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일개 보건소 한의약 경도인지장애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anagement Program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 김경한;이수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6-118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anagement program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CI management program, we investigated MCI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CI patients were treated with Jodeung-san (JDS) or Dangguijagyag-san (DGJYS) for 6 week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GQOL-D),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 and biochemical examination of blood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6 weeks. A satisfaction survey was collected after this program. Results: MMSE-DS mean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4.09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4.15 (p=0.000) in the DGJYS group. GQOL-D mean scor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by 5.90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5.07 (p=0.000) in the DGJYS group. GDS-K mean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10.63 (p=0.000) in the JDS group and by 9.69 (p=0.000) in the DGJYS group. MMSE-DS, GDS-K and GQOL-D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JDS and DGJYS group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90%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gain. Conclusions: Both Jodeung-san and Dangguijagyag-san treatment showed improvement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is program. Additional studies with more subjects will be required to prove credibility and validity more clearly.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1-4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 결과, 최종 1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경향은 모두 인지강화를 주목적으로 하되 국내연구는 운동요법 등의 신체적 활동보다 음악치료와 웃음요법 등의 정서적 활동이 병합된 경우가 많은 반면, 국외연구는 정서적 활동보다는 신체적 활동을 병합한 연구가 많았다. 중재 프로그램 효과는 결과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차적 변수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나타났고, 이차적 변수는 신체적 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노인성 난청자에서 인지장애가 일상생활 듣기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gnitive Impairment on Self-reported Hearing Handicap in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Presbycusis)

  • 이수정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14
    • /
    • 2018
  • 노인성 난청은 일상생활 속 듣기 어려움(hearing handicap)을 유발함으로써 노년기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노인성 난청을 보이는 경도인지장애 노년층 40명과, 평균 연령 및 청력을 일치시킨 정상 노년층 40명을 대상으로 K-HHIE 설문을 실시하여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주관적 듣기 어려움 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K-HHIE의 사회적/상황적 점수, 정서적 점수, 그리고 총점에서 경도인지장애 노년층 집단이 정상 노년층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K-HHIE의 4개 요인 모두에서 경도인지장애 노년층 집단이 정상 노년층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특히 요인 1(대인관계 및 사회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셋째, 집단에 따라 K-HHIE 문항별 평균 점수가 높은 상위 항목들을 비교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년층과 정상 노년층 모두 8번 항목(작은 소리 듣기 어려움)과 15번 항목(TV 시청 불편함)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특히, 경도인지장애 노년층은 요인 1에 해당하는 항목인 21번(식당에서 듣기 어려움)과 6번(모임 참석 시 듣기 어려움), 3번(대인기피), 20번(사회생활 제한) 항목들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초기 노인성 난청자 중에서도 인지장애가 있을수록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듣기 어려움을 호소하며, 특히 다화자 상황이나 배경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의 듣기 어려움이 두드러지고, 이는 노년층의 사회활동을 제한시킬 뿐만 아니라 대인기피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과 백질고강도신호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권지웅;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19-12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백질고강도신호 차이에 따른 신경인지 기능 및 행동심리증상(BPSD)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는 표준화된 시각 기반 척도(Fazekas scales)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참가자들은 Fazekas 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인지기능은 임상치매평가척도(CERAD-K)에 의해, BPSD는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로 평가되었다. WMH의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BPSD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낮은 언어 유창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높은 K-NPI 점수를 보였다(p<0.01). 결 론 WMH와 실행기능과 관련된 신경인지검사 간에는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WMH는 BPSD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실제에서 WMH를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symmetrical Volume Loss in Hippocampal Subfield During the Early Stages of Alzheimer Disease: A Cross Sectional Study

  • Kannappan, Balaji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9-147
    • /
    • 2018
  • Hippocampal atrophy is a well-established imaging biomarker of Alzheimer disease (AD). However, hippocampus is a non-homogenous structure with cytoarchitecturally and functionally distinct sub-regions or subfield, with each region performing distinct functions. Certain regions of the subfield have shown selective vulnerability to AD. Here, we are interested in studying the effects of normal aging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these sub-regional volumes. With a reliable automated segmentation technique, we segmented these subregions of the hippocampus in 101 cognitively normal (CN), 135 early mild cognitive impairment (EMCI), 67 late mild cognitive impairment (LMCI) and 48 AD subjects. Thereby, dividing the hippocampus into hippocampal tail (tail), subiculum (SUB), cornu ammonis 1 (CA1), hippocampal fissure (fissure), presubiculum (PSUB), parasubiculum (ParaSUB), molecular layer (ML), granule cells/molecular layer/dentate gyrus (GCMLDG), cornu ammonis 3(CA3), cornu ammonis 4(CA4), fimbria and hippocampal-amygdala transition area (HATA).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of 351 ADNI subjects, no differences in terms of age, gender, and years of education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Though, the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after the multiple comparison correction) i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scores. There was asymmetrical volume loss in the early stages of AD with the left hemisphere showing volume loss in regions that were unaffected in the right hemisphere. Bilateral parasubiculum, right cornu ammonis 1, 3 and 4, right fimbria and right HATA regions did not show any volume loss till the late MCI stag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hippocampal subfield regions are selectively vulnerable to AD and also that these vulnerabilities are asymmetrical especial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AD.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리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타액 알파 아밀라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Rest-activity circadian rhythm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and its relationship with salivary alpha amylase: an exploratory study)

  • 서민희;최지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306-31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st-activity circadian rhythm (RAR) using data obtained from wearable actigraph devices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to investigate its relationship with salivary alpha amylase (sAA).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used data from the Hospitalized Older Adults' Cognition and Physical Activity Study. Actigraph data for 3-4 days were analyzed for RAR. RAR indices such as interdaily stability (IS), intradaily variability (IV), activity level during the most active 10-hour period and during the most least active 5-hour period, and relative amplitude (RA) were calculated. Data on sAA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ody mass index (BMI), were analyzed. Results: Data from 92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were analyzed. The IS, IV, RA were 0.23, 0.73, 0.88, respectively. The average level of sAA was 77.02 U/mL, and a higher level of sA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tter IS and RA in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age, BMI, and cognitive level were not. BMI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S and RA. Conclusion: RAR in the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was attenuated, showing especially low IS, which implies they failed to maintain regular and repetitive 24-hour RAR. Increased sAA and BMI were associated with robust RAR. Nurses need to pay attention to maintain robust RAR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with MCI,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RA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the Effective Screening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Kim, Han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19-126
    • /
    • 2019
  • 출산율 저하와 평균수명 연장 등으로 빠르게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 질환 또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그 중 관리가 어렵고 많은 사회적 비용을 필요로 하는 치매 환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인식 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치매의 국가적 관리와 사회적 부담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기기를 개발하였다. 기기 개발을 위해 최신 IoT 기술을 활용하였고, 최적화된 K-HDS를 도입하였으며, 편리한 사용방식과 친화적인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거부감 없고 손쉬운 동작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경도인지장애 등의 증상을 선별할 수 있었다. 이 기기를 활용하면, 경도인지장애 또는 치매의 초기 단계로 의심되는 증상을 효율적으로 선별하여 조기에 치매를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경도인지장애인의 음악을 활용한 보조 치료기기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reference Survey for Development of Auxiliary Therapy Products Utilizing Music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해구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355-365
    • /
    • 2017
  • 미래 한국의 인구 구성은 저 출산과 의료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고령자가 2060년에는 세계 2위 수준까지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사회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자가 되면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신체적인 변화이다. 기억력이 낮아지고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생기면서 그들의 활동이 제한되고 경제적인 생산능력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자급자족이 힘든 상황이 되면서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의 도움을 필요하게 되었다.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 연구되고 개발되어 져야하는 시기가 도래되었다. 고령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인지능력저하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S)단계가 있다. 경도인지장애인들은 약물적 치료방법과 비약물적 치료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약물적 치료방법 중 음악에 대한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음악치료기법을 활용한 보조기구를 개발함에 있어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융복합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경도인지장애자를 대상으로 외형에 대한 선호를 알아보았다. 2번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경도인지장애자를 위한 홈케어 제품디자인은 기존의 게임기나 셋탑박스의 정형적이고 박스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상황과 특수성을 고려한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기억력,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신체적인 변화와 주변 사람이나 환경이 변화되는 정신적인 변화에 맞는 제품이 개발되도록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는 결과이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 해마, 편도체, 뇌들보, 내후각 피질과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엽산 농도와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of Levels of Serum Lipid, Homocysteine, and Folate with Volumes of Hippocampus, Amygdala, Corpus Callosum, and Thickness of Entorhinal Cortex in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이상준;김태형;허량;최승은;이봉주;김경미;이정구;김홍대;문치웅;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4호
    • /
    • pp.223-232
    • /
    • 2015
  •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uthors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serum lipid, homocysteine, and folate with volumes of hippocampus, amygdala, corpus callosum, and in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or Alzheimer's disease (AD) type. Methods The study recruited patients who visited the dementia clinic of Haeundae Paik Hospital in Korea between March 2010 and June 2014. Among those, patients who had taken the neurocognitive tes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ing, tests for serum lipid, homocysteine, folate, and apolipoprotein E (APOE) genotyping and diagnosed with aMCI or AD were included for analysis. Bilateral hippocampus, entorhinal cortex, amygdala and corpus callosum were selected for region of interest (ROI). The cross-se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serum lipid, homocysteine, folate and ROI were assessed by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patients with aMCI, old age (> 80) and APOE ${\varepsilon}4$ carrier were associated with AD [odds ration (OR) : 12.80 ; 95% confidence interval (CI) : 2.25-72.98 and OR : 4.48 ; 95% CI : 1.58-12.67,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aMCI or AD, volumes and thickness of ROI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levels of serum lipid and homocysteine.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higher total cholesterol level was related to lower left, right hippocampus volume and left amygdala volume ; highe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related to lower right entorhinal cortex thickness ; higher homocysteine level was related to lower corpus callosum volume. Conclusions Higher serum lipid and homocystei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volume of hippocampus, amygdala, corpus callosum and entorhinal cortex thickness in patients with aMCI or A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rum lipid and homocystei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AD as a modifiable risk factor.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피질 두께 분석법을 이용한 파킨슨병의 경도인지장애 신경심리검사와 신경해부학적 상관관계 (Correlation of the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NSB) and Neuroanatomy for the Parkinson's Disea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Using the Analysis of Cerebral Cortex Thickness in the Brain MRI)

  • 이현용;박형후;이재승;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63-170
    • /
    • 2014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환자를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인지 영역에 대한 대뇌 피질 두께를 측정하고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신경해부학적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으로 최초 진단 받고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한 78명(경도인지장애군: 39명; 비인지장애군: 39명)과 정상인 그룹 32명을 선정하였다. 신경심리검사에서 경도인지장애군과 비인지장애군의 상관관계와 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는 독립표본 T 검증 또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유의 수준은 p<0.05에서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는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양측 쐐기압소엽과 우하측두엽의 대뇌 피질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신경심리검사에서 시공간 기능, 언어 및 시각 기억력 기능이 저하되었다. 특히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영역에 대한 신경심리검사와 신경해부학적으로 좌측 쐐기앞소엽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