세포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유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착유 및 비유에 대한 표준안을 바탕으로 착유를 실시하면 유량과 유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미주신경간절제술에 있어서 $^{99m}Tc-DISIDA$ 신티그램을 이용한 총수담관 및 Afferent loop의 평균지연시간 (The Mean Transit Tim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Using $^{99m}Tc-DISIDA$ Scintigram in Truncal Vagotomy)

  • 문태용;김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9-203
    • /
    • 1988
  • The authors observed functional chang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with the transit time of $^{99m}Tc-DISIDA$ scintigram in patients treated by the surgical operation of gastric ulcers and cancer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87 to April, 1988. So authors estimated the time between the peak activity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TCA), the half transit time of the CBD activity (t 1/2 CBD) and the half transit time of the afferent loop activity (t 1/2 A-loop) in 9 patients undergone truncal vagotomy, who have no specific symptoms at 2 to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5 patients undergone the operation without truncal vagotomy, and 7 persons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 In control group,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duodenum were $8.6{\pm}9.0$ min, $38.7{\pm}17.3$ min. and $28.6{\pm}10.9$ min, respectively. 2) In the operation group without truncal vagotomy,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A-loop were $10.0{\pm}7.1$ min. $48.2{\pm}22.3$ min. and $39.4{\pm}26.7$ min. respectively. 3) In the operation group with truncal vagotomy,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A-loop were $15.0{\pm}8.7$ min., $36.1{\pm}16.5$ min. and $42.6{\pm}24.4$ min,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 tim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is not affected by truncal vagotomy.

  • PDF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Gelatin-Acacia Microcapsules of Sulfamethoxazole

  • Yoo, Bong-Gyu;Lee, Min-Hwa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2권4호
    • /
    • pp.112-125
    • /
    • 1982
  • Sulfamethoxazole particles were microencapsulated using the gelatin-acacia complex coacervation method. Micromeritic properties and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apsules were studie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followed log-normal form. As the hardening time increased, the particle size and wall thickness increased ($45.3-52.0\;{\mu}m$, $2.02-5.12\;{\mu}m$, respectively).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cross-linked wall structure of formalized microcapsules which prevents shrinking of gelatin during the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es. An increase of hardening time clearly delayed the release rate. The in vitro 50% dissolution time $(t_{50})$ for unencapsulated sulfamethoxazole powder was less than 3 min.; for microcapsules hardened for 30 min, the $t_{50}$ was 20.1 min.; for those hardened for 60 min. the $t_{50}$ was 25.0 min.; for those hardened for 120 min., the $t_{50}$ was 35.8 min. The surface of the unhardened microcapsules was smooth and had no cracking or pore penetration. However, the surface of the hardened microcapsules was folded and invagin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