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mesi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영화와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소론 (Cinema around "Virtual Reality" techniques)

  • 앙트완 코폴라
    • 트랜스-
    • /
    • 제10권
    • /
    • pp.1-13
    • /
    • 2021
  • 가상 현실이 미디어들 전반에 걸쳐 잘 알려져 있다면, 몇 가지 시각적 개념이 분명 VR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런 시각적 개념과 VR 기술의 철학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미디어 기술력의 홍보 캠페인에서 우리는 VR 테크닉을 보여주는 영역 기술들과 영화에서 VR 표현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부정적 이미지 -전체주의적 미래에 대한 오웰적 비전과 관련된- 가 상당히 일반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한다. 논문의 두 번째 파트에서는 VR 영화들, 특히 이나리투 감독과 비글로우 감독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고개돌림'과 '걸어다님'의 영화들의 한계를 논한다. 마지막으로 VR이 영화를 상영하는 새로운 공간 혹은 인터넷과 연결된 플랫폼이 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홀로코스트 문학의 재현방식 -마틴 에이미스의 『시간의 화살』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Holocaust in Martin Amis's Time's Arrow)

  • 홍덕선
    • 영어영문학
    • /
    • 제58권2호
    • /
    • pp.347-378
    • /
    • 2012
  • Holocaust fiction has always raised the moral and aesthetic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mimesis and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atrocity. The Holocaust, defying any representation of it, has been considered as unspeakable, unknowable, and incomprehensible. This essay aims to explore Martin Amis's narrative strategies in Time's Arrow to conduct the difficult tasks of re-creating the primal scene and of discovering a moral reality behind the Holocaust. One of the major narrative experiments in Time's Arrow is the time reversal: the story moves from the present of phony innocence to the past of unrelieved horror. Reversing the temporal order of events reverses causality and generates the revision of the morality, ultimately creating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uncertainties. Amis's novel is also nar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double persona of the protagonist who, as a Nazi doctor, participated in the massacre in Auschwitz and then fled to the United States following the war. As almost a self-conscious storyteller, the narrator shares a sense of retrospective guilt with the reader who finally realizes that the Holocaust was a world turned upside down morally. Amis's postmodern narrative strategies are unusual enough to warrant a new way of representing the Holocaust.

미국 보자르 건축의 이론과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On the Beaux-Arts Discipline of Architectural Design in America)

  • 배형민
    • 건축역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85-100
    • /
    • 2000
  •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Beaux-Arts discipline of architecture, as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n America. It focuses on trio particular modes of vision and representation that were at the heart of the discipline. The paper argues that Beaux Arts vision was centered on what may be called 'planar vision'; a mode of seeing through which the multiple aspect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mbedded in the plan were read and re-interpreted. Similarly Beaux-Arts training in drawing required its student to draw within the multiple layers of historical traces; the new design being in effect a new layer placed on often unseen traces of monumental precedent.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practice was not based on history but on the concept of composition. Composition, in the French tradition was regarded more a matter of practice than theory. The Anglo-American discourse on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formed a body of theoretical literature based on formalist assumptions. There was, however, a fundamental gap between these formalist theories of composition and the 'layered' modes of vision and drawing involved in the design process. This practice leaned more on the modern romantic notion of 'intuition' for its theoretical basis, once again forming an immanent conflict with the mimetic practice of classical and historical architecture. The paper draws a picture of a discipline centered on a 'theory of the plan,' a potentially modern discipline integrated with classical forms and details. It was clearly effective as a practice. However, structured by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istory and form, mimesis and intuition, the Beaux-Arts was unable to defend itself at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level the modernists engaged their attacks on this system. At the same time, the paper poses the question of how different modern architecture is from this system. Is not the 'theory of plan,' in its many transformations and guises, still the central discipline of twentieth century modern architecture, and is it not structured by basically the same kind of conflicts and paradox that were immanent to the Beaux-Arts system.

  • PDF

루이스 칸 건축의 외부화된 내부에 관한 연구 - 연결공간의 체험과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teriority of Interior in the Louis I. Kahn's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tudy of Character of Connecting Elements -)

  • 우영선;신범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35
    • /
    • 2005
  •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experience and expression in the architecture of Louis I. Kahn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of entrance, court and window/wall of his public buildings. In the course of composition, Kahn defined the entrance, court and window/wall as an connecting elements and elements of boundary. The characters revealed by these elements or rooms give the clue to insight Kahn's thought of rel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r inner and outer space. Following are the characters of these elements. First, a entrance reveals the fact that inner space separates from outer space by connecting these two space and giving the value to inner space as the entity and totality like outer space. The entrance gives its ontological being to human subjects not by vision but experience and expression which is the essence of commonness, that is, Silence. Kahn made the possibility of activity amplify in this common and silent space. Second, this entrance is connected with wide and huge central space not individual spaces of interior space. This extreme procedure of entering makes human subject feel sublime of intoner space. And the central spaces becomes another exterior or another world in the inner world of architecture by the lights from above and by having the boundary wall which shows same pattern of exterior wall. Third, Kahn regarded a window as the giver of lights not as the medium of vision connecting inner space with outer. He tried to connect interior with exterior through the being and character of the light expressed in the interior. And in his buildings, interior space is connected with exterior by expressing the purpose of building, composition of inner space, structural truth and construction facts through the Form, a pattern of wall, details and ornamental joints. By practicing this thoughts in the real buildings, Kahn tried to gave aura to both the interior space and entity of architecture which is regarded as micro universe like flowers, rocks and human beings.

  • PDF

현대복식미에서의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in modern Clothing Aesthetics)

  • 이은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121-131
    • /
    • 1995
  • 오리엔탈리즘은 20세기 초에 스타일의 변화에서 시작되었다. 현대성은 역사적 개념이전의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서양에 있어 스타일의 변화는 동양적, 이국적 취미를 가진 예술가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것은 외형적으로 일본, 모로코, 북아프리카에 대한 외형의 재현이었다. 20세기 양식의 흐름은 표현주의, 큐비즘, 쉬르 뤼얼리즘, 팝아트로 이어진다. 그러나 오리엔탈리즘은 후에 원시주의로 보여지는 에그조티즘 이후 20세기 변화의 원천이 되었다. 현대복식에서는 신체의식을 변화시킨 뽈 뿌와레의 작품과 관련지어 본다. 그는 이브 생 로랑, 샤넬, 발렌시아가와 같은 이미지 창조자였다. 당시 러시아 발레, 야수파, 생생한 색상은 일련의 현대복식의 배경이 되었다. 부드럽고 유연한 신체, 비치는 스타킹, 미나레 튜닉, 터번 등은 오리엔탈 이미지의 시작이었다. 현대복식과 현대 조형은 역사적 개념이전에 미적 기초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 PDF

르네 지라르의 욕망이론으로 본 양영순의 (Analysis of Yang, Youngsun's 1001 on the viewpoint of René Girard)

  • 장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5호
    • /
    • pp.133-154
    • /
    • 2011
  • 양영순의 "천일야화"는 작가 자신에게도 첫 장편 극화라는 의미가 있는 작품이고, 우리나라 만화계에도 웹환경에 최적화된 양질의 웹툰의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원작과 차별적으로 재구성된 "천일야화"의 의미구조를 르네 지라르의 모방 욕망 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으로 설명해 보고자 했다. 작가는 매일 여성을 죽이는 왕, 샤 리야르의 수수께기와 같은 내면을 선왕과의 비교의식 위에 진짜 꿈을 잃고 왕비의 사랑이라는 잘못된 대상 추구에 빠져있던 어리석음으로 드러내고, 이와 대비되어 세라자드의 희생정신과 지혜를 보여주었다. 샤 리야르는 세라자드가 들려주는 다섯 이야기를 겪으며 자신을 사로잡고 있던 부정성을 발견하고 자신을 지탱해주고 있던 이들에 대한 감사와 원래의 꿈을 되찾았다. 양영순의 "천일야화"는 인간의 어리석고 어두운 측면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에 결말부분에 가서는 주인공인 샤 리야르가 그 값을 치루는 희생양으로 죽임을 당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힘을 보여주었던 세라자드가 낳는 그의 아들을 통하여 샤 리야르가 방황가운데 되찾은 꿈이 이루어지는 보완적인 완결을 이루었다.

대중운동의 파시즘적인 폭력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 (Adorno's critique of the possibility of fascist violence in popular movements)

  • 김진애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141-166
    • /
    • 2017
  • 아도르노가 대중운동에서 가장 중요하게 비판하고 있는 지점은 혁명 지도자와 추종자의 동일성이다. 그 동일화 작업은 세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 특징은 실제의 적대자보다 더 한 이미지를 만들어 적과 동지의 구분을 확실하게 해 집단 내에 연대감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대감에 의해 조성된 대중 안에서 저항하는 개별적 주체들은 사라지고 집단과 동일화된 주체만이 존재하게 된다. 두 번째 특징은 낙관주의적인 유토피아를 제시해 대중이 초월적 가치로부터 구원이 도래한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중운동은 본인이 속한 연대에 어긋난다고 여겨지는 다른 집단이나 사람들에 대해 논의 과정 없이 비난하는 데에 그친다. 세 번째 특징은 나르시시즘을 기반으로 한 대중 최면상태를 통해 개별적 주체가 사라진 대중이 지휘자들과 동일화 되어 다른 주체들에게 자신이 걸린 최면상태를 강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가 대중운동의 파시즘적인 폭력에 대해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대중운동의 과제에 대해 어떤 것을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따지야나 똘스따야의 문학세계 - '잃어버린 낙원', 유년으로의 회귀 (The Literary World of T. Tolstaya)

  • 이수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265-293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the literary world of T. Tolstaya, a Russian writer who takes a crucial position in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drawing upon the wrier's a couple of short stories. 'Youth' is a key motive encompassing all works of Tolstaya, so that it becomes the poetic keynote among her literary works. In order to examine such distinctions of the main characters' world awareness in their youth as shown in Tolstaya's literary works, Chapter 2 of this paper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analyse of her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Sitting on a Golden Terracing Stone" and "Meeting with a Bird", and expressed potential implications of youth with mimetic imagination for her. For Tolstaya, youth is perceived as a paradise but original imagination of youth gradually fades away in adult and ends up with a lost paradise. This is why Tolstaya uses poetic means based on nostalgia for youth like paradise and literary motto for recovery of imagination in youth. In this regard, this study particularly examined the retrospective prologue resisting the power of time as well as different fictional characters living in her own fantastic world.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a conclusion that such longing and nostalgia for youth and lost paradise as delineated by Tolstaya through retrospective prologue and characters speak for an existential speculation that explores any profound implication of afflictions in reality of human lif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ainful reality of human life which consists of honest dialogues with realities like 'darkness' and 'pain.' In addition, this study, complying with Zolotonosov's ideas which deal with and define Tolstaya's literary works as a shabby and humble box invisibly containing a full wealth of precious jewels inside, sheds a new light on the writer's literary world.

게임 속의 세계는 세기말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는가? -게임 속 세기말의 구현 방식에 관한 분석 : Resident Evil 3, Parasite Eve 2, Silent Hill 3 중심으로- (How does the world in the game reveal the end of the century? -Analysis on the method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end of the century in the game : With focus on Resident Evil 3, Parasite Eve 2, Silent Hill 3-)

  • 옥선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24
    • /
    • 2021
  • 본고는 세기말의 사회를 구현하는 게임의 방식을 다룬다. <레지던트 이블>, <패러사이트 이브>, <사일런트 힐>이 그 분석의 대상이다. 이 글은 각 게임의 세계관과 그 내용을 전달하는 게임의 언어 탐구, 게임이 모방하는 현실의 특정 부분과 그것을 재현하는 방식의 분석, 구현된 세계와 실제 세계 사이의 연관성 검토, 현실의 가려진 측면을 재현의 방식으로 드러내는 게임 미디어의 '대안적 시각'의 제공 가능성의 고찰로 구성됐다. 게임의 이미지는 우리의 시각을 보완할 눈이 되어, 현실의 특정 측면을 포착해서 의미 있는 부분을 획득하고, 그것의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희생양 메커니즘 적용을 통한 케이팝 걸그룹의 졸업제도 연구 - <9 Muses of Star Empire>를 중심으로 - (A Study of K-Pop Girl Group's Graduation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capegoat Mechanism - Focusing on <9 Muses of Star Empire> -)

  • 이학준;김정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3-71
    • /
    • 2020
  • 케이팝의 힘은 대단하다. 변방의 대중문화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놀라운 일이다. 국내외 미디어들이 케이팝 성장의 비밀을 밝히려고 애쓰는 까닭이다. 하지만 케이팝의 괄목할 성장 이면에 감춰진, 아이돌 그룹(보이그룹, 걸그룹) 내부의 치열한 경쟁과 강제적인 멤버교체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현상 가운데 하나가'졸업제도'이다. 르네 지라르는 욕망의 모방성과 폭력성, 그리고 이를 무마하기 위한 희생양 메커니즘을 주장했다. 본고는 걸그룹 <나인뮤지스>의 데뷔과정에서 벌어진 졸업제도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온라인 인터렉티브 사이트, 단행본 등 일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졸업제도에 희생양 메커니즘을 적용한 뒤 케이팝에서의 졸업제도를 정의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