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intake frequenc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학생의 성별과 비만도가 아침 식사와 간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x and Obese Index on Breakfast and Snack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주은정;박은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7-496
    • /
    • 1998
  •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first to 15th, among 463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grade to 6th grade in Chonj. The subjects were 252 male and 211 female studen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9.8 year The percent of relative body weight of the subjects compared to Korean standard was 100.1%, it almost matched to Korean standard. The percent of relative body weight in male students was 100.4%, where as the female's was 99.7%. Thirty six percent of the subjects have breakfast irregularly. The reason skipping breakfast were 'no appetite' 50.5%, 'get up late' 35.8%,' no delicious food' 18.2%. The reason skipping breakfa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and obese index. The frequency taking snac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34.6% of female subjects took snack more than twice per day, while 16.7% of male subjects did it. The most frequently taking snack were fruits, the points was 4.0 of 5.0. Ramyun, Sundai were taking more frequently among males than females. Females took fruits more frequently than males. Hot dog, ice cream ,and chocolate intak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bese index. The most preference of snack were fruits and ice cream in all subjects. The preference of ramyun, hamburger, egg, chicken, dried squid, milk, peanut, and soft drink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Biscuit, ice cream, and chocola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e index.

  • PDF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과 성장상태 및 식생활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icky Eating Behavior, Growth, and Dietar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

  • 김지선;강수경;계승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ating behavior, growth, and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ged 3~5 years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37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between April and June 2018. Z-scores for weight-for-age, height-for-age, and BMI-for-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children's growth status. Dietary practices were evaluated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Results: In our study, 29.5% of children were in the eating-small-amounts group, 46.8% of children were in the neophobic behavior group, and 61.2% of children were in the refusal-of-specific food group. Specific foods found to have a high frequency of rejection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as follows: shellfish, soy, mushroom, shrimp, vegetables, milk, eggs, yogurt, seaweed, meat, fruits, and fish. The eating-small-amounts group had lower Z-scores for weight-for-age, height-for-age, and BMI-for-age than the non-picky eaters' group. Compared to the non-picky eaters' group, the eating-small-amounts group of picky eaters had lower scores on the moderation and environment items of the NQ-P, the neophobic behavior group had lower scores on the balance and environment items of the NQ-P, and the refusal-of-specific food group had lower scores on the balance, moderation, and environment items of the NQ-P. Conclusions: Children classified with picky eating behavior had lower growth and development, lower diet diversity, less balanced food intake, and had greater difficulty in abstaining from eating unhealthy foods than non-picky eaters. Therefore, a lot of patience and intensive efforts are needed to encourage children to encounter, experience, and accept unfamiliar food.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eating behavior guidance by gently encouraging children, than by being strict and forceful. Besides, since the eating behavior of children is influenced maximally by the dietary lifestyle at their home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a healthy dietary lifestyle is maintained at home.

충북(忠北) 벽촌지역(僻村地域) 국민학교(國民學校) 아동(兒童)의 식생태(食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Ecological Aspect of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Remote Villages of Chung Buk Province)

  • 백수경;최경숙;김복희;윤혜영;모수미;김인숙;강성구;김종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7-228
    • /
    • 1990
  •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was conducted among 198 children, 6 to 12 years old, of the Songmyun elementary school and Samso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remote villages of Chungchun-myun, Goisan-gun, Chung Buk Province between July 11 and 16, 198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gard to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3.3% of subjects skipped every morning; 15% often skipped; and the others never skipp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skipping a meal was lack of appetite. 6.6% of subjects often skipped an evening meal because of delayed meal preparation by a mother who returned home late. The survey found that 5.1% of subjects skipped a lunch at school. The reasons for skipping lunch were the mother’s being too busy to prepare a boxed lunch; a school bag too heavy to carry for a long distance to school; no adequate side-dishes for the boxed lunch. Growth patterns of those children having poor food habits, were reflected in lower figures in arm circumference and weight for height. The percentage of children having meals with their family on weekdays was 84.7% for breakfast; 85.6% for evening meal. About 7% of subjects had many dislikes and 74.1% had some dislikes in what they ate; 18.9% had good food preference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ppetite or food preferenc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r nutrient intake. Boiled rice was the predominant dietary staple, and principal sources of protein taken by subjects at home were soy beans and soy products. Regarding the boxed lunch prepared at home, most popular was one with only one kind of side-dish, including kimchee. 43.4% of the side-dishes were prepared with vegetables only. As for between meal snacks, milk and milk products, fruits and breads were popular among the subjects. The survey found that the children liked fruits, yogurt, corn, Chajang noodle; in contrast, lowest preference was for soup made with bones, curried meat with rice, and aromatic vegetables. The survey discovered a local dietary characteristics; 46.2% of the children customarily ate frog meat, an unconventional food.

  • PDF

Dietary Habits Contributing to Breast Cancer Risk Among Iranian Women

  • Mobarakeh, Zahra Sheikhi;Mirzaei, Khadijeh;Hatmi, Nadia;Ebrahimi, Mandana;Dabiran, Sohaila;Sotoudeh, Git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543-9547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mographic features, dietary habits, and some possible risk factors for being susceptible to breast cancer in Irani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study of dietary habits and breast cancer was conducted among 53 Iranian women with histological confirmed disease and 40 matched controls. A dietary habits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pattern of selected food intakes. The risk of cancer was analyzed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Age,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educational status, parity, lactation, marital status, menopause, history of estrogen therapy, and family history of breast disease or cancer were assessed among participant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of high fat meat, milk, yogurt and cheese as well use of frying oils for frying foods, use of olive/liquid oils for cooking, removing fat from meat and poultry, removing chicken skin and not use of mayonnaise as salad dressing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Moreover, salad,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and eating outdoors owere investigated. Results: Our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lower education and higher BMI and waist circumference level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reast cancer risk in overweight women in comparison with normal weight (OR=2.91, 95%CI 1.24 to 6.82). High intake of fat dairy products including milk and cheese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increasing breast cancer risk in models adjusting for age, BMI and education. Use of olive/liquid oils for cooking and avoidance of mayonnaise as salad dressing are related to lower risk of breast cancer.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ompared to healthy women. Conclusions: Dietary habits might b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Iranian women. Adoption of a prudent diet could b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preventing breast cancer.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식생활 비교 연구 (h Study on Dietary Practices of Juvenile Delinquents in Korea)

  • 박선주;최혜미;모수미;박명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12-525
    • /
    • 2003
  •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ractices and juvenile delinquency was studied using a dietary surve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eoul Prob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2 male and 52 female delinquents. As a control group, 104 exemplary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lifestyle, eating behavior, food frequency, and nutrient intake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Compared to the exemplary students, the juvenile delinqu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ducation level, family status, monthly allowance, residence status, breast fed, parents' education level, parents' concern. In dietary habits, fifty-eight percent of the juvenile delinquents ate 2 or fewer meals per day, preferred to eat with friends, and liked hot tasting foods. The juvenile delinquents consumed more ion drinks (OR = 9.26 CI: 3.83 -22.37), rameon (OR = 7.67 CI: 3.21 - 18.33), cola (OR = 6.75 CI: 2.91 - 15.69), soft drinks (OR = 6.12 CI: 2.53- 14.81), steamed korean sausage (OR = 5.34 CI:2.31 - 12.32), hamburger (OR = 5.15 CI: 1.91 - 13.87), kimbab (OR = 3.63 CI: 1.76-7.46), ddokbokgi (OR = 3.17 CI: 1.58-6.38), candy (OR = 3.08 CI: 1.41-6.73), white rice (OR = 2.59 CI: 1.19-5.64), hotdog (OR = 2.52 CI: 1.31-4.86), and less rice mixed with grains (OR = 0.02 CI: 0.01-0.05), tangerine (OR = 0.06 CI: 0.02 - 0.20), milk (OR = 0.29 CI: 0.14 - 0.60), roasted fish (OR = 0.32 CI: 0.28-0.99, anchovy (OR = 0.35 CI: 0.17 - 0.72), seaweed (OR = 0.37 CI: 0.16 - 0.83), and tofu (OR = 0.48 CI: 0.23-0.99) than the exemplary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juvenile delinquents, the nutrient intakes lower than 75% of the Korean RDA were for riboflavin (75.0%) and calcium (47.9%) among the boys, and calcium (46.9%) and iron (60.4%) among the girl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nutritional education and well-balanced school food service meals should be emphasized so a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dietary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 512∼525, 2003)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섭취상태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Feeding Method during Infant Peri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명화;최미경;김현진;배윤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7-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모유영양군, 인공영양군, 혼합영양군으로 분류하여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아기 영양법이 이후의 식사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9.7세였으며,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각각 139.0 cm, 34.6 kg, $17.8kg/m^2$로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아기 영양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초유를 섭취한 비율은 모유영양군 97.2%, 혼합영양군 92.7%로 인공영양군의 40.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이유 시기 및 첫 이유 식품에서 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식습관 조사 결과 간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는 비율은 모유영양군 10.0%, 인공영양군 9.4%로 혼합영양군의 3.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사 및 외식빈도 등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식습관 점수와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은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장기 아동에서 영아기 영양법에 따라 간식섭취 빈도, 우유 유제품 및 채소 섭취 정도 등과 같은 식습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영아기 영양법에 따른 성장, 건강, 식습관 및 식사섭취상태 등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증진센터 고객의 비알콜성 지방간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식사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quality in adults of a health screening and promotion center according to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장지호;이혜승;강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5호
    • /
    • pp.330-3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NAFLD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의 질을 분석하여 영양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질병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남성은 40~50대 비율이 높았고, 여성은 50~60대 비율이 높았다.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키, 체중, BMI,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2) 식습관은 남녀 연구 대상 전체를 분석한 결과, 식사속도가 '빠르다'는 응답이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과식빈도, 외식빈도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잦았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빈도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카페인 섭취가 '하루 3잔이상'인 경우가 NAFLD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식품군별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NAFLD군에서 곡류, 고기류, 생선류, 단당류, 단음식 (빵 과자), 커피 및 차류, 유지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이에 반해 전분류와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적었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에서 곡류, 생선류, 콩류, 김치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알류, 해조류, 우유 및 유제품류, 단음식 (빵 과자), 커피 및 차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었다. 연구 대상 전체 NAFLD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곡류, 고기류, 생선류, 해조류, 김치류, 단당류, 커피 및 차류, 유지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반면 전분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4) 총 에너지 섭취량은 남성, 여성, 연구 대상 전체에서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소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티아민, 비타민 E, 니아신, 인, 나트륨, 아연,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B_6$, 니아신,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5)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탄수화물,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칼슘, 인, 철분, 칼륨, 식이섬유소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성의 경우 NAFLD군은 정상군에 비해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지방, 리보플라빈,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식사의 질 평가에서는 다섯 가지 주요식품군이 모두 포함된 식사 (KDDS = 5)를 하는 경우가 여성, 연구 전체 대상에서 정상군이 NAFL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리보플라빈, 칼슘, 식이섬유소의 NAR은 정상군에 비해 NAFLD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NAFLD군에서 빠른 식사속도, 과식, 잦은 외식 등 불량한 식습관을 보였다. 또한, NAFLD군에서 전분류, 우유 및 유제품, 과일류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총 에너지 섭취량은 NAFLD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과다한 에너지 섭취, 불균형적인 영양소 섭취, 불규칙적인 식습관 등은 NAFLD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영양상담을 통해 식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하고, 골고루 균형있게 적당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국내 NAFL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섭취요인에 관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서도 NAFLD가 보고되고 있다. 앞으로 국내 비만하지 않은 NAFLD 여성과 비만한 NAFLD 여성의 식습관 및 영양 섭취 상태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식품영양 전공 및 비전공 여대생의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장경자;정선희;권우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3-30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 at a university located in Inchon. The subjects included 74 female Food and Nutrition and majors and 45 non-Food and Nutrition 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10.0 program. The nutrient intake data collected from Three-day recalls were analys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and then the diet quality was estimated using the Mean Adequacy Ratio (MAR), the Nutrient Adequacy patio (NAR) an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s between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However, mos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poor eating habits, such as overeating, unbalanced meals, and skipping of meals. In particular, more than 50%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kipped breakfast. As for weighing themselves once a week, changing dietary lifestyles, calculating food calories and having interest in information on nutrition on health, the ratio of Food and Nutrition majors was significantly higher as compared to that of the non-maj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consumption frequency except for mick and milk products, and iron-rich foods between the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scores of iron-rich floods between the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The MAR of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were 0.80$\pm$0.13, 0.79$\pm$0.13, respectively. However, in the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the NARs of calcium were 0.61$\pm$0.21 and 0.59 $\pm$ 0.20, and that of iron were 0.61$\pm$0.21 and 0.59$\pm$0.16, respectively, which was extremely low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nutrients.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the INQ.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is necessary i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re to practice optimal nutrition, including well-balanced diets and eating foods of high nutritional quality.

도시와 농촌 여중생의 영양섭취상태, 식습관 및 철영양상태 연구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 Eating Habit, Iron Status of Urban and Rural Middle School Girls)

  • 홍순명;서영은;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34-1640
    • /
    • 2004
  • 울산광역시의 도시 여중생 129명과 울주군의 농촌의 여중생 182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액검사와 설문지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식사 섭취량, 식생활 태도와 식습관들을 조사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혈액성분을 분석하여 도시와 농촌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시 여중생의 평균 신장은 157.8$\pm$4.9 cm, 농촌이 157.7$\pm$5.1 cm이며 체중은 도시가 51.7$\pm$10.3 kg이고 농촌이 51.9$\pm$9.2 kg이었다. 체질량지수(BMI)는 도시가 20.7$\pm$3.3, 농촌이 20.8$\pm$3.2으로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고, PIBW(percent ideal body weight)는 도시가 100.3$\pm$13.2%, 농촌이 100.6$\pm$13.4%으로 신체발달지수면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식사시간의 규칙성에 대한 질문에는 도시여중생의 경우 '불규칙적이다(19명)'와 '대체로 불규칙적이다(28명)'로 응답한 학생이 47명으로 전체의 36.4%에 해당하였으며, 농촌여중생은 '대체로 불규칙적이다', '불규칙적이다'로 대답한 학생이 83명으로 전체의 47.7%로 조사되어, 농촌 여중생이 도시 보다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상자의 식습관 문제점에 대한 질문에는 '맵고 짠 음식을 선호한다'와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농촌여중생이 도시여중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식품군별 섭취빈도를 비교해보면 농촌여중생이 도시 여중생보다 우유$.$유제품(p<0.001), 김치(p<0.05), 두부, 된장, 콩류(p<0.001)의 섭취빈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총 열량 섭취량을 보면 도시 여중생은 영양권장량의 82.0%, 농촌여중생은78.6%에 불과하여 열량섭취가 권장량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촌여중생의 섭취가 약간 낮았으나 도시 여중생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단백질 평균 섭취량은 도시 여중생은 권장량의 95.2%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촌여 중생은 권장량의 86.4%에 해당되어 도시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은 섭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철의 섭취량은 도시여중생이 권장량 대비 89.8%, 농촌이 80.9%를 나타내고, 칼슘은 도시여중생이 권장량 대비 78.5%, 농촌이 68.8%로서 가장 부족된 섭취를 하는 영양소로 조사되었다. 도시와 농촌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여 보면 지방, 탄수화물, 총열량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영양소 섭취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hemoglobin 농도는 도시지역은 13.28 g/dL, 농촌지역은 12.51 g/dL로 농촌여중생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hematocrit치는 도시 37.82%, 농촌 38.13%로 도시와 농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빈혈 기준인 12 g/dL미만을 기준으로 평가한 빈혈빈도를 살펴보면, 도시지 역 여중생 이 6.1%이었고, 농촌지역 여중생은 34.6%으로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농촌여중생이 도시 여중생보다 hemoglobin농도와 RBC수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hemoglobin농도로 평가한 빈혈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원인으로 도시여중생에 비해 농촌여중생의 낮은 영양섭취상태, 낮은 식품군별 섭취빈도, 불규칙 한 식사습관이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겠다. 여중생의 경우 급격한 신체 성장과 월경으로 인한 혈액 손실 등으로 철요구량은 매우 높으므로 이시기의 철영양상태의 향상을 위한 영양교육과 함께 철영양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식사조절과 함께 철보충제의 복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도 여중생의 철영양상태 파악을 위해 농촌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하여 매년 계속적인 검사를 통하여 빈혈빈도를 파악하여 대상에 맞는 적절한 영양교육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라오스 도시·농촌 지역별 40~59세 주민들의 식행동, 식생활변화 및 식품섭취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changes of diet, and food intake between 40~59 years old subjec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in Lao PDR)

  • 김지연;이경옥;강민아;강윤희;이건정;김현수;;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111-124
    • /
    • 2016
  • 본 연구는 라오스의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른 식행동 및 최근의 식생활의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과 교외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0~59세의 979명 (남자 435명, 여자 544명)이었으며,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읽고 쓸 수 있는 비율, 고학력 비율, 가정 내 소유 물품이 많은 비율, 정부기관이나 사 기관에 근무자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적 수준은 전반적으로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전반적인 건강의 상태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몸무게,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이완기 고혈압 비율, 알코올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농촌은 도시 집단에 비해 흡연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관적 건강의 상태는 안 좋다는 비율이 농촌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매우 좋다는 비율은 도시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거주 지역별 남녀의 건강 상태를 비교 시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이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비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컸다. 4) 농촌에서는 하루 세끼 섭취 비율과 아침식사 섭취 횟수가 도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외식 횟수가 농촌 지역에 비해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식사의 평가와 주관적인 식욕의 정도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poor/fair' 비율이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5) 도시에서는 농촌 지역에 비해 최근 삼 년간 식사가 변화한 비율, 외식의 증가 비율, 서양식 식사가 증가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도시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 단백질 식품, 과일, 튀기거나 볶은 음식, 지방질 많은 고기의 섭취와 다양하고 균형잡힌 식사의 섭취가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에서는 도시 보다 세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 각 식품군별 섭취빈도에서 주간 섭취 횟수는 도시가 과일과 우유의 섭취가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채소의 섭취는 낮았다. 하루 섭취량은 도시가 과일, 우유의 섭취 양이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채소, 육류, 계란의 섭취 양은 낮았다. 8)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도시는 농촌에 비해 식습관에서 서구화의 영향을 더 받으며 전통적인 식사가 건강하지 않은 서구화된 식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비전염성질환을 증가 시키는 위험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모두에서 높은 만성질환율을 보이므로 건강한 식행동으로의 변화와 라오스의 만성질환율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개별적 맞춤형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