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35초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에 대한 인식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olar Region)

  •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17-733
    • /
    • 2021
  • 이 연구는 극지 연구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극지 소양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 인식을 극지 정보 획득 현황, 극지에 대한 인상,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초·중·고 9개교 학생 975명이 선택형과 서답형이 포함된 16문항에 대한 설문 조사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시청각 매체를 중심으로 한 극지 경험이 많았고, 학교 교육에서 극지에 대한 학습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극지에 대한 인상은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위기에 처한 북극곰과 같은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학생들은 시청각 매체에서 본 장면을 정서와 결합하면서 이미지를 형성했다.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생물과 자연 환경, 기후 변화에 관심이 많았지만, 학교급 및 진로 희망에 따라 관심 분야가 달랐다. 학생들은 극지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서 과학자의 위상을 높게 평가했으며, 극지 문제에 대해 실용적 가치보다는 세계 시민적 가치를 우선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극지 내용 수용 및 체계화,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의 협력에 의한 차별화된 학습 경험 마련, 여러 교과에 생성력 있는 빅아이디어 중심의 극지 소양 설정, 지구계 중심의 학습 접근법, 후속 연구의 방향 설정,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과학 교육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력신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the Enhancement of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Levels.)

  • 이상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97-205
    • /
    • 199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operative teaming of small ability level groups influences the enhancement of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ich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ability level groups demonstrate academic improvement over those that participate in non-cooperative learning groups. 2. In particular,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for high-level classes, than for middle or low-level students. 3. The learners' perceptio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has not changed through their placement in small ability groups involved in cooperative activities.

  • PDF

집단따돌림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예방교육 이행 정도 (Perception about bullying and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among teachers)

  • 윤영미;임미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3-2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bout bullying and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96 teachers who worked middle or high school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2008. We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bullying assessment that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Chi-square and ANOVA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Results: The perception about bullying and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of the teachers was examined in three domains; the perception about bullying's situation, cause, and solution. Teachers did not perceive bullying seriously but perceived that the main cause of bullying i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y recognized the solution of bullying is a responsibility for students, parent, teachers and society. The performance rate of education for bullying prevention was higher among teachers who perceived bullying seriously than the others. Conclusion: The teachers could recognize origin of bullying between students and also could solve this origin. So, teachers' role is very important than everything else to prevent bullying.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bullying prevention should be developed.

서울과 강원지역 학생들의 육가공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 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Processed Meat Products by Student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 용은주;이근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57-563
    • /
    • 2009
  •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processed meat products by students in food service schools was investigat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used for this survey was 569. The most preferred processed meat product for students was the fried pork cutlet(17.7%), followed by bacon(11.4%), ham(7.9%) and sausage(7.6%). The main reasons for the consumption of these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good taste'(52.5%), 'convenience in eating'(18.8%) and 'as the parent buy'(18.8%). The preference for the processed meat products had a relatively high perception value(4.0). However, the effect of consuming processed meat products on nutrition and health had a relatively low perception value(2.9). Reasons for distrusting the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attributed to 'bad influence by media'(25.9%) and the 'unsanitary manufacture'(23.6%). In regards to the question about sodium nitrite, most of the students(56.2%) replied that they had 'never heard of it' or 'didn't know it well'. In conclusion, an improvement in public information would be a prerequisite for expanding wholesome use of processed meat products.

중학교 중정 공간 분석 - 울산광역시 공립 중학교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Courtyard in Middle Schools - For Public Middle School in Ulsan -)

  • 김현미;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3호
    • /
    • pp.28-38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중학생 활동 특성과 학교 중정 공간 활용의 상관관계에 대한 조사 분석하여 학교공간 혁신에 도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 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활동 특성에 따른 학교 중정공간 활용 방안을 분석하였다. 사용자 인식 분석은 학교공간에 대한 이미지와 청소년기 중학생의 활동 특성, 중정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과 A NOVA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활동 특성에 따른 중정 공간 활용과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한국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 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조사를 이용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Using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숙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28
    • /
    • 2024
  •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제 8차 (2019~2021년)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을 구분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표본 추출의 단계를 거쳐 12~18세인 청소년 최종 1,06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은 남학생은 학교, 가족구성, 수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학생은 학교에 따라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주관적 건강 인식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남아 청소년 가족구조에서 양 부모와 사는 청소년이 한 부모 청소년보다 건강 행위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p=.011), 여아 청소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건강 행위와 관련 남아 청소년은 규칙적 운동이(p=.013), 여아 청소년은 아침식사가 주관적 건강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1). 결론: 본 연구에서 남·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녀 청소년의 차이를 고려한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천 일부지역 여중생의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among Middle School Girls in Incheon)

  • 김미진;최미경;김미현;김명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2호
    • /
    • pp.181-1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trategies for effective food allergen labeling in order to prevent food allergies in school meal service. Food allergy experience, eating behavior, and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were survey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food allergy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girls in Incheon. Seventy-eight students (17% of total subjects) experienced food allergies. For eating behaviors, students with food allergy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using nutritional knowledge in their life than inexperienced subjects. For the percep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girl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more often checked labeling of school meals for allergenic foods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 of food allergies (P<0.001). The most desirable method for displaying allergenic foods was an indication of the allergenic food name amo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and allergenic food number of the current method for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food allergies (P<0.001).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food allerg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rest in food allergen labeling than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P<0.001). For the importance score of information items in nutrition labeling, allergenic foo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3.9 vs. 3.4 points,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ood allergies are more interested in food allergen labeling of school meals and that they are more aware. Efforts to improve labeling method such as directly labeling allergenic food name and a more visible indication are require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Open-Inquiry Activity and Field Survey)

  • 홍지혜;홍훈기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8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80명을 대상으로 자유탐구 경험과 운영 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 실태를 알아보고자 19명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을 관찰하고 수행 단계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 응답 내용과 비교하였다. 설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과학영재 학생들은 평균 3.25회의 자유탐구 수행 경험을 갖고 있었으며, 개별 연구보다 소집단 연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제 선정 방안과 관련하여 교사의 개입보다는 개인이 원하는 주제로 자유탐구를 진행하기를 선호하였으며,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에서 학생들은 본인 스스로 처음부터 끝까지 탐구를 진행하는 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혼성반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in Mixed Classes)

  • 노태희;최용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1-409
    • /
    • 1996
  • In this study, the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climate were investigated for 36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mixed classes. The instrument used was an adapted version of the Student Perception Questionnaire (SPQ), which consists of five elements-Participatory Climate, Personalized Interaction, Student Assertiveness, Positive Teacher, and Negative Teach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articipatory Climate and the Positive Teacher were not signific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s of the Negative Teacher, the Personalized Interaction and the Student Assertiveness, which measure the climate for the individual student.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climate except one item on the Participatory Climat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우리나라 중학교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013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the mental health in Korean Middle 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Web-based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Behavior from 2013)

  • 유진영;김기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395-405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교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중학교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3년 제9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36,530명을 분석하였다. 복합표본자료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행복감 인지 정도는 학교 체육시간에 주 3회 이상 직접 운동하는 경우에 비해 2회 이하인 경우 행복감은 낮았으며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자살시도 가능성은 높았다. 참여하고 있는 팀 스포츠 수가 1개 팀 이하인 경우 행복감이 낮았으며 스트레스 인지 정도는 높았다. 4개 팀 이상 참여하는 학생에 비해 '1개 팀', '2개 팀' 참여가 자살가능성이 낮았다. 중학교 청소년들의 행복감 향상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2개팀 정도의 정규적 팀 스포츠 활동 참여와 교내 체육시간에 직접 운동을 주 3회 이상 수행함이 필요하며, 저학년인 경우 극단적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됨이 필요하다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