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oft Team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Electron App의 메시지 획득 방안에 관한 연구: 협업 툴 잔디, 슬랙, 팀즈 중심으로 (A Study on Message Acquisition from Electron Apps: Focused on Collaboration Tools such as Jandi, Slack, and Microsoft Teams)

  • 김성수;이성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1-23
    • /
    • 2022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근무가 증가함에 따라 협업 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협업 툴은 다양한 기기에서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Chromium 기반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Electron을 사용하는 것이 최신의 개발 경향이다. Electron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Electron App의 경우 Chromium 기반 웹 브라우저와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툴 잔디(jandi), 슬랙(slack), 팀즈(microsoft teams)를 중심으로, 웹 브라우저 저장소(web storage)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Electron App의 메시지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잔디는 기존에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Cache에서 메시지를 획득하였고, 슬랙, 팀즈의 경우 본 논문에서 개발한 메시지 카빙 도구를 이용하여 IndexedDB에서 메시지를 획득하였다.

Opportunities of Organization of Classes in Foreign Languages by Means of Microsoft Teams (in Practice of Teaching Ukrainian as Foreign Language

  • Olha Hrytsenko;Iryna Zozulia;Iryna Kushnir;Tetiana Aleksieienko;Alla Stadn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3호
    • /
    • pp.160-172
    • /
    • 2024
  •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require special resources and tools for online learning. Criteria for choosing educational platforms depend on key elements of an academic subject area. Microsoft Teams (hereafter, MT) educational platform is competitive one because it meets most of the needs that arise during the formation of a secondary linguistic persona. Due to the large number of corporate programs, there are a successful acquisition of language skills and the implementation of all types of oral activities of students. A significant MT advantage is the constant analysis and monitoring of the platform of participants' needs in the educational process by developers. The article highlights M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attention is drawn to individual programs, which, in the authors' opinion, are the most successful to learn writ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as well as organize classes that meet needs of modern foreign students.

협업 툴의 사용자 행위별 아티팩트 분석 연구 - 운영환경에 따른 differential forensic 개념을 이용하여 (On Artifact Analysis for User Behaviors in Collaboration Tools - Using differential forensics for distinct operating environments)

  • 김영훈;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353-363
    • /
    • 2021
  • 언택트(Untact) 시대로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협업 툴(Collaboration Tool)은 비대면 업무를 위한 디지털 솔루션으로써 그 활용도와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협업 툴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한편, 그 편의성에 비례하여 정보 유출, 보안사고 등 디지털 범죄 및 사고우려 또한 내재되어 있어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가장 높은 협업 툴 Microsoft Teams에 대한 윈도우즈 및 안드로이드 포렌식 연구를 통해 주요 사용자 행위를 정의하고 각 행위들을 수행한 뒤 의미 있는 아티팩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각 운영환경에서 획득 가능한 아티팩트를 비교·분석하고 여기에서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한 차분 포렌식(differential forensic)을 통해 협업 툴 분석기법 및 수사 시나리오 등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LM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MS based on Digital Literacy)

  • 고학능;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223-225
    • /
    • 2022
  •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사항으로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으로 디지털 기초 소양을 강화한다. 한편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확대되면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LMS는 디지털 기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므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Microsoft의 Teams, Google의 Classroom, KERIS의 위두랑과 e학습터를 비교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요소와 LMS 기능을 관련지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MS를 활용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뉴노멀시대에 있어서 물류 관련 학과의 온라인교육 경험 (Experience in Online Education in Logistic-related Departments in the New Normal Age)

  • 배수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9-14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experience of online education with departments related to the servic industry, such as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 the New Normal Age of COVID-19 pandemics. The graduation presentation project, which is the capstone design subject and the most urgent subject for face-to-face classes, was selected as the online education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everal online class tools, such as Zoom, Microsoft Teams, and Google Meet, have also been shown to be applicable to capstone design subjects such as graduation presentation projects. Second, it is essential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practice and utilize online contents. Third,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to make easy use of the aforementioned online teaching tools. Meanwhile, fourt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olve the learning effects caused by online learning,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소프트웨어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협동작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oftware Developments)

  • 김소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1999
  •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사고와 생활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물론 개발자들도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해 가고 있으며, 윈도우즈 환경에서 비롯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의 시작은,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시각요소의 사용을 자유롭게 만들고 있다. 이에,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들은 소프트웨어의 정확한 기능의 수행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그래픽과 사용 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그램 개발자가 독자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보다,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업무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개발자들의 프로세스를 염두에 두지 않고 개별적인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이루어지기 힘들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서 적용하는 외형적인 장식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빈번히 있어왔다. 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과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개발자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내용과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팀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과 업무 영역 정의, 그리고, 팀에서의 상호 협조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있다.

  • PDF

코로나시대 물류 서비스 관련 분야 직장인의 언택트 업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Untact Works in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 in the Era of COVID-19)

  • 배수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status of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s about untact works by case study in the Era of COVID-19. An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by cas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en office workers from May to June 20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ork environment, work management and work effect. First, teleworking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efficiency about work environment. ZOOM, One drive, Skype, Chatbot, Microsoft Teams and Remote view are used as collaborative applications. Second, work instructions in documents are needed such as e-mail and messenger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bout work management. Third, the strong points of teleworking are both high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about work effect. The weak points of teleworking are both very low-technology and misunderstanding about work effect. The result offer some insights into the case study of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s about untact work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