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wave-assisted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5초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 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6-622
    • /
    • 2006
  • 싸리(L. bicolor)의 생리활성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타민 C와 총 폴리페놀의 함량 그리고 각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싸리의 비타민 C 함량은 $26.42{\pm}0.08mg/100g$이었으며, 싸리 생체의 총 폴리페놀은 $1.14{\pm}0.02 mg/g$을 함유하였으며,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RE에서 154.95 mg/g으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MW(87.85%) > PW(84.30%) > RW(79.71%) > RE(79.70%)의 순으로 저해 활성 나타내었다. 모든 종류의 추출물이 1,000 u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율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RE(55.22%) > MW(31.39%) > RW(18.52%) > PW(13.5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RE 추출물은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가장 낮았으나 tyrosinase 저해율은 가장 높았으며, 물추출 중에서는 MW의 추출물이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샥스핀 가공 중 사용된 메타규산나트륨 분석 (Analytical Method to Quantify Sodium Metasilicate in Shark Fins)

  • 박세종;장수진;최재천;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5-148
    • /
    • 2015
  • 메타규산나트륨은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으로 식용유지류의 여과보조제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식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샥스핀 등 수산물에 중량 증량의 목적으로 메타규산나트륨을 불법 사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메타규산나트륨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메타규산나트륨의 수용액은 강알칼리성용액으로 식품에 첨가되면 해리되어 그 자체로 분석할 수 없으며, 규소 양의 측정을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추정할 경우 시료 자체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규소와 구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규산나트륨의 첨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메타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가공되지 않은 상어지느러미를 침지하여 중량의 증가, pH 및 규소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러나 Robberecht 등(7)의 연구결과 6종의 어류에서 규소가 1.77-84.19 mg/kg의 범위에서 검출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산물의 종류와 개체 간에 규소 함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샥스핀의 규소 함량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좀 더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이후에 대조군과 pH, 수분 및 규소 함량 비교를 통해 메타규산나트륨 사용여부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은 장식 이종접합 질화탄소를 이용한 가시광선 조건에서의 항생제 분해 연구 (Degradation of Antibiotics Using Silver Decorated Heterojunction Carbon Nitride under Visible Light)

  • 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3-27
    • /
    • 2023
  • 흑연질화탄소(g-C3N4)는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 항생제 분해에 효과적인 광촉매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공-전자쌍의 빠른 재결합은 광분해 효율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g를 마이크로파 보조 분해 방법에 의해 g-C3N4/g-C3N4 iso-type 이종 접합 광촉매에 결합시켰다. X선 회절분석, UV-DRS, FT-IR, PL 분석을 통해 이종접합의 구조와 물성을 규명하였고, Ag 장식 g-C3N4/g-C3N4 이종접합 광촉매는 g-C3N4/g-C3N4 iso-type 이종접합 및 벌크 g-C3N4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Ag 장식 이종 접합 광촉매는 210분 이내에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 설파메톡사졸 분해를 하여 우수한 광촉매 활성을 나타냈다. g-C3N4에 Ag의 첨가는 가시광선 흡수 범위를 넓히고 표면 플라즈몬 공명으로 인해 정공-전자쌍의 재결합을 제한하여 광촉매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습식분해 및 직접용해법에 따른 천일염 중 무기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 김영섭;제정환;이연희;김진효;조영숙;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93-997
    • /
    • 2011
  • 12종 천일염 시료의 성분 분석을 비교한 결과, 식염함량은 국내산 장판염이 85.1%, 국내산 토판염이 89.3%, 수입산 천일염이 91.3%로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불용성분은 0.0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장판염의 Na 함량은 수입산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난 반면 Mg, K 함량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게랑드 소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인체에 꼭 필요한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소금을 섭취함에 있어, Na 함량이 적고 Mg, K 등 무기성분이 높게 함유된 국내산 천일염을 통한 소금 섭취를 권장하는 바이다. 습식분해 및 직접용해법에 의한 Na와 Mg의 무기성분 조성비(%)는 수입산과 토판염의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89 : 1로 동일한 비율을 보였고, 장판염에서는 82 : 3 대 81 : 3로 유사한 조성 비율을 나타내어 천일염시료 분석에 있어 습식분해와 직접용해법 간에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습식분해법에 비해 복잡한 전처리를 거치고 않고 직접용해로 천일염의 무기성분분석을 실시하여도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