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assay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상용 식품의 엽산 분석에 관한 연구 -제 3 보- (The Measurement of Folacin Content in Korean Foods -Part 3. Folate Distribution in Various Foods-)

  • 김영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2호
    • /
    • pp.53-63
    • /
    • 1979
  • 한국인의 식생활을 이루고 있는 주요식품 226종에 포함된 엽산치를 Lactobacillus casei 미생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 1보 및 2보에서 측정된 채소류와 과실류 식품은 이 보고에서 제외되었다. 엽산치함량은 유리형 및 결합형으로 각종 식품 100g중에 포함된 ug으로 표시하였다. 각종 식품 및 각 식품군에 포함된 영산치 함량은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종 식품에 포참된 영산 형태에 따른 화학적 조성도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단 작성시 결합형의 엽산치 함량이 사용될 것이며, 저장가공 및 조리계의 파괴율을 고려해야 하겠다. 가장 풍부한 영산의 급원은 효모로 2,800.8ug 결합형으로 식품 100g중에 함유됨을 보였다. 밀린 대두, 시금치, 냉이, 소 및 돼지 같은 100ug이상 함유됨을 보였다. 그 외의 말린 두류 및 종실류, 꼭, 숙갓, 미나리, 부추, 아스파라가스, 계란노른자, 소 콩팥은 50ug 이상 함유됨을 보였다. 파, 상치, 무우, 고추, 발효된 중 식품, 밀, 고구마, 느타리 버섯은 40 ug정도 함유됨을 보였다. 그외 대부분의 정제된 곡류, 전분류, 당류, 과실류, 육류, 어패류, 유류는 비교적 적게 함유됨을 보였다. 유지류, 음로 및 주류 조미료는 거의 함유량이 없음을 보였다. 저장가공 및 조리된 식품에서의 엽산치 함량은 전반적으르 크게 손실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Carvacrol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arvacrol against Cariogenic and Periodontopathic Bacteria)

  • 박순낭;이동균;임윤경;김화숙;조유진;김동춘;김생곤;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2-56
    • /
    • 2012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원인균들에 대한 carvacrol의 항균능을 알아보고, 사람의 구강조직 세포에서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하여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Carvacrol의 항균능은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5종류의 치주질환 원인균을 이용하여 MIC 및 MBC 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세포생존율은 정상 사람 치은섬유모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carvacrol의 MIC 및 MBC 값은 각각 $16-128{\mu}g/ml$$32-128{\mu}g/ml$이었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carvacrol은 $128{\mu}g/ml$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carvacrol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뛰어나지만, 구강조직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어 가글린제 및 치약 등의 구강위생용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64{\mu}g/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하고 정상 사람 치은섬유모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다른 항균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해수 존재 흰반점 바이러스의 정량 및 양식 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Quantific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Seawaters Using Real-Time PCR an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WSSV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 송재호;추여진;조장천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55
    • /
    • 2008
  • 흰반점 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는 양식산 새우에 감염하여 대량폐사를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병원성 바이러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에 위치한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 양식장의 양식수와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WSSV를 막여과법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새롭게 디자인한 primer와 Taqman probe를 사용하여 정량 실시간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을 적용하여 WSSV를 정량하였다. 농도표준을 사용한 QRT-PCR 결과, 제작된 primer와 probe를 이용하여 WSSV가 정확하고 민감하게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해수에 존재하는 WSSV와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양식수와 해수 유입수에서 대하 양식기간인 2007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8회에 거쳐 다양한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양식수 1L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3,814-121,545 copy였으며, 이는 분원성 enterococci ($r^2=0.9$, p=0.02), 엽록소${\alpha}$ ($r^2=0.8$, p=0.03), 생화학적 산소요구량($r^2=0.8$, p=0.07)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된 WSSV의 농축법 및 QRT-PCR 방법은 해수에 존재하는 WSSV를 정량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해수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보다 생물학적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 증식과 이동 촉진효과 (Ethanol Extracts of Chungkookjang Stimulate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 황재성;성대일;이환명;정영신;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3-226
    • /
    • 2014
  • 청국장은 대두발효식품으로 대두 단백질이 발효 중 분해되면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만들어진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의 기능은 물론 신생혈관 생성을 주도하는 세포이다.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뇌경색 등의 혈관관련 질병들은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치료법이 필요하다.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새로운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에탄올추출물(CEE)이 HUVEC (혈관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청국장 추출물(100, $1000{\mu}g/ml$)을 HUVEC에 처리했을 때, VEGF (10 ng/ml)를 처리한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세포를 증식시켰다. 열처리한 청국장추출물을 혈관 내피세포에 처리해도 세포 증식효과는 마찬가지였다. 청국장이 세포 증식뿐 아니라 HUVEC이동에도 영향을 주는지 sprout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청국장 추출물($100{\mu}g/ml$)을 처리했을 때, VEGF (10 ng/ml)와 비슷할 정도로 HUVEC 이동이 일어났다. 청국장 추출물에서 HUVEC 증식과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peptide의 분리가 필요할 것이다.

MLSB 항생제 내성인자인 ErmSF의 N-terminal 38개 아미노산 제거가 항생제 내성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uncation of 38 Amino Acids in N-terminal Region of ErmSF, a MLSB Antibiotic Resistance Factor Protein, on Enzymatic Activity)

  • 이학진;진형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9-244
    • /
    • 2014
  • ErmSF는 macrolide 항생물질인 tylosin을 생성하는 Streptomyces fradiae가 보유한 4개의 항생제 내성인자 단백질 중 하나로 23S rRNA의 $A_{2058}$에 dimethylation 시킴으로써 항생제가 부착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그 내성을 일으킨다. ErmSF는 다른 Erm 단백질과는 달리 긴 N-terminal end region을 가지고 있어서 그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1-38번째의 아미노산을 제거한 결손변이 단백질을 고안하고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그 활성을 in vivo와 in vitro에서 관찰하였다. 결손변이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장균은 결손에 의한 활성저하에 기인하여 야생형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장균에 비하여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손상된 것을 관찰하였다. 세포 외 in vitro에서의 활성은 야생형 ErmSF에 비하여 약 20%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관찰된 활성의 저하는 결손 변이에 의한 활성화 부위에서 일어난 결손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기질의 부착 또는 생성물의 효소에서의 이탈 과정이 손상되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호수의 환경보전에 있어서의 생물화학적 연구 -옥정호의 영양염과 $Vitamin\;B_{12}$의 함량- (Biochemical Study on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of Lake -Distribution of Chemical Compounds and $Vitamin\;B_{12}$ of Okjeong Lake-)

  • 김종면;박충웅;전은순;공석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1986
  • 우리나라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공호인 옥정호의 환경보전의 목적하에 식물 plankton의 생장과 관계가 깊은 $vitamin\;B_{12}$의 분포와 기타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토대로 옥정호수의 환경오염의 정도를 검토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COD와 $Cl^-$의 양은 1981년에 조사된 수치보다 높았다. 2. 호수중의 영양염의 양은 부영양호의 일반적 기준치를 상회하며 특히 인산염의 함양은 $0.175{\sim}0.225mg/{\ell}$ 이었다. 3. chlorophyll a 함양은 $1.1{\sim}8.7mg/{\ell}$이었고, 4. 식물 plankton의 생장과 관련성이 깊은 $vitamin\;B_{12}$의 함양은 $1.25{\sim}6.0mg/{\ell}$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때 옥정호수는 station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부영양호로서 규정하는 상태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베로 세포에서 생산된 2세대 일본뇌염 백신의 마우스에서의 면역원성 (The Immune Response of Mice Vaccinated with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CJ50003 Produced in Vero Cells)

  • 문상범;홍선표;김달현;김수옥;유왕돈;강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2-88
    • /
    • 1999
  • 베로 세포에 적응시켜 개발된 약독화 일본뇌염 바이러스인 CJ5003 주를 이용해 제조된 새로운 2세대 일본뇌염 백신의 효과를 마우스에서 조사하였다. Adjuvant 로 aluminiu hydroxide gel을 사용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일본뇌염 바이러스 특이 항체 유도능과 10배 향상된 중화항체 유도능을 보였으며, 항원의 양을 변화시켜 면역시킨 결과 0.5 ng 의 적은 항원양으로도 항체가 유발되었고 방어 가능한 수준인 1:10 이상의 중화항체가 유지되었다. 500ng의 항원양으로 면역된 마우스를 면역 초기부터 24주간 관찰한 결과 중화항체가가 14주까지 1:200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었으며 24주에도 1:160을 유지하여 일본뇌염에 대한 방어효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면역된 마우스 혈청은 Nakayama-NIH, SA14, P3 등 3종의 신경독성 일본뇌염 바이러스주에 대해서 각각 유사한 수준의 일본뇌염 바이러스 특이 항체가를 보여주어 다양한 일본뇌염 바이러스 주에 대한 방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우스를 이용한 뇌내 직접 공격 시험결과, CJ5003 후보 백신은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in vitro, in vivo 시험 결과는 베로 세포에서 생산된 CJ5003 후보 백신의 차세대 백신으로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DNA Microarry를 이용한 Deinococcus radiodurans의 구리이온 특이 반응 유전자 탐색 및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ernal Copper Responsive Gen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 조민호;임상용;정선욱;송두섭;최영지;김동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9-177
    • /
    • 2008
  • 대표적인 방사선저항성 미생물인 Deinococcus radiodurans의 구리이온($CuCl_2,250{\mu}M$)에 대한 발현체 분석을 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총 3,187개의 open reading frame중 70개의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증가(64개) 또는 감소(6개)하였다. 이들 중 흥미롭게도 철이온 흡수 관련 유전자들로 추정되는 두 개 operon ($DRB0014{\sim}DRB0017$$DRB0121{\sim}DRB0125$)의 발현이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두 operon의 첫 번째 유전자인 DRB0014와DRB0125의 발현을 실시간 정략 PC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구리 이온($CuCl_2,250{\mu}M$) 또는 철이온 킬레이트화합물(2,2'-dipyridyl, $ 250{\mu}M$)을 첨가하였을 경우 발현이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철이온($FeCl_3,250{\mu}M$) 또는 구리 이온 킬레이트화합물(bathocuproine disulphonate, $250{\mu}M$)이 존재할 때에는 발현이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D. radiodurans의 구리 대사는 철 흡수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DRB0014와DRB0125의 변이는D. radiodurans의 구리 저항성 및 방사선 저항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 유래 ${\beta}-Glucan$성 다당류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 이준우;백성진;방광웅;강신욱;강상모;김병용;하익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26-735
    • /
    • 2000
  •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에 대한 약리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arcoma 180 암세포 증식 저지율은 자실체 열수 총 분획(Fr. I)보다 비교적 고분자인 다당류 분획(Fr. II, Fr. III, Fr. IV)에서 $80.4{\sim}85.9%$로 높게 나타났다.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보체계 활성화는 $10.1{\sim}13.6%$, 대식세포의 NO 생성능은 자실체 및 균사체 모든 분획에서 생성되었으며, $TNF-{\alpha}$생성능은 NO 생성능이 높았던 분획들에서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효소적 및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유발에 대한 영향은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모든 분획에서 지질 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내었고, 유리기 제거능에 있어서는 농도의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PPH에 대한 Fr. III의 $SC_{50}$$32.0\;{\mu}g/mL$로 조사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목질진흙버섯 자실체와 배양 균사체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은 항암활성, 면역활성,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및 유리기 제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lftia acidovorans EK2에 의한 고농도 Trichloroethylene (TCE)의 생물학적 분해 특성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by Delftia acidovornas EK2)

  • 박우정;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3-1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질로써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TCE 분해 균주를 분리하고 고효율 TCE 분해 균주에 의한 고농도의 TCE 분해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TCE에 오염된 토양 및 폐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고 성장기질로써 벤젠(Benzene), 페놀(Phenol), 에틸벤젠(Ethylbenzene), 아닐린(Aniline), 큐멘(Cumene), 톨루엔(Toluene) 등을 사용하여 TCE에 내성을 가지는 179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들을 TCE 농도 30 mg/L, 성장기질 농도 0.2 g/L, $30^{\circ}C$, pH 7, 균 농도 1.0 g/L (w/v)의 호기적 조건으로 21일 동안 분해효율을 측정한 결과, 아닐린을 성장기질로 이용한 EK2 균주가 74.4%의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다. EK2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생화학적 특징 및 분자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Delftia acidovorans로 동정되었다. D. acidovorans EK2의 TCE 분해는 TCE 농도 10에서 200 mg/L까지 성장 및 분해할 수 있었으나 250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성장과 분해가 보이지 않았다. 저농도(1.0 mg/L) 분해 실험을 위하여 D. acidovorans EK2를 각 0.01 g/L, 0.03 g/L, 0.05 g/L로 적용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12일 동안 99.9%의 분해효율을 보였다. 고농도(200 mg/L)를 분해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균 농도 1.0 g/L, 아닐린 농도 0.5 g/L, pH 7, 온도 $30^{\circ}C$로 확인되었으며, 21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 시 71.0%의 가장 높은 TCE 분해효율을 보여주었고, 분해속도는 94.7 nmol/h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D. acidovorans EK2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TCE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