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Cur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이용한 치즈커드 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agulation of cheese curd by immobilized Mucor spp L42 milk clotting enzyme)

  • 박종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57-162
    • /
    • 1988
  • 활성화시킨 Succinylaminopropyl glass beads에 glutaraldehyde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치즈 커드 형성과정에 이용하고져 고정화 효소의 안정성, 재이용성, 반응의 조건, 반응조의 형태등에 대하여 탈지유(pH 5.6, $8^{\circ}C$)를 사용하여 반응시킨후 $30^{\circ}C$ 항온수조내에서 커드의 형성 상태를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0.2M phosphate buffer(pH 4.6)에 0.06% sodium azide을 첨가한 액에 침지한 상태로 $5^{\circ}C$ 이하에서 보존할 경우 3개월 후에도 활력의 80%가 유지되었다. 2)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탈지유(pH 5.6, $8^{\circ}C$)로 반응시켰을때 반응 초기에는 고정화 효소의 활력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bead에 결합되는 질소화합물과 효소의 활력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에 bead와 탈지유의 접촉시간을 60 sec/ml로 하여 탈지유(pH 5.6, $8^{\circ}C$)로 연속적으로 반응시켰을때 6시간 이후에도 bead의 활력의 70%가 유지할 수 있었다. 4) Fluidized bed와 shaking fluidized bed을 사용하는 것이 충진반응조 보다 탈지유의 반응속도가 높았다.

  • PDF

저장 조건에 따른 시유의 품질변화 (Changes on the Quality of Market Milk on the Storage Conditions)

  • 이수원;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6-162
    • /
    • 2001
  • The quality changes of UHT market milk product were investigated by the season and storage conditions. Throughout the year, standard plate counts(SPC) wasn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at 5$\pm$1 and 7$\pm$1$^{\circ}C$ for 10 days. And except for summer, SPC was lower than 20,000 cfu/ml after storage at 10$\pm$1$^{\circ}C$ or 10 days. But SPC was rapidly increased from 3 days at 15$\pm$1$^{\circ}C$, and there was gas forming by yeast growth after storage at 30$\pm$1$^{\circ}C$. Value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market milk products were 6.49 to 6.71 and 0.155 to 0.16%, respectively.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a lot changes at the temperature over 15$\pm$1$^{\circ}C$, and milk products showed a curd at 30$\pm$1$^{\circ}C$. Carbohydrate of market milk product had little difference throughout the year, whereas fat, protein and total solids of market milk products in autumn showed a little higher value than that of other seasons. There were no changes of milk composition during storage periods, but carbohydrate was decreased a little after storage over 20$\pm$1$^{\circ}C$.

  • PDF

Crystalline Mucor Rennin을 이용한 치즈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ufacturing of Gouda Type Cheese by using of Crystalline Mucor Rennin)

  • 유주현;김유삼;홍윤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4
    • /
    • 1971
  • Mucor pusillus var. Lindt가 생산하는 Mucor rennet와 Crystalline Mucor rennin에 대한 응유효소로서의 일반적 성질을 Hansen's calf rennet 및 Mucor rennet와 비교하여 검토한 결과 $63^{\circ}C$에서 30분 가열한 후 $CaCl_2$를 0.01M 첨가한 우유에 대하여 $30^{\circ}C$에 측정된 응유력은 HR: MR: CMR=1:2.43:12.09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건조 curd의 최대 수율이 비슷하였고 산도증가에 따른 curd 수율의 감소, 산도증가에 따른 응유활성의 강화, $CaCl_2$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응유활성의 증가, 등의 제 성질이 유사하였다. 응유온도에서는 HR이 $45^{\circ}C$ 정도에서 응유활성이 가장 높았고 MR과 CMR의 경우에는 $30^{\circ}C$부터$50^{\circ}C$사이에서 온도상승과 더불어 응유활성이 증가되었다. 치즈착색에 사용한 치자추출활색소는 착색이 잘되며 식용황색 5호와 비교할 때 이보다 색상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과량을 가하게 되면 치즈에서 치자냄새가 풍기므로 우유 10kg에 대하여 치자 3g이하에서 추출한 색소로 착색하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CMR을 이용하여 Gouda형 치즈를 제조한 결과 HR, MR을 사용하여 제조한 대조 치즈에 비하여 curd의 수율이 비슷하였고 치자추출액에 의해 착색하지 않은 경우에도 착색한 경우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curd 생산에 치자추출액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숙성도는 MR Cheese, CMR Cheese, UMR Cheese가 HR Cheese 보다 높았으며 맛과 냄새에 있어서는 HR Cheese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소비자의 미각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정도로 비슷하였다. 이와 같이 Crystalline Mucor renin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므로 송아지 Rennet를 이용했을 때보다 염가의 치즈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Mucor rennet를 이용했을 때 때로는 응유효소에 오염된 미생물들로 인하여 치즈에서 쓴 맛이 나는 경우가 있었는 데 이러한 문제가 해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호상요쿠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 이주찬;이가순;이종국;한규흥;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42-447
    • /
    • 1999
  • 섬유질이 풍부하고 enthocyanin색소가 풍부한 자색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하여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증자, 박피한 고구마를 첨가한 후 5종(Lactebacillus bulgaricis, Lactobacillus delbruchii sub. sp. lactis, Strep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Leuconostoc lactis) 의 젖산균주를 배양, 접종하여 호상 요쿠르트를 만들고 자색고구마가 젖산균의 생육과산 생성, 색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저장성 등을 조사한 결과 L. bulgaricus균을 배양한 경우가 젖산균의 증식과 산 생성이 가장 빨라 발효개시 12시간만에 1.04 $\times$$10^{9}$CFU/$m\ell$의 생균수와 pH 4.22를 나타냈고 B. bifidum균은 발효개시 24시간까지는 젖산균의 증식이 느리게 이루어져 발효개시 36시간에 달할 때 3.3 $\times$ $10^{8}$ CFU/$m\ell$의 생균수와 pH 5.1을 나타냈다. 발효종료 후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요쿠르트의 자색은 B. bifdum균에 의한 요쿠르트제조시 색도가 가장 안정하였고 Leuc. lactis, L. delbruechii sub. sp. lactis, L bulgaricus순으로 안정하였으며 St. lactis균에 의한 요쿠르트는 자색의 색소 소실이 가장 많았다. 2~3$^{\circ}C$에서 저장시 저장 2주까지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생균수의 변화는 L. bulgaricus와 L. delbruechii sub. sp. lactis균에 의해 제조된 요쿠르트는 저장 1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St. lactis균과 B. bifidum 균은 저장 1주까지 저온에서도 생균수가 소량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색도는 저장 2주 후 B. bifidum균에 의한 요쿠르트 제조시 자색도가 많이 소실되었고 L. delbruechii sub. sp. lactis균에 의한 요쿠르트가 가장 안정하였다.

  • PDF

항알레르기에 대한 Pediococcus inopinatus Y2 유산균 발효 두유 커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Antiallergy Effect of Fermented Soy Curd by Pediococcus inopinatus Y2)

  • 강문선;이영근;김한수;정헌식;황대연;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2019
  • 본 실험에서는 Pediococcus inopinatus Y2 (P. inopinatus Y2)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유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이후, 마우스의 체중, 귀 두께, IgE 농도, 면역 기관 중량 및 혈청 IgE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실험 군은 적당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귀 두께에서,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No group)이 가장 낮은 두께를 나타냈고, PA 처리 그룹이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두꺼워졌다. PA로 유도된 AD 마우스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발효 두유커드 투여그룹(FSC group)의 피부 상태는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 두유커드가 피부염을 회복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와 IgE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두유를 투여한 그룹(SM group)도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발효 두유커드의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더 우수 하였다. 결과적으로 발효 된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High-Pressure, Microbial Transglutaminase and Glucono-δ-Lactone on the Aggregation Properties of Skim Milk

  • Lee, Sang Yoon;Choi, Mi-Jung;Cho, Hyung-Yong;Davaatseren, Munkhtug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5-342
    • /
    • 2016
  • The object 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freezing processes on the curdling of skim milk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ransglutaminase (TGase) and glucono-δ-lactone (GdL). Skim milk was treated with atmospheric freezing (AF), high pressure (HP), pressure-shift freezing (PSF) and high pressure sub-zero temperature (HPST) processing conditions. After freezing and pressure processing, these processed milk samples were treated with curdling agents, such as TGase and GdL. Pressurized samples (HP, PSF and HPST) had lower lightness than that of the control. In particular, PSF had the lowest lightness (p<0.05). Likewise, the PSF proteins were the most insolub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activated by TGase and GdL, indicating the highest rate of protein aggregation (p<0.05). Furthermore, the TGase/GdL reaction resulted in thick bands corresponding to masses larger than 69 kDa, indicating curdling. Casein bands were the weakest in PSF-treated milk, revealing that casein was prone to protein aggregation. PSF also had the highest G' value among all treatments after activation by TGase, implying that PSF formed the hardest curd. However, adding GdL decreased the G' values of the samples except HPST-treated samples. Synthetically, the PSF process was advantageous for curdling of skim milk.

매실(Prunes mime) 착즙액이 Yoghurt Starter의 산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esil(Prunus mime) Extract on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Yoghurt Starter)

  • 박신인;이은희;남은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50
    • /
    • 2002
  • Skim milk에 매실 착즙액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4종(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casei)의 젖산균을 단독균주 또는 혼합균주로 접종하여 매실 착즙액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저장성을 조사하였고, 매실 착즙액으로 사용한 매실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다. 매실의 일반 성분은 조회분 0.4%, 식이섬유 4.1%, 구연산 4.66%, 총당 0.264%, vitamin C 405.34mg%이었고, 매실 착즙액의 첨가는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산생성도 증가하였다. 실험구 중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와 Lac. casei의 혼합균주에 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많은 양의 젖산(1023%)을 생성하였고, 가장 높은 생성균수(3.6$\times$$10^{11}$ cfu/mL)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 요구르트를 대조구와 함께 4$^{\circ}C$와 2$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한 결과, 세 개의 혼합균주(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를 사용한 호상 요구르트가 4$^{\circ}C$에서 pH는 4.25, 생균수는 4.1$\times$$10^{9}$ cfu/mL 이었고, 2$0^{\circ}C$에서 pH는 3.76, 생균수는 8.7$\times$$10^{8}$ cfu/mL으로 대조구인 매실 무첨가 호상 요구르트에 비하여 높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백 첨가가 두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g-White Addition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 김중만;최용배;김형태;김태영;황호선;황신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3-368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효율이 보다 높은 두부를 만들고저 함황 아미노산이 비교적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난백을 두유에 각각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대한 열응고성과 응고제에 대한 응고성, 성분함량 변화, 수율, 경도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과당 및 지방 함량은 두유만으로 제조한 두부보다 난백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단백질과 회분의 함량은 난백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난백의 첨가는 두유의 응고 온도를 하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무게와 부피 및 경도는 난백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 되었다. $Ca^{2+}$함량은 난백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한데 반하여 $Mg^{2+},\;K^{+},\;Na^{+}$은 증가되었다. 관능평가에서 색감과 풍미는 80%까지 첨가해도 대조구에 대하여 유의차(p<0.01)가 없었으나, 조직감과 식감에서는 난백을 60%이상 첨가한 경우 평점이 낮아지는 유의차(p<0.01)를 나타냈다. 아미노산 조성은 20, 40, 60, 80%(v/v)의 난백첨가로 함황아미노산(cys+met) 함량은 0.63, 1.20, 1.76, 2.36배의 강화효과를 나타냈다.

  • PDF

일부 노년기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양상과 소비 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ake and Consumption Pattern of Milk and Dairy Products in Elderly Korean)

  • 류미현;강순아;한경선;송병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3-381
    • /
    • 2007
  •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growing rapidly and their nutritional status is not acceptabl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f 495 free living elderly, over 65years old, in Korea to asses the intake and consumption pattern of milk and dairy products. The questionnaire contains demograph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n milk, and consumption behaviors of milk and dairy products. Most of the elderly subjects understood that milk is good foods in terms of nutritive value and health. And 67% of the subjects satisfied with the sanitation status of milk on the markets. The kind of milk that majority of the subjects consumed was whole milk, and only 5.1% of them consumed low fat milk. Less than 20% of the subjects consumed milk everyday, living alone group consumed milk less frequently than living with other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subjects did not meet current recommendation for milk. Liquid and curd type yogurt were the major dairy products used among elderly, and the reasons were good taste and digestion. They believed that these kinds of dairy products help constipation and digestion problems. The price of milk was ranked for the first factor needed to be considered for milk and dairy products consumption in elderly korean.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ilk with Different Physical Treatments during Storage

  • Choi, Jinyoung;Kim, Youngsung;Kwon, Taee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70
    • /
    • 2018
  • In this study, the fatty acid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sless enegy treated commercial milk products stored at $30^{\circ}C$ were investigated. The pH of pasteurized milk decreased significantly. UHT milk showed also significant decrease in pH to 4.70~5.72 on the 8th day of storage which was higher than control ev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cidity of pasteurized milk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2nd day of storage to 0.13~0.65% in treatments and control and control was 0.94% at the 8th day of storage and 0.35% in the treatment of ultra high temperature milk. The solid content of pasteurized milk was $7.5^{\circ}Bx$ at 1 day after storage,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11.2^{\circ}Bx$ in the treatment. Pasteurized milk showed more bacterial growth in th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After 4 days of storage, there was no bacterial count in pasteurized milk but it increased significantly $1.9{\times}10^8$ and $4.5{\times}10^6$ each in UHT milk. Lactic acid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curd $2.0{\times}10^6$ in the control and $2.0{\times}10^8$ in the treatment at the 4th day. Palmitic acid content in the saturated fatty acid was the highest at 35.4~41.4% in both pasteurized and ultra high temperature milk. In the UHT milk, linolenic aci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3.8% in the treatment compared with 2.9% in the control at the 4th day of storage. Therefore, commercial ultra high temperature milk with physical treatment to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5 days of storage in this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