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transglutaminas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발 개선을 위한 Transglutaminase의 적용 (Application of Transglutaminase for Hair Revitalization)

  • 김윤석;박수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30
    • /
    • 2013
  • 단백질을 연결시키는 효소인 transglutaminase는 모발에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 이중에는 모발의 단단함을 증가시키는 작용도 포함된다. 여러 transglutaminase 효소 중 Streptomyces mobaraensis로부터 분리된 미생물 유래 효소를 손상된 모발에 사용한 후 인장강도를 평가한 결과 초기에 비해 15.64%까지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transglutaminas가 샴푸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과정에서의 모발 손상을 복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transglutaminase를 이용해 모발 표면의 특성을 개선 시킴으로써 모발의 윤기를 증가시키고 표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었다.

토양 방선균 Streptomyces platensis YK-2가 생산하는 Transglutaminase의 정제 및 효소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ansglutaminase from a Newly Isolated Streptomyces platensis YK-2)

  • 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01-806
    • /
    • 2009
  • 본 연구는 transglutaminase 생산능이 우수한 토양유래방선균 strain YK-2를 TGase 최적생산배지에서 $28^{\circ}C$, 5일간 배양하여 얻은 배양여액으로 본 효소의 정제 및 정제된 효소의 효소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본 효소의 정제는 50% methanol precipitation, DEAE-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의 정제 절차를 거쳐 56.5%의 수율로 정제되었고, 정제된 효소의 순도는 12.5% SDS-PAGE에서 단일 밴드를 나타내어, 서브유닛트의 분자량이 약 45,000 dalton으로 추정되는 호모형 효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TGase의 생화학적 제 특성을 검토한 결과, 등전점은 pH $6.0{\sim}7.0$ 부근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효소의 기질인 CBZ-L-Gln-Gly 농도에 대한 Km치는 18.5 mM으로 추산되었다. 또한 금속이온 및 저해제의 영향으로는 $Hg^{++}$에 의해서 본 효소의 활성이 강하게 저해되었으나, DTT 및 mercaptoethanol에 의해 각각 293% 및 219% 활성이 증가하였다.

Effects of Mungbean Flour Level in Combination with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ow-salt Pork Model Sausages

  • Lee, Hong Chul;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1-228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mungbean flour (MF) (0-2.4%)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odel sausages (PMS) in experiment 1 and also select the optimum level of MF to enhance the water retention and gelling properties of low-salt PMS (LSPMS) with or without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the addition of MF did not affect pH, chemical compositions (fat and moisture contents), color values, and functional properties (expressible moisture, EM (%) and cooking yield, CY (%)) of PMS. However, the addition of MF increased the chewiness of PMS and hardness if the mungbean flour at the level of more than 1.2% was incorporated. Si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treatment and MF level was not significant (p>0.05), data were pooled by different factors (MTGase treatment and MF level) in experiment 2. MF improved the water binding ability and textural springiness of LSPMS. On the other hand, MTGase treatment decreased the pH and cooking yield (%) of LSPMS, but increased most textural propertie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MF could enhance the water reten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PMS and LSPMS, regardless of MTGase, when it was added to over 1.2%. Based on these results, mungbean protein may interact with MTGase on the low-salt comminuted meat systems. Therefore, further study might be need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interaction between MTGase and functional components induced from MF.

Effect of Fish Sarcoplasmic Protein on Quality Attributes of No-fat Chicken Sausages Mediat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 Hemung, Bung-Orn;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25-231
    • /
    • 2015
  • Fish sarcoplasmic protein (SP) obtaining from lyophilization was evaluated its effect on the qualities of the no-fat chicken sausages in the presence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as compared to sodium tripolyphosphate (STPP). The cooking yields of all sausage samples were not different. Expressible moisture (EM) of sausage samples was reduced by adding fish SP, while the lowest EM values were observed in sausage samples containing STPP. The pH values of sausage samples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fish SP and STPP. Proxim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isture, fat, and protein contents of all samples were not different (p>0.05). Textural properties (TP), measured by texture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hardness of no-fat sausages increased upon adding fish SP. However, the highest TP values were found in sausage samples with STPP. The redness values were reduced in sausage samples with STPP, while other color values were not affected by STPP.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sausages with fish SP were accepted at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control. However, sausage samples with STPP showed highest TP and acceptability. Thus, partial substitution of STPP by SP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hosphate level in the chicken sausages.

Production of Microbial-Transglutaminase [MTG] from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 ;김인해;박창수;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22-327
    • /
    • 2007
  • Mineral salts in medium usually profoundly influence microorganism growth and protein synthesis. In order to produce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with a high yield from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we screened the minerals $CaCl_2,\;CoCl_2,\;FeSO_4,\;ZnSO_4,\;MnSO_4\;and\;CuSO_4$ for MTG ferment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ppropriate $FeSO_4$ concentrations could significantly promote cell growth and stimulate the production of MTG. With 15 mg/L of $FeSO_4$ added to medium, 58% improvements were noted in MTG productivity (2.24 U/mL). NaCl, $CaCl_2,\;and\;CoCl_2$ enhanced MTG productivity by less than 15%,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s 1 g/L, 2 g/L, and 30 mg/L respectively. Furthermore, it was determined that 7.5 mg/L of $ZnSO_4$ in medium could augment MTG productivity by 20% and induce the stationary phase for MTG production to a period 24 hr earlier. This basic and novel discovery should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a good complement to the previously defined culture media for MTG fermentation.

Microbial Transglutaminase Improves the Property of Meat Protein and Sausage Texture Manufactured with Low-quality Pork Loins

  • Katayama, K.;Chin, K.B.;Yoshihara, S.;Mugurum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102-108
    • /
    • 2006
  •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it was an effective binding agent for the processing of low-quality pork loins. MTGase especially promoted the coagulation of myosin heavy chain (MHC). However, the effect of MTGase on MHC from low-quality meat was less than that from the normal meat when the reaction time was not enough.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heat-induced gel made of myosin B from low-quality meat with MTGase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meat. Sausage made with low-quality meat with MTGase did not exhibit improved hardness, as compared to that made with normal mea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use of low-quality meat in the manufacture of sausage was feasible to get textural property equal to that of normal meat sausage, when a half or more of the raw material was normal meat and MTGase was used in the sausage.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의 생산을 위한 생물반응기 운전 조건 확립

  • 이화정;유재수;전계택;정용섭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39-242
    • /
    • 2000
  • 호기성 균주인 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에 의해 생산되는 Transglutaminase의 고수율을 위한 실험을 하였다. 라틴방격법에 의해 실험을 설계하여 최적 배지를 확정하였고, 호기성 균주인만큼 공기공급을 위한 통기 및 교반이 중요하게 작용됨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임펠러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향후 부피산소공기전달 속도를 vvm과 교반속도에 따라 측정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생산성에 미치는 온도 및 pH의 조건에 대해 실험한 결과 온도보다는 산성 및 중성에서의 pH가 효소생산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평균적으로 1.3 U/mL 활성의 효소생산이 가능했으며 동일조건의 발효조 배양시 0.7 U/mL로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 PDF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를 이용한 식품단백질의 유화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Emulsion Stability of Food Proteins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 이득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4-170
    • /
    • 2005
  • 미생물유래의 중합화효소(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ase)를 이용하면 식품 단백질의 기능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MTGase를 이용, 동물성 단백질인 ${\beta}$-casein 및 식물성 단백질인 11S globulin의 동종 혹은 이종간을 bio-hybrid시킴으로써 단백질의 기능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즉, SDS-PAGE에 의한 susceptibility 확인, particle size 분석 및 Reddy and Foster 방법에 의한 유화안정성(emulsion stability) 실험, 그리고 유화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bio-hybrid된 단백질이 어떤 형태로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유적(oil droplet)에 결합된 단백질을 고배율로 분석하였다. SDS-PAGE에 의해 동종 흑은 이종의 단백질간의 가교결합이 형성되었으며, 특히 이종간의 결합은 그 밴드가 약하게 형성되었으며 oligomer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화안정성은 동종간에서는 ${\beta}$-casein이 우수하였으며, glycinin은 안정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단백질 이종간의 안정성은 glycinin보다 더 우수하였다. 전자현미경 사진에서는 유적에 bio-hybrid된 단백질이 고르게 분포될수록 안정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Transglutaminase를 이용하여 제조된 쌀 혼합 전두부의 이화학적 및 물성 평가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Evaluation of Rice-Whole Soybean Curds Prepar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 진익훈;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38-746
    • /
    • 2011
  • Microbial transglutaminase(MTGase)를 이용하여 쌀 가수분해물과 초미세 생대두 분말을 혼합하여 전두부를 제조한 후 조직감, 동적점탄성, 단백질 결합패턴 및 미세구조를 평가하였다. 40%(w/v) 쌀 용액을 Termamyl 효소처리($85^{\circ}C$, 20분) 하였을 때 점조도 값 및 환원당 함량이 각각 $1.27\;Pa{\cdot}s^n$, 9.0%로 나타났다. MWSP 18~22% 농도에서 MTGase 효소로 응고시킨 전두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MWSP 22% 첨가구에서 전형적인 두부의 조직감을 얻었으며, 쌀 가수분해물 7.5% 첨가구의 경우 경도 639.6 dyne/$cm^2$, 탄성 0.96으로 나타났다. MTGase 5%의 첨가 조건에서 MWSP 18~22% 농도에 따라 동적점탄성을 측정한 결과 MWSP 22% 첨가 경우 반응 6분 이내 G'(5.1 Pa) 및 G''(9.0 Pa)값으로 높게 나타났다. MWSP 22% 첨가구에서 시간에 따른 SDS-PAGE 상에서 대부분의 콩 단백질은 30분 이내에 중합되어 고분자중합체를 형성하였으며, 쌀 가수분해물이 첨가된 경우에도 대부분의 콩 단백질들이 중합되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쌀이 첨가된 전두부의 미세구조는 균일한 입자로 채워진 네트워크 구조를 보였으나 냉장저장 2일 후에는 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더욱 거칠어진 표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