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Wome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Marriage Migrant Women's Gender Rol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 김혜숙;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9-16
    • /
    • 2021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호주 이민 아시아 여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설문지를 이용한 단면연구 (Factors which Influence Quality of Life(QOL) among Asian Migrant Women in Australia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tudy)

  • 박강현;강은정;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1
    • /
    • 2018
  • 목적 : 이민은 개인이 가진 습관, 일상 및 문화적 행동들 전반을 바꿔야 하므로 개개인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불러 올 수 있다. 또한, 이민은 때로는 개인의 의미 있는 일상생활에 참여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 이민 온 아시아 여성을 대상으로 이민 후 그들의 달라진 환경적 요소가 의미있는 작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고, 작업 참여의 변화가 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설문지와 질적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 1일부터 2주간 총 아홉명의 이민여성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폐쇄형 질문에서 얻어진 삶의 질, 작업참여도, 환경요소들, 작업참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해 SPSS(version 20,0)이 사용되었다. 개방형 질문에서 얻은 결과는 Liamputtong(2009)이 제시한 주제 분석단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지 분석 결과, 이민여성들의 이민 후 작업 참여도가 이민여성들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보고되었다. 즉, 이민으로 인해 변화된 환경적 요소 및 거주 기간은 이민자들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작업의 참여도가 이민여성들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론 : 이민여성들 사이에서 삶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개인의 의미 있는 작업에 대한 참여도로 확인되었다. 이민 여성은 달라진 환경 속 에서 일상생활의 작업을 수행 할 수 없었고, 이는 곧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이민여성의 일상생활의 작업참여를 위해 지역사회 기반의 작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the Training Plan of Local Culture Promotion Personnel through the Migrant Women in Uljin-gun

  • Koo, Ja-B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86-198
    • /
    • 2019
  • The means to train plan of local culture promotion personnel through the migrant women refers to the knowledge education of local cultural personnel through the accurate recognition of Korean culture and local culture and related information to foreign immigrants and workers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Through education courses in four areas, such as international manners, local promotion education, cultural heritage, and experience learning, the immigrant women will present a leading direction in which they can expect to play a role as experts in regional culture and public relations through the mother country's language.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 송미숙;박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43-52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결혼이주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5일부터 7월13일까지 9명씩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한 집단 당 1회씩 시행하였다. 1회당 인터뷰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물과 기름', '자녀교육에 대한 욕심', '설상가상', '해결의 길을 따라 튼튼해지는 가족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에게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이미옥;김신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2-35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s well a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health care practices for married migrant women. Methods: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27 articles from domestic Korea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dissertations and Korea academic journals from 2007 to 2014. Results: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1.17 and 'parental education' of Intervention Variables was the biggest effect siz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also identified to be the most desirable in cases when total sessions were applied with 10-18 sessions, 1 session per week, 90-120 minutes per session activity time and with less than 10 subjects in group size. Regarding effect variables,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was identified to show the biggest effect size and in sub-variables, self-efficacy was identified to show the biggest effect size. Conclusion: If interven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expanded and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gram would have significant affect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who currently occupy the important status in our society.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와 관련요인 : 개인특성, 가족특성, 이주민특성을 중심으로 (The Social Network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With a focus on Individual, Family, and Migrant Characteristics)

  • 강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47-64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ocial networks whic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 Kore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factors such as individual, family, and migrant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the different patterns of social networks. I drew upon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on 60,719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from the '2009 Survey on Korean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Results showed that the foreign wives tended to maintain a connection with our society through contact with their neighbor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gatherings.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types of social networks by the number of trusted neighbors and meetings were diverse among the im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factors differentiating the types were mostly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resources or Korean proficiency. More interestingly, the immigrant women's contact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homeland contributed to their maintenance of more active social networks. These results provided a useful outloo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social net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eventually showed a heterogeneous nature among them. At the societal level, supportive systems for enriching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should be developed particularly in terms of not their dependency, but their potential contributions to our society.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Food-Networks and Border-Crossing of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 Households)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
    • /
    • 2017
  •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바탕을 두고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의 형성과 이를 통한 결혼이주 여성의 경계 넘기를 개념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이에 바탕을 두고 대구지역의 초국적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다음 주장들이 제시된다. 첫째, 음식은 단일한 대상물이 아니라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과정에 개입하는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물질과 제도 등) 행위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또는 다중적이고 혼종적인 요소들의 집합체로 이해 된다. 음식문화는 가정의 사회적 관계와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또한 이를 재구성한다. 둘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이를 형성 재형성하는 과정에서 미시적 권력(또는 애착) 관계를 내포하며, 이러한 점에서 음식을 둘러싼 갈등과 타협이 교차하는 권력의 장이다. 셋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본국 및 한국의 거시적 공간환경과 미시적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이러한 공간환경과 장소성은 음식-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다른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넷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다중적 다규모적으로 형성되는 초국적 음식문화의 공간적 이동성과 장소성을 반영한다. 이를 통해 형성된 음식-네트워크에서 혼종적으로 재현되는 본국 음식문화는 위상학적으로 '유동적 공간' 및 '부재의 출현'을 표현하며, 결혼이주여성으로 하여금 문화적 경계 넘기를 (불)가능하게 한다.

  • PDF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이순희;김신정;이영주;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nd to examine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 migrant workers were sampled from two churche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onmigrant workers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Results: 1) The average scores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ere $3.73{\pm}0.31$ and $2.57{\pm}0.31$, respectively. 2)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according to religion (t=2.586, p=.001).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as not significant (r=-.010, p=.929). Conclusion: Soci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PDF

Negotiations in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in Japan

  • Okada, Trici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40-60
    • /
    • 2020
  • Among Filipino entertainers in Japan, trans women (transgender women) or transpinay (Filipino trans woman) entertainers remain understudied compared to cisgender women. Though the number of entertainers has declined, transpinay entertainers remain relevant as transgender issues continue to be salient globally. This study explains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he transpinay migrants, particularly in entertainment work and their relationships, which are different from cisgender Filipino women entertainers' experiences. Using grounded theory and drawing on concepts of performativity in interactions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I delve into how transpinay entertainers negotiate their gender and migrant identities as they establish profession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Moreover, the transpinays' entertainment work i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to their sense of belonging in Japan, as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clients, and partners who support them and, thereby, sustain their lifestyles as trans women. The transpinay entertainers' flows of migration between Japan and the Philippines reveal that they embrace various aspects of social remittances and use them to their advantage to create and enhance their transpinay identity in Japan. By examining the transpinays' migrant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which involve significant negotiations in their migration pathways notably different from cisgender Filipino women entertainers, reveal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