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intake frequenc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4초

중.장년기 여성의 식사패턴과 골밀도간의 연관성 연구: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예방유전체 지역사회 코호트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A Cohort of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 박선주;안윤진;김효미;주성은;오경수;박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2-360
    • /
    • 2007
  • Several nutrients are known to affect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these nutrients are combined with food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and BM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BMD in Korea Genome Epidemiology Study subjects. Among 2,884 women (40-69 yr) recruited at baseline study (2001), 861 subjects with BMD measurements at baseline and a 4-year follow up study (2005) completed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MD was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Ultrasound method. One hundred three food items were combined into 17 food groups and 4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using factor score classified each subject into one of three dietary pattern groups named 'Rice and kimchi eating' (n = 617), 'Contented eating' (n = 124), and 'Healthy and light eating' (n = 120).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 of fruit, vegetables, fish, milk and dairy products, and younger age, more exercise,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than other groups. The tibia BMD of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fter adjusting for the age. After the adjustment for the age BMI and exercise, the 'Healthy and light eat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odds of tibia osteopenia/osteoporosis risk compared to the 'Rice and kimchi eating' group both at the baseline [OR(95% CI) : 0.50(0.30-0.84)] and follow-up [OR(95% CI) : 0.59(0.36-0.97)] examinations. The dietary pattern with low calorie and high intakes of fruit, vegetables, fish, milk and dairy product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MD in middle-aged women.

충남 일부지역 아토피 피부염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in Chungnam)

  • 김은진;김현진;김세윤;김이영;이해지;강명화;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5-32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s,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Dietary conditions during infancy, dietary regularity, dietary behaviors, eating habits, and daily nutrient intakes were surveyed and compared between children with (WAD) and without (WOAD) atopic dermatitis using the 24-hr recall method. The ratio of children who responded 'I eat regular meal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WAD compared to WOAD group (76.4% vs. 81.7%, p<0.05). The ratio of children who answered 'I eat processed foods or fast foods more than once a week' (p<0.01) and 'I take nutritional supplements'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AD compared to WOAD group. The scores for 'I eat milk and its products everyday' (1.4 vs. 1.5, p<0.05), 'I eat dishes fried or stirred with oil more than twice a week' (2.0 vs. 2.1, p<0.05), and 'I eat snacks such as ice cream, cake, snacks, carbonated beverages more than twice a week' (1.9 vs. 2.0, p<0.05)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WAD group than in the WOAD group. Daily energy intakes were 1,859.1 kcal and 1,829.5 kcal in WAD and WOAD children,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daily intakes of fat (p<0.05), phosphorus (p<0.05), and vitamin $B_2$ (p<0.05) in WA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AD children. To sum up, elementary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had irregular eating habits and higher intake frequency of processed or fast foods, milk and its products, dishes fried or stirred with oil, and snack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Dietary guidance and nutritional educ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irregular eating habits and induce adequate nutrient intake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초등학교 아동의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Intakes on Dental Caries in Primary School Students)

  • 박경숙;서은숙;신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2
    • /
    • 1999
  • 초등학교 아동 211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 대상자의 65.4%가 치아우식 아동이었고, 간식은 전체 아동의 83.9%가 섭취하였으며, 간식을 하는 아동의 치아 우식율이 간식을 하지 않는 아동의 우식율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2. 1일 양치질 횟수는 전체의 38.4%가 1회, 61.6%가 2회 이상이었으며, 양치횟수 2회 이상인 아동과 식사후에 양치하는 아동에서 치아 우식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3. 주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음식은 양호한 아동이 밥33.30%, 라면 14.81%, 빵 9.57%, 떡 6.16%, 국수 4.88%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밥 27.04%, 떡 12.04%, 라면 8.50%, 빵 8.11%, 볶음밥 5.49% 순이었다. 4. 부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음식은 양호한 아동이 김치가 13.88%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계란 6.21%, 김 5.51%, 어묵 5.51%, 생선 5.03%순이었으며, 콩자반이 0.44%로서 가장 낮았다. 치아우식인 아동은 감자국이 6.86%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오이 6.56%, 콩나물국 5.78%, 두부 5.33%, 깻잎 5.21% 순이었고, 상치가 1.23%로서 가장 낮았다. 5. 간식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에서 아이스크림이 9.85%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비스킷 7.35%, 껌6.17%, 밤 6.16%, 사과 5.81%, 우유 5.56%, 요구르트4.86%, 어포 4.39%, 사탕 4.15%, 초콜릿 3.91% 순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에서는 비스킷이 10.00%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아이스크림 6.75%, 사탕5.88%, 과일통조림 5.70%, 우유 5.41%, 옥수수 5.00%, 바나나 5.00%, 땅콩 4.42%, 튀김 4.39% 순이었다. 6. 부식의 우식성식품ㆍ청정식품ㆍ보호식품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이 각각 4.0%, 40.8%, 55.1%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11.5%, 43.9%, 보호식품 44.6%로서 치아우식인 아동이 양호한 아동보다 우식성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반면에 보호식품을 적게 섭취하였다.(p<0.001). 7.간식의 우식성식품ㆍ청정식품ㆍ보호식품의 섭취율은 양호한 아동이 각각 67.8%, 10.4%, 21.7%이었으며, 치아우식인 아동은 75.3%, 8.8%, 15.9%로서 치아우식 아동의 우식성식품 섭취율이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들의 부식에서는 청정식품과 보호식품의 섭취율이 우식성식품보다 높았으나 간식에서 우식성식품의 섭취율이 청정식품과 보호식품보다 2∼3배나 높아 간식으로 인한 치아우식의 문제가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치아우식 아동이 양호한 아동보다 부식과 간식에서 치아우식 유발지수가 높은 우식성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식이조절법으로 치아우식 유발지수가 낮고 당질 함량이 적은 식품과 채소류나 과실류 등의 청정식품 및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보호식품을 많이 섭취하도록 권장하여야 하며, 한정되어 있는 간식을 다양하고 균형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인의 식이섭취 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타당도 연구 -건강증진센터 내원 성인을 대상으로 -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 심지선;오경원;서일;김미양;손춘영;이은주;남정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4-49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to assess the intakes of fatty acids, as well as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in Korean adults. The validity of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tested on 78 subjects (31 men,47 women) aged 34 to 66 years.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cluded 93 food items and was validated on two 3-day dietary records. The mean intakes and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were analyzed for each nutrient and food group level. The mean nutrient intakes obtained from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nergy-adjusted nutrient intakes from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ranged from 0.24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o 0.55 for fat in men and from 0.29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o 0.55 for saturated fatty acids in women, respectively.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food intake ranged from 0.11 for teas and beverages to 0.58 for grains and their products in men,-0.04 for potatoes and starches to 0.73 for milk and dairy products in women. Foods consumed regularly had lower intra-person variation and tended to have higher observed correlation coeffic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s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nutrient intakes, particularly of total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intakes.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대상 당 저감화에 관한 소비자 인식 및 관련 교육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er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ug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 김기남;이정숙;심지선;정혜경;정해랑;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303-318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당 관련 영양교육이 당 섭취에 관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당 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당 교육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나누어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 대상자 중 당 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한 교육 인지군은 270명 (49.8%) 이었고, 비인지군은 302명 (50.2%) 이었다.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이론적 지식 점수를 보면 교육 인지군 3.67점, 비인지군 3.55점으로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바른 행동에 대한 지식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섭취 관련식행동 점수, 음료 선택 및 간식 구매 빈도는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표시에서 당류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교육 인지군이 31.2%로 비인지군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이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보면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무가당 캔디나 젤리류, 생과일류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품군별 당류 섭취량은 달지 않은 빵류, 흰 우유 및 생과일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 관련 지식 점수와 식행동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교육 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초콜릿, 탄산음료를 덜 먹으려는 행동과는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 구입 빈도, 평균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빵을 먹을 때 잼을 덜 먹는 행동 및 과일 섭취 시 설탕을 덜 먹으려는 식행동과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구입 빈도 및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 좀더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또한 하루 총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 인지군에서만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총 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당 교육을 인지한 대상자들이 비인지군에 비해 당류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의 영양 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지속적이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당 관련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 고등학생, 대학생의 칼슘 섭취 실태 및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Calcium Source Foods and Ca Intake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Daegu Area)

  • 한재숙;이연정;최영희;송주은;권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1-340
    • /
    • 1997
  • 대구지역 남녀 고등학생, 대학생들의 칼슘에 대한 인식, 기호도, 섭취실태 및 식행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남녀 각각 200명으로 가정의 월평균 소득은 101-105만원이 34.0%, 식사관리자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43.5%, 본가 거주 학생이 88.3%,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가 60.8%, 질병 없다가 87.5%였다. 2. 칼슘에 대한 인식도는 15점 만점에 평균 11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11.54점으로 남학생 10.46점 보다 유의적으로(p<0.001) 높게 나타났다. 3. 칼슘 급원식품에 대한 기호도는 평균3.46점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고구마, 우유를 좋아하였으나 콩조림, 깨, 치즈 등은 싫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학생은 3.51점으로 남학생 3.40점보다 유의적으로(P<0.05) 기호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우유, 요구르트 등 서구식품을 더 좋아하였고 무, 두부, 멸치, 미역, 꽁치 등의 전통식품은 대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칼슘 급원식품의 섭취빈도점수는 64점 만점에 평균 27.9점으로 아주 낮게 나타나 평소 칼슘 급원식품을 많이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품군별로 보았을 때 유제품군의 섭취빈도가 높았고 달걀, 요구르트, 두부, 멸치 순으로 섭취 빈도가 많았으나 치즈, 뱅어포, 꽁치, 바나나 등은 자주 먹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편중된 식품 섭취로 인해 칼슘 부족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달걀은 남학생이, 고구마는 여학생이 더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생은 깨, 무를, 고등학생은 우유, 아이스크림 등을 더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1일 칼슘 섭취량은 평균 454.54mg으로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54.1%-61.1% 정도 밖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자 고등학생의 칼슘섭취량이 486.80mg(권장량의 54.1%)으로 많이 부족하였다. 6. 식 생활 행동실태는 결식하는 학생이 66.5%, 가끔 편식한다는 학생이 60.0%, 간식은 간혹 먹는다가 51.3%였으며 식사는 대체로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고, 다이어트는 13.3%만이 하고 있었다. 또한 식품섭취 시 영양가를 고려하는 가에는 80.0%가 고려 없이 습관대로 먹는다로 응답해 영양 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7. 칼슘 급원식품에 대한 인식, 기호도, 섭취실태, 식 행동간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인식은 기호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기호도는 칼슘섭취 실태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 섭취빈도가 낮은 칼슘 급원식품의 인식를 높이는 한편, 기호에 맞게 조리하는 조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암 치료 시 영양상담을 통한 식생활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by Nutrition Counseling)

  • 홍기연;최윤진;엄완근;임현숙;천종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0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food habits and eating behavior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through the continuous nutrition counseling and monitoring. Methods: Thirty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first nutrition counseling and the first and second monitoring were conducted after 2-3 week intervals. Results: As a result of the nutrition counseling and monitoring, all patients improved to a great extent to consume 3 meals a day.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nutrition counseling and continuous monitoring as well. The meal fixed quantity was stabilized and the eating speed slowed down as more nutrition counseling were done. The snack intakes of pati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nutrition counseling but showed a slight decline after the monitoring. The frequencies of eating out and a late-night mea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monitoring. The intakes of fish, meat, vegetables, milk and fruits needed for a well-balanced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as more nutrition counseling were done. The intakes of processed f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nutrition counseling and the intakes of fast f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more nutrition counseling were done. The water intake of patien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ating behavior related to health,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counseling consultation and no patients had dietary supplements after the first monitor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tinuous nutrition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eating habits of cancer patients.

충남 일부 지역 초등학생의 음료 섭취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박은혜;배윤정;김순경;김명희;최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6-38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beverage consumption frequency and determine related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88 students(boys=230, girls=258) using a questionnaire. The average age of the students was 10.1 years old, th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5.1 cm and 39.5 kg, respectively and the obesity index was -1.3%. The frequencies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were 5.8 times/week, 6.7 times/week and 6.4 times/week, respectively. Regarding the frequency of snacks, high response rates for 'once/day'(38.3%) and 'none' (30.5%) were observed. Nutrition label on beverages were identified rarely(39.1%), nearly never(19.7%), and never(12.9%). The choice factors in selecting beverage were taste, nutrition, and price. For the type of snack most often consumed, fruit or juice was 25.8%, snack items were 25.2%, bread was 24.8%, dairy products were 7.6%, beverages were 7.0%, noddles were 6.2%, and rice cakes were 3.5%. The kinds of favorite beverages were carbonated drinks(30.3%), functional drinks (24.4%) and milk and yoghurt(23.8%), and main reason for the choice of beverage was "it tastes good". For the point of time that students wanted to drink a beverage, "when I feel thirsty" appeared most often for dairy products and beverages and the next most frequent answer was "after exercise".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administer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on perception on nutrition fact label of beverage. And it is thought that plan for proper beverage consump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y be established.

국민영양조사를 이용한 우리나라 다소비 식품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II) -음식의 섭취량 조사 분석- (The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from 1993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II) -Amounts and Frequency of Dishes Intakes-)

  • 계승희;이행신;박미아;문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81-592
    • /
    • 199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llect information in terms of the frequency and amounts in frequently consumed dishes. We conducted the secondary analysis from '93 Korean National Survey. Mainly informations about 2-day food records were used to investigate dish intakes and to compare different food patterns by area. Amounts of total daily intakes of dishes per capita are 1,741.46g in nationwide, 1,722.03g in large city, 1,712.46g in small city, 1,808.73g in rural. The dish consumed in largest quantities per capita per day is the rice which amounts is 481.67g, 27.66% of total intake. Fruits and cabbage we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too. Kimchi made of cabbage have the highest number of frequencies. Number of frequencies in rice, fruits, and milk showed high, too. Dish groups are classified by the cooking method. Some dishes in several dish groups have small number of frequencies and small amount of quantities. Some dishes in the top list are not included in the 30 dishes list. There should be some studies abou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ish list, using individual dietary assessment methods.

  • PDF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 진단을 위한 간이 식습관평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 연미영;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38-47
    • /
    • 2009
  • 초등학교 $4{\sim}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는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분, 아연의 여섯가지 영양소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백분율과 평균 적정섭취비율 (MAR), 이들 여섯가지 영양소 중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식습관의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구하기 위하여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세끼 식사 여부, 아침식사 시간의 여유, 저녁식사의 규칙성, 식욕, 그리고 김치, 우유, 과일, 콩의 섭취 빈도에 관한 8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 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8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MAR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의수준이 0.05 미만인 4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식습관평가표의 영양부족위험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MAR < 0.75를 미량영양소 섭취부족군, MAR ${\geq}$ 0.75를 적정군으로 하여 총점 분포를 살펴본 후 각 총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평가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식습관평가표의 총점이 3점 이하 일 때 저위험군, $4{\sim}5$점일때 중간위험군, 6점 이상일 때 고위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식습관평가표의 진단기준에 따라 본 조사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영양소섭취를 비교한 결과 에너지와 단백질은 세 집단간 대상자 분포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1개의 미량영양소 중에서는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 아연 등 9개 영양소에서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고위험군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경우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저위험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비타민 $B_6$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8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토를 거치면 영양사업과 영양교육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