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palatal miniscrew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in young adults: A preliminary study

  • Shin, Hyerin;Hwang, Chung-Ju;Lee, Kee-Joon;Choi, Yoon Jeong;Han, Sang-Sun;Yu, Hyung Seo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60-371
    • /
    • 2019
  • Objective: We sought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in young adults. Method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selected as possible predictors: chronological age, palate length and depth,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MPSM) stage, midpalatal suture density (MPSD) ratio, the sella-nasion (SN)-mandibular plane (MP) angle as an indicator of the vertical skeletal pattern, and the point A-nasion-point B (ANB) angle for anteroposterior skeletal classification. For 31 patients (mean age, 22.52 years) who underwent MARPE treatment, palate length and depth, MPSM stage and MPSD ratio from the initi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the SN-MP angle and ANB angle from lateral cephalograms were assessed.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ratio was calculated from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width measured in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 MARPE screw expansion. Statistical analyses of correl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entire patient group of 31 subjects and subgroups categorized by sex, vertical skeletal pattern, and anteroposterior skeletal classification. Results: In the entire patient group,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rati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e, palate length, and MPSM stage (r = -0.506, -0.494, and -0.746, respectively, all p < 0.01). In subgroup analyse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the palate depth in the skeletal Class II subgroup (r = -0.900, p < 0.05).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ge, palate length, and MPSM stage can be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ARPE in young adults.

정중구개봉합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연구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mplantation using CT image)

  • 박영철;이종석;김두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42
    • /
    • 2005
  • 교정용 임플란트 사용에 있어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의 높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부학적 자료가 없어서 임상에 적용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과 재구성 프로그램인 V works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해부학적 근거를 얻고자 하였다. 성인 남자 14명, 성인 여자 14명의 보철용 임플란트를 위한 CT 자료를 통해 정중 시상면에서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정중구개봉합 부위에서 골조직 두께를 측정하며 교정용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구체적 부위를 설정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S에서 PNS까지의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한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51.08mm, 여자에서는 평균 47.34mm였다 남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 두께를 측정한 결과 남자의 ANS-PNS길이의 중점에서 구개평면을 따라 PNS쪽으로 15 mm지점을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5mm이상의 골조직이 존재하였다. 정중구개봉합부위에 교정용 임플란트를 적응할 때 안정적인 식립부위는 구개평면을 따라서 ANS로부터 남자는 19.43mm 후방부위, 여자는 17.62mm 후방부위에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안정적인 식립부위에서는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교정용 임플란트를 활용하여 교정치료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정중구개부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개방교합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with midpalatal miniscrews)

  • 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전치부의 개방교합을 동반한 환자 5명의 증례를 분석하여 (1) 성인에서의 상악 구치 함입을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의 가능성과 (2) 이때 고정원으로서의 정중구개부 미니스크류의 유용성 여부와 (3) 치료에 의한 골격성, 치아-치조골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악구치부를 스플린트한 후 정중구개부에 두개의 미니스크류를 삽입하고 구개횡선 아치로 상악제 일대구치를 연결한 뒤, 탄성 재를 이용하여 상악 제일대구치에 함입력을 적용하였다. 측면 두개방사선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환자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실질적인 압하가 일어났고, 이때 평균 압하량은 $3.4mm(1.5mm\~5.0mm)$였다. 2. 상악 구치의 압하를 시행하는 동안 임상적으로 정중구개부의 미니스크류의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3. 하악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되었으며, 하악평면각, 교합평면각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악구개측 미니스크류 식립위치 및 조건 (Miniscrew Installation Area and Condition on Maxillary Palatal Side)

  • 이기연;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61-71
    • /
    • 2009
  • 교정치료에 있어서 고정원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최대고정원을 얻기 위해서 미니스크류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인접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치근이나 상악동, 절치관, 비강, 대구개신경 등의 구조물의 해부학적 위치를 이해하면서 식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니스크류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보면 상악골은 하악골에 비하여 골질이 단단하지 않고 탈락율이 높으며, 특히 협측골은 치근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안정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좀더 강한 고정원의 확보를 위하여 시술의 접근성이나 시야확보는 불리하지만 충분한 골 두께를 가지고 있는 상악구치부 구개측 치조부와 단단한 골을 가지고 있는 정중구개부위가 미니스크류 식립부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 구개측 치근 사이의 거리와 정중 구개봉합부위의 골의 두께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개측 치근사이의 거리의 비교시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의 순서로 유의하게 큰 치근 사이의 거리를 보였다. 2. 정중 구개부 골은 후방부위와 측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구개측 치근 사이는 소구치와 대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이며 정중구개부에서는 봉합부위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게 미니스크류를 식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니스크류 식립 부위로서 정중 구개봉합부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thickness of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nsertion)

  • 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04
  • 상악에 미니스크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되고 각화치은으로 덮여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에서 보이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그 두께가 얇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니스크류 식립시 골 천공의 위험과 안정성 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본 연구는 미니스크류 식 립을 위 한 정중 구개봉합부의 수직골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명 (남 : 13, 여 : 12)의 20대 환자 전산화 단층촬영 상을 이용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횡단면으로부터 정중구개봉합부의 수직골 두께를 계측하였고 각 부위의 유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중 구개 봉합부 골의 두께는 남녀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 구개 봉합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절치공에서 후비극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수평적으로 정중 구개 봉합부 좌우 3mm 이내, 전후방적으로 절치공 후방 25mm 까지는 골의 두께가 3-4mm이상으로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수직적골 골의 두께가 충분하였다.

Miniscrew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교정치료 (The use of miniscrew as an anchorage for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 경승현;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5-424
    • /
    • 2001
  • 교정치료에 있어서 anchorage는 진단 및 치료계획에서부터 치료 종료 단계까지 교정의사가 항상 염두에 두면서 치료를 진행 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하는 전통적인 anchorage 조절법 보다는 miniscrew 같은 skeletal anchorage 가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어 지고 있어, miniscrew의 교정적 이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전반적인 고찰과 증례보고를 통해서 niniscrew의 다양한 임상적 적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midpalate부위가 miniscrew의 식립 부위로서 가지는 장점과 식립 시의 주의사항을 알아보았으며 skeletal anchorage 가 교정에 도입되면서 치료개념과 방법에 있어서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적인 개념의 Anchorage가 도입 되었다. 2. 생역학적 면에서 치아의 치체이동이 쉬워지고 determinate system이 설계되어 질수 있다. 3. 기존의 수술로만 가능했던 치료들 중 일부는 교정 치료만으로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 PDF

Analysis of midpalatal miniscrew-assisted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patterns with simultaneous use of fixed appliances: A preliminary study

  • Mah, Su-Jung;Kim, Ji-Eun;Ahn, Eun Jin;Nam, Jong-Hyun;Kim, Ji-Young;Kang, Yoon-Go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5-61
    • /
    • 2016
  • Skeletal anchorage-assisted upper molar distalization has become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 maloc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xillary molar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ppliance design, with the simultaneous use of buccal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The authors devised two distinct types of midpalatal miniscrew-assisted maxillary molar distalizers, a lingual arch type and a pendulum type. Fourteen patients treated with one of the two types of distalize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nd the patterns of tooth movement associated with each type were compared.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The lingual arch type was associated with relatively bodily upper molar distalization, while the pendulum type was associated with distal tipping with intrusion of the upper molar.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expected tooth movement associated with each appliance design. Further well designed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re required.

Effectiveness of en-masse retraction using midpalatal miniscrews and a modified transpalatal arch: Treatment duration and dentoskeletal changes

  • Lee, Jungkil;Miyazawa, Ken;Tabuchi, Masako;Sato, Takuma;Kawaguchi, Misuzu;Goto, Shigem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8-95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reatment duration and dentoskeletal changes between two different anchorage systems used to treat 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n-masse retraction using two miniscrews placed in the midpalatal suture. Methods: Fifty-seven patients (9 men, 48 women), who had undergone level anchorage system treatment at Aichi-Gakuin University Dental Hospital (Nagoya, Jap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xillary posterior anchorage reinforcement: midpalatal miniscrews (25 patients, mean age 22 years) and conventional anchorage (32 patients, mean age 19 years). The en-masse retraction period, overall treatment duration, pre-treatment effective ANB angle, and change in the effective ANB angle were compared with an independent-samples t -test. Results: Compared to the headgear group, the duration of en-masse retraction was longer by approximately 4 months in the miniscrew group (p < 0.001).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between the groups. Moreover, a greater change in the effective ANB angle was observed in patients treated with miniscrews than in thos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p < 0.05). Conclusions: The level anchorage system treatment using miniscrews placed in the midpalatal area will allow orthodontists more time to control the anterior teeth during en-masse retraction, without increasing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Furthermore, it achieves better dentoskeletal control than does the conventional anchorage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reatment results.

Skeletal and dentoalveolar changes after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in young adult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Park, Jung Jin;Park, Young-Chel;Lee, Kee-Joon;Cha, Jung-Yul;Tahk, Ji Hyun;Choi, Yoon Je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77-86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changes after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in young adults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4 patients (mean age, 20.1 years; range, 16-26 years) with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treated with MARPE. Skeletal and dentoalveolar changes were evaluated using CBCT images acquired before and after expans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or Wilcoxon signed-rank test according to normality of the data. Results: The midpalatal suture was separated, and the maxilla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ateral movement (p < 0.05) after MARPE. Some of the landmarks had shifted forwards or upwards by a clinically irrelevant distance of less than 1 mm. The amount of expansion decreased in the superior direction, with values of 5.5, 3.2, 2.0, and 0.8 mm at the crown, cementoenamel junction, maxillary basal bone, and zygomatic arch levels, respectively (p < 0.05). The buccal bon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t had decreased by 0.6-1.1 mm and 1.7-2.2 mm, respectively, with the premolars and molars exhibiting buccal tipping of $1.1^{\circ}-2.9^{\circ}$.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MARPE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without surgery in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