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climate control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이중양면편 스포츠용 소재의 착용쾌적성 평가 (Wear Comfort of Double Jersey for Sports Wear)

  • 정수경;홍경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263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an evaluation scale that could predict wear comfor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kin-contacting fiber type on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microclimate. Sensorial evaluation was basically followed by the Human Perception Analysis (HPA) interviewing 144 consumers. Sixteen femal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sleeve wear test with and without wearing vapor permeable water repellent outerwear. Experimental sleeves were constructed using the same double knit by turning inside out to control other material effects except the skin-contacting fiber type, hence each different side of double knit, cotton side and the cotton/polypropylene blend side, was next to skin in each trial of the experiment. As results, it was noted that the term representing a combined feeling of thermal and wetness sensation, and muggy appeared to be a powerful language to measure perceptual responses of human subject among five dimensions of evaluation. although the ordinary users did not use the term very often. As for the comfort properties of double knits, it seemed that subjects slightly more preferred polypropylene/cotton blend to cotton as the skin-contacting fiber type when they wore outerwear and their skin were covered with sweat, although the result was r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ed to be confirmed under higher work load.

  • PDF

'발열내복'이라 광고되는 시판 기능성 보온내복의 써멀 마네킹과 인체 착용 실험을 통한 체온조절 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rmoregulatory Properties of Thermal Underwear Named as 'Heating Underwear' using Thermal Manikin and Human Performance Test)

  • 이효현;이영란;김지은;김시연;이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57-665
    • /
    • 2015
  • This study evaluated the thermoregulatory properties of functional thermal underwear ('heating underwear') in markets using a thermal manikin and human wear trials. One ordinary thermal underwear (ORD) and two functional thermal underwear (HEAT1 and HEAT2; manufactured goods, HEAT1: moisture absorbing heat release mechanism, HEAT2: heat storage, release mechanism) were chosen. Thermo-physiological and subjective responses were evaluated at an air temperature of $5.0{\pm}0.5^{\circ}C$ and air humidity of $30{\pm}5%RH$ with five male subjects ($21.6{\pm}1.3yr$ in age, $178.0{\pm}5.9cm$ in height, $68.2{\pm}5.9kg$ in body mass). Experimental conditions consisted of four ensembles that included winter clothes (Control: no underwear, ORD, HEAT1, HEAT2). Water-vapor resistance was greater in fabric of HEAT1 than others. The results were: 1) Total thermal insulation (IT) using a thermal manikin were not greater for HEAT1 (0.860clo) and HEAT 2 (0.873clo) than for ORD (0.886clo).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tal temperature, mean skin temperature, heart rate and total body mass loss between the four conditions. Microclimate clothing temperature on the back was greater for ORD than for HEAT1 and HEAT2. Subjects felt more comfortable with HEAT1 than for others at rest. HEAT2 was higher in microclimate humidity when compared to other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moregulatory properties of 'heating underwear' in market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ordinary thermal underwear in terms of total thermal insulation and thermoregulatory responses in a cold environment.

생육시기별 광량조절이 인삼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Transmittance Control on the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anax ginseng)

  • 천성기;이태수;윤종혁;이성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202-206
    • /
    • 2003
  • 전 생육기간동안 해가림내의 투광율을 약 8%로 고정한 대조구와, 생육시기별로 투광율을 6%와 18%로 조절한 투광량 조절구의 해가림밑의 미기상, 지상부 생육 특성 및 광합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가림내의 투광율을 고정한 대조구는 P.E4중직(흑1+청3) 차광망을 피복하여 약 8% 투광율을 전 생육기간동안 유지하였고, 투광량조절구는 P.E 차광망을 사용하여 7∼8월에 투광율을 6%, 4∼6월과 9∼10월의 투광율 18%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투광량조절구는 저온기인 생육초기(4∼6월) 및 후기(9∼10월)에 대조구보다 최고기온, 누수율 및 토양수분함량이 높았으나, 고온기인 생육중기(7∼8월)에는 최고기온, 누수율 및 토양수분함량이 낮았다. 투광량 조절구는 대조구 보다 생존율이 높고, 경직경이 굵었으며, 경장이 짧고, 엽면적 지수가 낮고, 줄기도 90$^{\circ}$로 직립하였다. 투광량 조절구는 대조구 보다 엽록소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비엽중(S.L.W)과 기공개도가 증가되었고, 일중 순광합성량이 26% 증가되었다. 광량조절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점무의병 이병율과 낙엽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기능성 연질필름 온실의 미기상 (Microclimate of Greenhouses Covered with Functional Film)

  • 전희;최영준;최영하;김학주;이시영;정두석;신용습;최충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6-100
    • /
    • 2007
  • 피복자재별로 전광선투과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물방울과 먼지의 부착량이 적은 J-2에서 시설 내 광투과율은 78.2%로 가장 높았다. 자외선 투과율이 완전히 차단된 필름은 J-2이었고, 나머지의 자외선 투과율은 $62{\sim}76%$ 정도이었다. 무가온 참외재배시기에 터널 안이 노지보다 기온은 $15{\sim}21^{\circ}C$, 지온은 $20{\sim}25^{\circ}C$ 정도 높았다. 피복자재별로 기온은 $6^{\circ}C$, 지온이 $5^{\circ}C$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온과 지온 모두 J-2 에서 가장 높았다.

자연광 기반 적층형 식물공장의 열환경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Environment of a Natural Light Based Multi-layered Plant Factory)

  • 박동윤;장성택;장성주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43-50
    • /
    • 2013
  • Recent researches on plant factory system deal with the convergence of lighting technology, agricultural technology inclusive to the high-tech industries worldwide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creasing crop harvest due to global warming and abnormal weather phenomena. However, the fundamental performance standard is not currently being introduced in the case of plants factory and its commercialization is not activated because of high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 Large portion of the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 of a plant factory is ascribed to artificial light sources and thermal control facilities, therefore, innovat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s of the plant factory. As an alternative, new plant factory could harness solar thermal and geothermal systems for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In this study, a natural light dependent multi-layer plant factory's thermal environment was analyzed with two-dimensional numerical methods to elicit efficient operation conditions for optimized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supply air temperature and airflow rate introduced in the facility, the temperature changes around the crops was interpreted. Since the air supplied into the plant factory does not stay long enough, the ambient temperature predicted around the plating tray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pplied air. However, the changes of airflow rate and air flow pattern could cause difference to the temperature around the planting trays. Increasing the amount of time of air staying around the planting trays could improve energy performance in case the thermal environment of a natural light based multi-layer plant factory is considered.

2종류의 기능성필름이 광학특성과 엽채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Optical Characteristics of Two New Functional Films and Their Effect on Leaf Vegetables Growth and Yield)

  • 권준국;벡조드;박경섭;최효길;이재한;유인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4-320
    • /
    • 2014
  • 소형 비닐하우스에 2종류의 기능성 필름과 관행의 PE 필름을 피복하고 청치마, 적치마, 치커리 등 3종의 엽채류를 재배하여 기능성필름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2종류의 기능성 필름은 PO(polyorefine)계 수지로 만들어졌으며, 엽채류는 흙과 펄라이트를 혼합한 배지에서 육묘하였다. 필름의 광학적 특성에 있어서 기능성 필름은 관행의 PE 필름과 비교하여 광합성 유효광(400-700nm)의 투과율이 높고 자외선(300-400nm)의 흡수율이 높았다. 피복 3개월 후의 광합성 유효광 투과율의 감소 수준은 기능성필름이 PE필름보다 작았다. 이 같은 요인으로 인해 엽채류의 생육과 수량이 기능성 필름을 피복한 하우스에서 높았다.

곤달비 여름재배 시 냉각방법과 냉수호스베드재배가 생육 및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Cooling Methods and Cool Water Hose Bed Culture on Growth and Microclimate in Summer Season Cultivation of Narrowhead Goldenray 'Ligularia stenocephaia')

  • 김기덕;이응호;김원배;이준구;유동림;권영석;이종남;장석우;홍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2
    • /
    • 2011
  • 본 연구는 여름철에 신선한 곤달비를 생산하기 위하여, 몇 가지 냉각방법에 따른 재배효과를 검토하고 베드의 구조물 및 냉각수단으로서 호스를 이용한 경제적인 팽연화왕겨 간이수경재배베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냉각방법별 곤달비의 생육은 냉수호스, 미스트, 무비가림 순으로 좋았으며, $13^{\circ}C$의 지히수를 약 240/hr의 유속으로 흘려 냉각시켰을 때 지온이 약 $2{\sim}3^{\circ}C$ 낮아졌다. 여름재배 시 군락부위 부분냉방을 위해 개발된 호스베드시스템은 ${\phi}15cm$의 벽과, 유기배지로 팽연화왕겨가 이용된다. 냉수호스베드에서 냉수의 온도가 $14{\sim}22^{\circ}C$ 범위에서 공급되었을 때 배지의 온도는 $18{\sim}23^{\circ}C$로 유지되어 냉각효과가 양호하였으며, 스티로폼베드에 비하여 호스베드의 곤달비 군락부위의 온도는 약 $0.5^{\circ}C$, 근권부의 온도는 약 $3^{\circ}C$ 낮은 등 냉각효과가 있었다. 국부냉방을 위한 호스베드시스템은 곤달비와 같은 키가 작은 엽채류의 여름철 재배에 활용할 뿐 아니라 저온기에는 난방수를 순환하여 별도의 방열배관없이 국부난방에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간이양액재배베드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와 화분용토에 따른 스킨답서스, 싱고늄의 실내습도 개선효과 (Effect of Scindapsus aureus and Syngonium podophyllum on the Improvement in Indoor Humidity by a Difference of Hydoroculture Volume Ratio and Pot Media)

  • 주진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4-99
    • /
    • 2009
  • 본 연구는 하이드로컬쳐 실내녹화방법을 실내습도 개선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엽식물로 매우 보편화된 스킨답서스(Scindapsus aureus)와 싱고늄(Syngonium podophyllum)을 대상으로 하이드로컬쳐 식재 부피비율인 2%, 3%, 5% 차이와 3%의 동일한 하이드로컬쳐 식재대에서의 화분용토, 식물종의 차이에 따른 실내습도 변화를 실측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에 따른 습도 변화에 있어서 스킨답서스의 경우, 식물이 투입하지 않았던 대조구에 비해 식물이 있는 생장상 내 상대습도가 높았다. 특히, 식물과 식재대의 용적비율이 높아질수록 습도가 높아졌다. 상대습도 25%인 대조구에 비해, 2%는 40%를, 3%는 45%를, 5%는 50%로 측정되었다. 싱고늄은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 2%는 40%를, 3%는 44%를, 5%는 46%로 각각 나타내어 대조구인 25%의 상대습도보다는 높았으나 부피비율에 따른 상대습도 차이는 확연하지 않았다. 하이드로컬쳐 식재대 내의 화분용토와 식물종에 따른 상대습도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인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초기 상대습도가 다소 높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식재대 내의 흙화분 처리구와 유사한 약 45%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였다. 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상대습도가 약 30%로 나타났으며,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한 산호수는 상대습도 약 38%로 측정되었다.

수변 생태벨트 평가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on Riverine Ecobelt)

  • 조용현;최대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3-132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변 생태벨트를 조성, 보전, 관리를 위해 수변생태벨트의 진단적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평가의 기본 틀은 일본의 제방림 평가방법을 토대로 하였으며, 국내 수변녹지의 현황에 맞게 수정한 1차 수정평가방법으로 1차 시험평가를 실시하였다. 1차 시험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한 2차 수정안을 가지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최종 평가방법으로 홍천강에서 시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평가방법의 평가영역은 5가지 분야 19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5가지 분야는 치수, 환경기능, 식물생장, 생태벨트기능, 복원잠재성 등이다. 치수분야 평가항목은 수림의 길이, 폭, 밀도 등 3가지 항목으로, 환경기능분야는 공원이용, 경관 경계 및 주연부, 미기후 조절, 비점오염 제어 등 4가지 항목으로, 식물생장분야는 종 구성, 수림 높이, 계층구조, 덩굴식물, 식물활력도, 후계목 생장 등 6가지 항목으로, 생태벨트기능 분야는 종적 연결성, 횡적 연결성, 하천내 수림 혹은 서식지, 제방상단 도로 등 4가지 항목으로, 마지막으로 복원잠재력분야는 지형, 인접 토지이용 등 2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점수체계는 1~4까지 부여되었으며, 최종 평가결과 등급체계는 우수한 1등급에서 가장 열악한 5등급까지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각 분야별 항목별 가중치는 동일하게 하였으며, 분야별 점수 평균값을 다시 평균하여 최종 등급을 판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홍천강을 대상으로 적용된 평가방법은 각 구간의 수변 생태벨트 실태를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여름철 농민의 서열 부담 경감을 위한 냉각조끼의 성능 평가 (Efficacy of Cooling Vests for Alleviating Heat Strain of Farm Workers in Summer)

  • 최정화;김명주;이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1176-118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cooling vests developed for farm workers harvesting red pepper in summer.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two steps: 1) Climatic chamber test, 2) Field test. For the chamber test, a work environment was simulated as $33^{\circ}C$ and $65\%$RH, and the thermo-physiological and subjective responses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cooling vests. Twelve young males participated as subjects. For the field test, three farmers participated while harvesting red pepper on the form, in summer. The measurements used were same as in the chamber test. Subjects were tested without any cooling vests, as a control. They were tested wearing vests with 2 frozen gel packs (CV2: Cooling area, $308cm^2$), and vests with 4 frozen gel packs (CV4: Sooting area, $616cm^2$). As a result of the chamber test, rectal temperature($T_{re}$) and mean skin temperature( $T_{sk}$) were lower in both CVs than in Control, and this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V4 (p<.05).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T_{clo}$) and total sweat rate (TSR)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wearing cooling vests (p<.05) Heart rate (HR) was also lower in wearing cooling vests than in Control, and the speed of recovery to the comfort level was faster when the subjects wore cooling vests. In addition, subjects felt 'less hot, less humid, and less uncomfortable' in both CVs than in Control. Field tests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the chamber tests. In particular, wearing the cooling vest was effective in restraining the raise of $T_{clo}$ on the back.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oling vest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heat strain and discomfort in both the chamber test and the field test, despite the cooling area of the cooling vest being just $3.4\%$ of the body surface area ($616c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