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copic Simulatio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6초

저전력 모바일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A design of a low power mobile multimedia system architecture)

  • 이은서;이재식;김병일;장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31-233
    • /
    • 2005
  • For the low-power design of the mobile multimedia system architecture, this paper modeling the mobile multimedia system and analysis the power consumption profile about the who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mobile system model consist of air interface, RIP front-end, base-band processing module and human interface. For the result of power consumption profile analysis,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media processing is above 60% compare to the whole power consumption in mobile multimedia system.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in processing module which consumes the large power, this paper proposed the Microscopic DVS technique which applies the optimum voltage for the each multimedia frame. For the simulation result, proposed power minimization technique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bout 30%.

  • PDF

자율주행차량 도입에 따른 교통 네트워크의 효율성 변화 분석연구 (Exploring the Impacts of Autonomous Vehicle Implementation throug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pproaches)

  • 육동형;이백진;박준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4-28
    • /
    • 2018
  • 차량 통신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기술 향상으로 인해 자율 차량이 시장에 서서히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량이 네트워크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미시적 및 거시적 시뮬레이션을 결합한 순차적 단계를 적용했다. 미시적 시뮬레이션은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에 의한 용량 변화를 고려하는 반면, 거시적 시뮬레이션은 네트워크 전체의 개선을 식별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한다. 예상대로, 자율주행차량은 인간의 운전보다 기존 도로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최대 용량 개선은 190.5%로 예상된다. 상당한 용량의 변화는 자율주행차량의 비율이 약 80% 이상일 때 관찰된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자율주행차량의 보급을 통해 전반적인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시적 모델로 변환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율 주행 차량의 시장 첫 출연이 자유로운 흐름 조건을 보장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하며, 이는 자율주행차량 시대에 맞는 시스템 최적의 경로 체계의 가능한 필요성을 의미한다.

Smart Bollard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안전성 제고에 관한 연구 (School Zone Safety Improvement Using Smart Bollard)

  • 김회경;임재문;설재훈;오윤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51-2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교통안전의 증진을 위하여 상류부에 접근하는 차량의 감속과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위치한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차대사람 간의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보차분리가 가능한 구동식 bollard, 즉 smart bollard를 제안하고 설치와 운영에 요구되는 조건들을 교통공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그 제원을 제시하였다.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제안된 smart bollard를 평가해본 결과, 설치 전과 비교하여 구간 평균통행속도와 통과교통량의 감소효과를 보여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의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구간 평균통행속도와 통과교통량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파라미터는 smart bollard 사전 경보등의 설치에 관여하는 황색신호시간의 길이와 smart bollard의 구동시간으로서 각각 5~6초와 2~3초가 적합한 값으로 판명되었다.

미시적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COSMOS) 평가 시뮬레이션 환경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face Module with a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for COSMOS Evaluation)

  • 송성주;이승환;이상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5-102
    • /
    • 2004
  •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은 현장의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의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인 COSMOS를 적절하게 모의실험 할 수 있는 미시적시뮬레이터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인 NETSIM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COSMOS 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도록 통합 시뮬레이션 환경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COSMOS 평가시뮬레이터의 모듈 중에서 모의 실험환경 내에서 차량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지기정보를 추출해내는 모듈과 주요 신호변수 중 하나인 COSMOS 녹색현시배분알고리즘모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평가시뮬레이터 내의 정보흐름 정확성을 평가해본 결과, 연산과정 및 정보흐름이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개선하기 위한 향후과제들을 논문의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xpressway Hard Shoulder Running Algorith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정하림;박상민;강성관;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3-77
    • /
    • 2023
  • 본 연구는 고속도로 상의 반복적인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 중 하나인 고속도로 갓길차로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강화학습의 DQN을 활용한 갓길차로제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미시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활용하여 경부선 기흥IC-수원IC 구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화학습 에이전트를 학습시켰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평가는 크게 이동성과 안전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DQN 기반 갓길차로제 운영을 통해 시간당 최대 26km/h의 속도 개선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DQN 에이전트는 기존 운영 기준인 60km/h 보다 약 10km/h 높은 속도로 갓길 차로제를 운영하였다. 안전성 효과의 경우 기존 운영 방식과 DQN 기반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차량 간 상충건수를 비교하였고 산출된 상충건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10km/h의 운영 기준 속도의 차이가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강화학습 기반 고속도로 갓길차로제 운영은 이동성 측면에서는 분명한 효과가 존재하였고 현재 운영 기준 속도의 조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인천국제공항 수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apacity by using Aircraft Delay Simulation Model)

  • 방준;김도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9
  • To prepare for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air transport, airport operators should be well aware of the timing of the saturation of the facility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airport through extension or extension. The capacity of an airport is determined by the smallest value of the facilities that make up the airport, but it is generally customary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the costly and time-consuming runway as a whole for the airport. For analyzing the capacity of the runway capacity, the study used the most accurate microscopic air traffic simulation, Simmod-PRO, to analyze the saturation time of three runways currently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operation, and calculate the appropriate time for operation of the 4th runway. The study also calculate the relocation of Airport's high-speed exit taxiway for analyzing the increasing of capacity.

Direct Solving the Boltzmann Equation for Supersonic Jet Problems with Instabilities

  • Aristov V.V.;Zabelok S.A.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3년도 The Fifth Asia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nference
    • /
    • pp.268-269
    • /
    • 2003
  • The Boltzmann kinetic equation is solved directly by means of the conservative splitting method. Underexpanded supersonic free jet flows with small Knudsen numbers are studied. In this numerical simulation features intrinsic to appropriate experiments are observed. Streamwise vortices in a mixing layer and chaotic downstream temporal-spatial fluctuations of microscopic quantities with large amplitude are obtained.

  • PDF

Microscopic Studies and Simulations of Bloch Walls in Nematic Thin Films

  • Park, Jung-Ok;Zhou, Jian;Srinivasarao, Moha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
    • /
    • pp.493-495
    • /
    • 2005
  • The director profiles of the Bloch walls are directly visualized using fluorescence confocal polarizing microscopy. Both pure twist Bloch walls and diffuse Bloch walls are analyzed. Polar anchoring energy was measured from optical simulation of the transmitted light interference pattern or the fluorescence intensity profile of a pure twist wall..

  • PDF

A Fuzzy Processor Consistion of Memory and Controlling LSI

  • Yikai, Kunio;Honda, Nakaji;Satoh, Akira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3년도 Fifth 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World Congress 93
    • /
    • pp.789-792
    • /
    • 1993
  • We have proposed a fuzzy model for behavior of vehicles in the road traffic simulation system with microscopic model for analyzing traffic jam in the broad areas. It can exactly simulate each vehicle's behavior. We propose a new hardware processor to simulate fuzzy decision-making mechanism for its model. This paper describes the functions,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the hardware processor.

  • PDF

혼잡 신호교통로 제어를 위한 최적화 모형 개발 (Static Optimization Model for Congested Signalized Intersections)

  • 김영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5-102
    • /
    • 1992
  • 지난 수십년간 수많은 신호교차로제어모형이 제시되어 왔으나 과포화교차로를 특별히 다루는 기법은 거의 없었다. 본고에서는 과포화상태의 신호교차로제어를 위한 최적화모형이 제시된다. 지체도최소화나 연동폭최대화가 전통적인 제어목표로 사용되어 왔으나 혼잡교차로 제어에는 생산성최대화(maximum productivity)가 적절하며 본 모형에 사용되었다. 제시된 최적화모형은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의 형태를 취한다. 본 모형은 두 개의 교차로 문제에 적용되었으며, 모형화 과정에 사용된 가정들의 적절함이 민감도분석에 의해 증명되었다. 최적해의 검증을 위하여 microscopic simulation model인 TRAF-NETSIM을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