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0909/kopast.2020.26.3.147

A Case Study of Untact Works in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 in the Era of COVID-19  

Bae, Soo Hyun (Yong-in Songdam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v.26, no.3, 2020 , pp. 147-1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status of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s about untact works by case study in the Era of COVID-19. An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by cas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en office workers from May to June 20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ork environment, work management and work effect. First, teleworking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efficiency about work environment. ZOOM, One drive, Skype, Chatbot, Microsoft Teams and Remote view are used as collaborative applications. Second, work instructions in documents are needed such as e-mail and messenger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bout work management. Third, the strong points of teleworking are both high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about work effect. The weak points of teleworking are both very low-technology and misunderstanding about work effect. The result offer some insights into the case study of logistic service-related workers about untact work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COVID-19; Workers; Untact; Telework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국정보화진흥원(2019).2019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보고서.
2 홍경옥(2020). "코로나시대에 대학생들의 국내여행 선호도 연구:컨조인트분석의 적용". 관광경영연구. 24(5). pp.819-841.
3 Jin LIMEI.전영주.김태희(2019). "외식 소비자 혁신성에 따른 시장세분화연구: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외식경영연구. 22(6). pp.255-277.
4 Dingel. J. I. and Neiman. B(2020). How many Jobs Can be Done at Home? Becker Friedman Institute. pp.1-14.
5 세계일보(2020.5.06.). '재택근무.언택트'...코로나19가 바꾼 일상 이야기.
6 http://www.segye.com/newsView/20200506509765?OutUrl=naver. 2020년 9월 10일 20:00.
7 아시아경제(2020.9.24.). "기업 절반 재택근무 도입...인사담당자 66.7% 업무효율".
8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92418375164041. 2020년 9월 19일 21:00.
9 이데일리(2020.3.15.). "우리회사는 왜 재택근무 안해요?"...이유 살펴보니.
10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5046625703648&mediaCodeNo=257&OutLnkChk=Y. 2020년 9월 18일 21:00.
11 전자신문(2020.10.18.).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 4000만명 넘어.
12 https://www.etnews.com/20201018000059, 2020년 10월 18일 22:00.
13 Yin, R.K.(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14 김동준.최현준.조환기.김광용(2020). "코로나팬더믹 이후 관광산업 발전방안 연구".호텔경영학연구. 29(4). pp.129-144.
15 고용노동부(2020). 재택근무 활용실태 설문조사.
16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0).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
17 김난도 외 7인(2018). 트렌드코리아 2018 미래의 창.
18 김동준.최현준.조환기.양정윤(2020). "호텔산업의 언택트 마케팅 사례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9(4). pp.205-218.
19 김영진.임연우(2019).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고객태도 사례 연구". 관광경영연구. 23(1). pp.229-245.
20 박보경.백지연(2020). "경력개발 관점에서의 비서관련 학과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에 대한 사례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9(2). pp.131-162.
21 신기동.유민지(2020).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이슈 & 진단. pp.1-25.
22 배영임.신혜리(2020).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 & 진단. pp.1-26.
23 설도.최영기(2020). "관광위기 상황에 따른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24(5). pp.345-364.
24 송기돈(2012). "스마트파워-복합네트워크 외교양식과 한국지방외교에의 발전적 함의 연구:미국형 외교변환 모델 중심". 한국자치행정학보. 26(3). pp.327-358.
25 양정윤(2020).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9(4). pp.9-15.
26 오상조.이종만.김용영(2017).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1). pp.393-401.   DOI
27 유상인.이소현.김희웅(2013).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시스템 사고 접근".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3). pp.57-73.
28 윤미정.고윤희(2020). "외식업체의 비대면 서비스 품질이 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6(6). pp.184-194.
29 이승택.오성탁(2012). "스마트워크 서비스 확산을 위한 정책추진방향". 정보와 통신. 29(12). pp.39-42.
30 이진희.강명보.정연동(2020). "유튜브 관광채널 선택속성이 이용자 만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3). pp.365-382.   DOI
31 임광현(2013). "스마트워크(재택근무) 실행가능성에 대한 공.사부문 종사자의 인식수준 차이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7(1). pp.103-132.
32 정삼철.이민주(2020). "충북형 온택트(Ontact)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충북 Focus. pp.1-26.
33 조무호(2018).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의 IT자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34 최호진(2012).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 한국행정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