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cindapsus aureus and Syngonium podophyllum on the Improvement in Indoor Humidity by a Difference of Hydoroculture Volume Ratio and Pot Media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와 화분용토에 따른 스킨답서스, 싱고늄의 실내습도 개선효과

  • Ju, Jin-Hee (Dept. of Forest Science, Kunkook University)
  • 주진희 (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hydroculture by the vital means of the improvement of indoor relative humidity. This experiment employed a search of the effect of Scindapsus aureus and Syngonium podophyllum that are generalized for hydroculture foliage plant by a difference of volume ratio, pot media and plants species. In the case of Scindapsus aureus, relative humidity was high for growth chamber in which plants presented as opposed to control growth chambers in which there were no plants. Although relative humidity was 25% in control chamber, there was an increase of 40% at a 2% volume ratio, 45% at a 3% volume ratio and 50% at a 5% volume ratio. The relative humidity of Syngonium podophyllum was 40% at a 2% volume ratio, 44% at a 3% volume ratio and 46% at a 5% volume ratio, while the control treatment was 25% relative humidity in hydroculture. Both the control treatment and hydroball pot in a hydroball container were high at first. As time progressed, artificial soil pots in water containers was similar when housed within the control chamber by about 45% relative humidity. Hydroball pots in water container had about 30% relative humidity. Ardisia pusilla of hydroball poIt in hydroball container had about 38% relative humidity.

본 연구는 하이드로컬쳐 실내녹화방법을 실내습도 개선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엽식물로 매우 보편화된 스킨답서스(Scindapsus aureus)와 싱고늄(Syngonium podophyllum)을 대상으로 하이드로컬쳐 식재 부피비율인 2%, 3%, 5% 차이와 3%의 동일한 하이드로컬쳐 식재대에서의 화분용토, 식물종의 차이에 따른 실내습도 변화를 실측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에 따른 습도 변화에 있어서 스킨답서스의 경우, 식물이 투입하지 않았던 대조구에 비해 식물이 있는 생장상 내 상대습도가 높았다. 특히, 식물과 식재대의 용적비율이 높아질수록 습도가 높아졌다. 상대습도 25%인 대조구에 비해, 2%는 40%를, 3%는 45%를, 5%는 50%로 측정되었다. 싱고늄은 하이드로컬쳐 부피비율 2%는 40%를, 3%는 44%를, 5%는 46%로 각각 나타내어 대조구인 25%의 상대습도보다는 높았으나 부피비율에 따른 상대습도 차이는 확연하지 않았다. 하이드로컬쳐 식재대 내의 화분용토와 식물종에 따른 상대습도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인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초기 상대습도가 다소 높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식재대 내의 흙화분 처리구와 유사한 약 45%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였다. 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상대습도가 약 30%로 나타났으며, 하이드로볼 식재대 내의 하이드로볼 처리한 산호수는 상대습도 약 38%로 측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신(2005) 생활환경속의 실내공기질 관리. 한국공학교육학회지 12(4):61-65
  2. 방광자, 주진희(1999) 분화식물의 실내배치가 적정한 실내공기습도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지 7: 57-63
  3. 방광자, 주진희(2002) 실내 습도조건이 가는쇠고사리와 석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5(2): 34-38
  4. 서성준(2006) 습도와 피부건강.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지 58(2): 101
  5. 손기철, 김미경(1998) 실내 광, 온도, 절대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변화가 파키라(Pachira aquatica)의 증산 및 광합성량에 미치는 영향과 통계적 모델링. 한국원예학회지 39(5): 605-609
  6. 손기철, 김미경, 박소홍, 장명갑(1998) 관엽식물 파키라가 실내 온.습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과학기술지 16(3): 377-380
  7. 손기철, 송종은, 유명화(2006) 인간 건강 증진 측면에서 화훼의 기능성 연구.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4: 77-95
  8. 손기철(2004) 실내식물이 사람을 살린다. 서울: 중앙생활사
  9. 윤용한(2002) 녹지가 14시 상대습도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1-6
  10. 이월희(1995) 대형건물 실내조경식물의 하자 원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종석, 방광자, 김순자(2005) 신실내조경학. 파주: 도서출판 조경
  12. 정순진, 송정섭, 김완순, 이동우, 김형득, 김광진, 유은하, 조정건(2007) 실내식물에 의한 실내습도 개선효과. 한국원예기술지 25(1): 122
  13. 정연승, 박인환(1999) 실내에서 식물과 수경시설이 온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7(1): 19-25
  14. 조수헌, 김헌(1990) Office Building에서 실내습도가 근무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2): 123-133
  15. Asaumi, H., H. Nishina, and Y. Hahimoto(1993) Measurement of transpiration rate, stomatal resistance and shading ratio of amenit plants. J. Shita 4: 131-138
  16. Ishino, H., J. Tanimoto, and M. Yanagi(1994) Study on the evaporation from foliage plant in indoor environment. J. Archit. Plann. Environ. Engng. 457: 9-17
  17. Kimura, K., H. Ishino, J. Tanimoto, and S. Kato(1991)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evaporation from foliage on the indoor moisture environment. Part 1. Experimental method and results of orthogonal experiment. Summaries of T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 787-788
  18. Reddy, V. R., K. R. Reddy, and H. F. Hodges(1995) Carbondioxide enrichment and temperature effects on cotton canopy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water-use efficiency. Field Crops Research 4: 13-23 https://doi.org/10.1016/0378-4290(81)90050-2
  19. Snyder, S. D.(1990) Building Interiors, Plants and Automa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