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Networks and Border-Crossing of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 Households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1.13
  • Accepted : 2017.02.1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paper is to consider conceptually a formation of food-networks and border-crossing of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 households on the basis of actor-network theory, and to analyze empirical data on the issues collected by interview with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around Daegu, S.Korea. Some research results can be argued as follows: First, food can be seen, not as a single material object, but as a multiple and hybrid network of human and non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actors, in which activities of food cooking and eating are regulated by and (re)construct social relations and placeness of households. Second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implement relationships of micro-power (and attachment) in the process of its (re)formation, and hence the food-network, it can be argued, is a field of power in which conflicts and compromising around food cooking and eating are intersecting each others. Third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in both their origin country and in the Korean home are not only affected by macr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but also by micro placeness of the households, both of which constitute the food-networks and operate in relations with other actors in the netwroks. Final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reflect multiple and multi-scalar spatial mobility and placeness of transnational food culture, through which they express topologically 'fluid space' and 'absent presence', in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can (or cannot) conduct social and cultural border-crossing.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바탕을 두고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의 형성과 이를 통한 결혼이주 여성의 경계 넘기를 개념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이에 바탕을 두고 대구지역의 초국적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다음 주장들이 제시된다. 첫째, 음식은 단일한 대상물이 아니라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과정에 개입하는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물질과 제도 등) 행위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또는 다중적이고 혼종적인 요소들의 집합체로 이해 된다. 음식문화는 가정의 사회적 관계와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또한 이를 재구성한다. 둘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이를 형성 재형성하는 과정에서 미시적 권력(또는 애착) 관계를 내포하며, 이러한 점에서 음식을 둘러싼 갈등과 타협이 교차하는 권력의 장이다. 셋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본국 및 한국의 거시적 공간환경과 미시적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이러한 공간환경과 장소성은 음식-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다른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넷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다중적 다규모적으로 형성되는 초국적 음식문화의 공간적 이동성과 장소성을 반영한다. 이를 통해 형성된 음식-네트워크에서 혼종적으로 재현되는 본국 음식문화는 위상학적으로 '유동적 공간' 및 '부재의 출현'을 표현하며, 결혼이주여성으로 하여금 문화적 경계 넘기를 (불)가능하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호, 2015, 지리 레시피: 음식으로 풀어 쓴 지리이야기, 황금비율.
  2. 김병연, 2015, 소비의 관계적 지리와 윤리적 지리교육, 대한지리학회지, 50(2), 239-254.
  3. 김숙진, 2016, 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51(3), 311-326.
  4. 김영주, 2009, 음식으로 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적응 전략, 농촌사회, 19(1), 121-160.
  5. 김정현, 2015,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4), 173-189. https://doi.org/10.19031/jkheea.2015.12.27.4.173
  6. 김종훈.곽도화, 2010,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연령별 출생지별 식습관에 대한 조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8(1), 77-97.
  7. 김학희, 2005, 지리교육 소재로서 음식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3), 375-391.
  8. 김환석, 2011,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보는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동향과 전망, 83, 11-46.
  9. 김효진,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모국 음식문화공유와 전파,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0. 문옥표, 2012,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45(2), 109-148.
  11. 박경환, 2014,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57-78.
  12. 박상미, 2003, 맛과 취향의 정체성과 경계 넘기: 전지구화 과정 속의 음식문화, 현상과 인식, 27(3), 53-70.
  13. 박재환 외 저, 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편, 2009, 일상과 음식, 한울.
  14. 이수진.장로베르 피트, 2010, 장 로베르 피트: 음식의 지리학이 빚어내는 국토문화경관, 국토, 1월호, 89-101.
  15. 이정숙, 2012,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6), 807-815. https://doi.org/10.3746/jkfn.2012.41.6.807
  16. 이희상, 2012, 글로벌푸드/로컬푸드 담론을 통한 장소의 관계적 이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45-61.
  17. 최병두, 2015,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 개념, 공간과 사회, 25(3), 125-172.
  18. 최병두, 2017, 초국적 노동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아상블라주, 공간과 사회, 27(1).
  19. 한윤희.신원선.김지나,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비교한국학, 19(1), 115-159.
  20. 허지은, 2011, 지리교육에서 음식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홍성욱 편, 2010a, 인간.사물.동맹, 그린비.
  22. 홍성욱, 2010b, 7가지 테제로 이해하는 ANT, 홍성욱편, 인간.사물.동맹, 그린비, 15-35.
  23. 홍성욱, 2010c, 인간과 기계에 대한 '발칙한' 생각-ANT의 기술론, 홍성욱 편, 인간.사물.동맹, 그린비, 125-154.
  24. Cook, I. Crang, P. and Thorpe, M., 1999, Eating into Britishness: multicultural imaginaries and the identity politics of food, in S. Roseneil and J. Seymour (eds) Practising Identities: Power and Resistance, Macmillan, Basingstoke, 223-248.
  25. Abbots, E-J. and Lavis, A. (eds), 2013, Why We Eat, How We Eat: Contemporary Encounters between Foods and Bodies, Ashgate.
  26. Collins, F. L., 2008, Of kimchi and coffee: globalisation, transnationalism and familiarity in culinary consumption, Social & Cultural Geography, 9(2), 151-69. https://doi.org/10.1080/14649360701856094
  27. Duruz, J., 2010, Floating food: Eating 'Asia' in kitchens of the diaspora, Emotion, Space and Society, 3(1), 45-49. https://doi.org/10.1016/j.emospa.2009.08.002
  28. Feagan, R., 2007, The place of food: mapping out the 'local' in local food system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1(1), 23-42. https://doi.org/10.1177/0309132507073527
  29. Hetherington, K., 1997, Museum topology and the will to connect, Journal of Material Culture, 2(2), 199-218. https://doi.org/10.1177/135918359700200203
  30. Law, J. and Mol, A., 2001, Situating technoscience: An inquiry into spatialitie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 Space, 19, 609-621. https://doi.org/10.1068/d243t
  31. Longhurst, R., 2011, Embodied geographies of food, belonging and hope in multicultural Hamilton, Aotearoa New Zealand, Geoforum, 43(2), 325-331. https://doi.org/10.1016/j.geoforum.2011.08.002
  32. Mansvelt, J., 2009, Geographies of consumption: engaging with absent presenc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10 (DOI: 10.1177/0309132509339934).
  33. Mol, A., 2008, I eat an apple: on theorizing subjectivities, Subjectivity, 22, 28-37. https://doi.org/10.1057/sub.2008.2
  34. Mol, A., 2010, Actor-network theory: sensitive terms and enduring tensions, Kolner Zeitschrift fur Soziologie und Sozialpsychologie, Sonderheft, 50, 253-269.
  35. Murdoch, J., 1998, The spaces of actor-network theory, Geoforum, 29(4): 357-374. https://doi.org/10.1016/S0016-7185(98)00011-6
  36. Pinch, T.J. and Bijker, W.E., 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i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in Bijker, W.E., Hughes, T.P., and Pinch, T.J (ed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s, MIT Press, Cambridge Mass.,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