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ir qualit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Quality Properties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2. Processing Conditions for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 Cha Yong-Jun;Park Sung-Young;Jeong Eun-Jeong;Chung Yeon-Jung;Kim So-J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38-245
    • /
    • 2001
  • Optimal conditions for processing.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T2) were evaluated by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experiments and sensory evaluation, comparing with control (seasoning only, C) and treatment I $(0.05\%\;Rosemary\;instead\;of\;liquid\;smoke,\;Tl)$. Two hrs of seasoning time was set, and 23 hrs of drying time was determined in all samples. Finally, T2 product was made by soaking treatments (three times of 1 sec, 8 sec and 1 sec) in $5\%$ (v/v) liquid smoke (Scansmoke PB 2110) after 30 min, 4 hrs and 22 hrs of hot-air drying, respectively. The histamine contents in 3 seasoned-dried products were in a 15.33-26.99 mg/l00g range. The water activities of 3 seasoned-dried products were 0.719-0.735 range, and the pH of T2 was lower than the others. In the comparison of POV and TBA values among products, the TBA values and POV of Tl and T2 were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C, and also the viable cell counts of T2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In the color values,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found among products, and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od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T2 had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on the whole items.

  • PDF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spent coffee ground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utilization in sheep

  • Choi, Yongjun;Rim, Jong-su;Na, Youngjun;Lee, Sang R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363-368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spent coffee ground (FSCG)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utilization in sheep. Methods: Fermentation of spent coffee ground (SCG) was conducted using Lactobacillus plantrum. Fermentation was performed at moisture content of 70% and temperature of $39^{\circ}C$ with anaerobic air tension for 48 h. Four adult rams (initial body weight = $56.8{\pm}0.4kg$) were housed in a respiration-metabolism chamber and the treatments were: i) control (Basal diet; 0% SCG or FSCG), ii) 10% level of SCG, iii) 10% level of FSCG, and iv) 20% level of FSCG in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ach dietary experiment period lasted for 18-d with a 14-d of adaptation period and a 4-d of sample collection period. Results: In SCG fermentation experimental result, acid detergent insoluble nitrogen (ADIN) concentration of FSCG (64.5% of total N) was lower than that of non-fermented SCG (78.8% of total 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was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Although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of the control was greater than FSCG groups (p<0.05), the 10% FSCG group showed greater CP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than non-fermented 10% SCG group (p<0.05). Body weight gain and average daily gain were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SCG feeding level (p<0.05). When the feeding level of FSCG was increased, water intake was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an increasing FSCG level, dry matter intake did not differ among groups, although the gain to feed ratio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level of FSCG (p<0.10). Conclusion: Microbial fermentation of SCG can improve protein digestibility, thereby increasing CP digestibility and nitrogen utilization in sheep. Fermentation using microorganisms in feed ingredients with low digestibility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raw feed.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at Microbiological Community on Dry Aged Beef

  • Ryu, Sangdon;Park, Mi Ri;Maburutse, Brighton E.;Lee, Woong Ji;Park, Dong-Jun;Cho, Soohyun;Hwang, Inho;Oh, Sangnam;Kim, Yo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05-108
    • /
    • 2018
  • Beef was dry aged for 40-60 day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efrigerated room with a relative humidity of 75%-80% and air-flow. To date,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ry aged beef.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 of change in meat microorganisms on dry aged beef. Initially, the total bacteria and LA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50 days during all dry aging periods. There was an absence of representative foodborne pathogens as well as coliforms. Interestingly, fungi including yeast and mold that possess specific features were observed during the dry aging period. The 5.8S rRNA sequencing results showed that potentially harmful yeasts/molds (Candida sp., Cladosporium sp., Rhodotorula sp.) were present at the initial point of dry aging and they disappeared with increasing dry aging time. Interestingly, Penicillium camemberti and Debaryomyces hansenii used for cheese manufacturing were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the dry ag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in microorganisms exert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and safety of dry aged beef, and our study identified that fung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latability and flavor development of dry aged beef.

식품, 신선편이 농산물용 저장기간 연장 포장 소재 특성 및 평가 (Characterization of Shelf Life Extension Packaging Material for Food and Fresh Cut Agricultural Product: A Review)

  • 이진규;유지예;김미경;유영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9-125
    • /
    • 2016
  • 신선편이 농산물은 소비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하면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가공과정 중 절단, 박피 등의 물리적인 변화로 인하여 쉽게 품질이 변하거나 미생물 증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선편이 농산물의 저장성 및 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필름이나 용기 형태의 기능성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울러 저장기간 연장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장기간에 영향을 주는 항균, 원적외선, 통기성, 방담, 미약전류, 에틸렌가스 흡착 또는 분해, MA (Modified Atmosphere) 또는 CA (Controlled Atmosphere)와 같은 기체 조성 변화 등을 통해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는데, 한 가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신선편이 농산물, 식품 등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발표된 문헌자료를 토대로 저장기간 연장 포장법, 저장기간 연장 포장소재, 종합적인 평가 방법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음식물찌꺼기 소멸효율 재고를 위한 발효균 및 발효 공정 최적화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 of Microorganism for Food Wastes and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 김영권;홍명표;김명진;홍석일;박명석;김종석;장호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95-112
    • /
    • 1998
  • 186종의 후보미생물을 대상으로 우수발효(소멸)균 선발시험을 실시한 결과, Rhizopus sp., Galactomyecs sp., Pichia sp., Hyphopichia sp.로 구성되는 4종의 발효균을 선발하였다. 이들 발효균을 이용한 발효(소멸)공정 시험결과, 내용적 50L의 발효조에 대해서, BIO-CHIP Volume 25-30L, BIO CHIP입도 2.0-6.0mm, 송풍량 200-280L/min, 교반강도 24 rpm, 온도 $30-45^{\circ}C$가 최저 발효조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1일 1kg의 음식물을 30일간 투입하면서 소멸기를 가동한 결과, 93%의 소멸율을 나타내었다. 소멸기 배출물의 재활용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아율 시험을 실시한 결과, 배출물을 적절하게 희석하여 사용하면, 퇴비로서의 가치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혼성육(混成肉)을 원료(原料)로 한 중간수분식품(中間水分食品)의 시제(試製) (An Intermediate Moisture Food from a Composite Meat of Squid and Pork)

  • 조재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65-270
    • /
    • 1972
  • 혼성육(混成肉)을 원료(原料)로 한 IM식품(食品)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제조조건(製造條件)을 확립(確立)하고 제품(製品)의 효과 기호성(嗜好性) 및 저장성(貯藏性)을 검토하였다. 즉 마쇄(磨碎)한 오징어와 돈육(豚肉)의 혼성육(混成肉)(1 : 1)을 조미성형(調味成型)하여 간장에 20분간 끓이고, $80^{\circ}C$로 가온(加溫)한 glycerol에 20분 동안 담근다음, $60^{\circ}C$에서 70분간 열풍건조(熱風乾燥)함으로써 부드럽고 기호성이 좋은 제품(製品)을 얻을 수 있었다. 본(本) 시제품(試製品)을 polyethylene(0.05 mm). polypropylene(0.05 mm) 및 Al foil에 각각 포장한 후 $37^{\circ}C$, 포화습도(飽和濕度)의 incubator에 42일간 저장하는 동안에 총균수(總菌數)는 1 g당 230에서 각각 40, 20 및 10으로 감소하였고 같은 조건으로 6개월간 장기 저장한 시료도 마찬가지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내용물은 식용(食用)함에 있어서 새로 만든 제품에 비하여 손색이 없었다.

  • PDF

저온 플라즈마 처리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treated with cold plasma)

  • 김현주;이병원;백기호;조철훈;김재경;이진영;이유영;김민영;김미향;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60-563
    • /
    • 2020
  • 쌀국수의 유통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플라즈마는 컨테이너형 유전격벽 플라즈마로 방전 가스는 공기를 활용하여 0, 5, 10 및 20분 처리하였고 미생물 감균효과, 색도, 경도 및 지질산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쌀국수에 B. cereus 및 E. coli O157:H7을 접종한 후 20분간 플라즈마 처리 시 E. coli O157:H7은 2.75 log CFU/g 감소하였고,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색도 측정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 모두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지질산화가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공기로 방전된 저온 플라즈마 기술은 쌀국수의 품질안전성을 개선될 것이라고 판단되나 관능적 품질 특성 개선을 위한 적합 플라즈마 모델 선정, 포장방법 개선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기압 플라즈마가 선식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n the Qua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Sunsik)

  • 김현주;우관식;조철훈;이석기;박혜영;심은영;원용재;이상복;오세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5-379
    • /
    • 2016
  • 국내 시판 중인 선식의 유통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기반연구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한 선식의 품질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플라즈마는 컨테이너형 유전격벽 플라즈마로 방전 가스는 공기를 활용하여 0, 5, 10 및 20분 처리하였고 미생물 감균효과, 색도, pH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일반 호기성 미생물 분석 결과 20분 처리 시 약 1.70 log CFU/g 감소하였으며 B. cereus, B. subtilis 및 E. coli O157:H7을 이용한 접종 시험 결과 각각 2.20, 2.22 및 2.50 log CFU/g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명도 값은 증가하였으나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선식의 pH 측정 결과 처리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단백질 지질산화가 일어나 관능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공기로 방전된 대기압 플라즈마 기술은 선식의 품질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관능적 품질 특성 개선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상온 보관 주먹밥의 유통연장을 위한 마이크로파 살균기술 및 포장기술에 관한 연구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and Packaging Method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TE Rice Balls at Room Temperature)

  • 배영민;이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5-170
    • /
    • 2010
  • Although the demand of ready-to-eat (RTE) foods such as Kimbab is growing, large quantities and wide distribution of these foods is difficult due to their short shelf-life, exposed packaging with hygienic risk, and decreased quality at refrigerator temperatur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preservation and storage methods to extend the shelf-life of RTE rice products using microwave and packaging methods such as vacuum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es. RTE rice ball samples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or Bacillus cereus were microwave treated for 0, 30, 60, 90 and 120 seconds. Populations of pathogens on the rice ba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an increase in treatment time. There were more than 5 log reductions of all pathogens when the samples were microwave treated for 60 seconds. RTE rice balls inoculated with two pathogens (S. aureus and B. cereus) were packaged via air, vacuum, $N_2$ gas, and $CO_2$ gas following microwave treatment for 90 seconds. The initial S. aureus and B. cereus concentration before treatment was 7.60 and 6.59 log CFU/g, and these levels were reduced by 3.37 and 2.18 log CFU/g after microwave treatment. The levels of pathoge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time at room temperature. $CO_2$ packaging was the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microbial growth among the tested packaging methods. The levels of total mesophilic count, S. aureus and B. cereus after 5 days of storage were 7.7, 8.8 and 9.3 log CFU/g in air packaged samples and 2.4, 3.2 and 8.3 log CFU/g in $CO_2$ gas packaged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after 3 days of storage higher levels of B. cereus were observed in all samples, indicating that the samples were not safe to be consumed. Base on these results, microwave treatment and MAP packaging methods using $CO_2$ gas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method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RTE foods.

전처리 근채류의 저장과정중의 품질평가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ld Root Vegetables during Storage)

  • 곽수진;박나윤;김기창;김행란;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58-1167
    • /
    • 2012
  • 현재 전처리 농산물 중 소비비율이 높은 세척 근채류(연근, 우엉, 도라지)의 침지액의 효과 및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근채류의 품질변화는 근채류의 종류와 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pH, 색도, 경도 등의 변화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24^{\circ}C$에는 전처리 근채류의 품질변화가 빨라 $10^{\circ}C$에 저장한 근채류보다 품질유지기간이 평균 3~4일 정도 단축되었다. 침지액에 따른 미생물학적 품질변화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ASC 처리에 의하여 근채류의 초기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가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미생물 억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연근 도라지에 AA, CA, ASC 처리한 처리군은 초기 PPO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지만, 우엉의 경우 ASC 처리에 의한 갈변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AA 처리한 도라지의 경우 TW 처리군에 비하여 오히려 경도가 빠르게 감소하여 품목에 따른 침지 방법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세척 근채류는 품목에 따라 저장온도와 침지방법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저장온도 및 세척액 사용과 포장방법을 유지한다면 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