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dissec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Preoperative BRAF Mutation is Predictive of Occult Contralateral Carcinoma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 Zhou, Yi-Li;Zhang, Wei;Gao, Er-Li;Dai, Xuan-Xuan;Yang, Han;Zhang, Xiao-Hua;Wang, Ou-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267-1272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optimal resection extent for clinically unilateral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PTMC) remains controversial. The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ccult contralateral carcinoma, and put emphasis on the predictive value of preoperative BRAF mutation. Materials and Methods: 100 clinically unilateral PTMC patients all newly diagnosed, previously untreated were analyzed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We assessed the T1799A BRAF mutation status in FNAB specimens obtained from all PTMC patients before undergoing total thyroidectomy (TT) and central lymph node dissection (CLND) for PTMC.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used to reveal the incidence of contralateral occult cancer, difference of risk factors and predictive value, with respect to the following variables: preoperative BRAF mutation status, age, gender, tumor size, multifocality of primary tumor, capsular invasion, presence of Hashimoto thyroiditis and central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20 of 100 patients (20%) had occult contralateral lobe carcinoma. On multi-variate analysis, preoperative BRAF mutation (p = 0.030, OR = 3.439) and multifocality of the primary tumor (p = 0.004, OR = 9.570)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occult contralateral PTMC presen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ce of occult contralateral carcinomas and age, gender, tumor size, capsular invasion, Hashimoto thyroiditis and central lymph node metastasis. Conclusions: Total thyroidectomy, including the contralateral lob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treatment of unilateral PTMC if preoperative BRAF mutation is positive and/or if the observed lesion presents as a multifocal tumor in the unilateral lobe.

Comparison of Lipid Profiles in Head and Brain Samples of Drosophila Melanogaster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 Jang, Hyun Jun;Park, Jeong Hyang;Lee, Ga Seul;Lee, Sung Bae;Moon, Jeong Hee;Choi, Joon Sig;Lee, Tae Geol;Yoon, Sohe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0권1호
    • /
    • pp.11-17
    • /
    • 2019
  • Drosophila melanogaster (fruits fly) is a representative model system widely used in biological studies because its brain function and basic cellular processes are similar to human beings. The whole head of the fly is often used to obtain the key function in brain-related diseases like degenerative brain diseases; however the biomolecular distribution of the head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a brain. Herein, lipid profiles of the head and dissected brain samples of Drosophila were studie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 According to the sample types, the detection of phospholipid ions was suppressed by triacylglycerol (TAG), or the specific phospholipid signals that are absent in the mass spectrum were measured. The lipid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in the wild-type and the microRNA-14 deficiency model ($miR-14{\Delta}^1$) with abnormal lipid metabolism. A few phospholipids were also profiled by comparison of the head and the brain in two fly model systems. The mass spectra showed that the phospholipid distributions in the $miR-14{\Delta}^1$ model and the wild-type were different,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some phospholipids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inositol (PI), and phosphatidylserine (PS)) in $miR-14{\Delta}^1$. The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brain-related lipids should be profiled using fly samples after dissection for more accurate analysis.

단일 도파민뉴런을 이용한 새로운 유전자발현 검출기법 (The Novel Approach of Gene Detection by Single-neuronal Cell Manipulation)

  • 정상민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23-327
    • /
    • 2005
  • 조직을 이용한 역전사 (RT)-PCR법을 이용하면 원하는 특정유전자의 발현을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조직의 RNA를 이용하므로 세포단위의 정확한 유전자 발현을 알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그 기능과 성질이 다른 세포가 무수하게 많이 혼재하는 두뇌와 같은 조직은 신경계의 각종 뉴런(신경세포), 글리어 (glial cell) 등이 서로 얽혀 있다. 대표적인 신경세포의 degeneration 질병으로는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PD)이 있다. 파킨슨병은 사람의 신경세포 관련 질병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질병의 하나이다. PD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도파민 생성 신경세포의 퇴행 혹은 사멸에 기인하여 도파민 (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감소하는 것이 그 원인이다. 도파민과 같은 카테콜아민의 생합성에 관련된 효소는 타이로신 하이드록실레이스 (TH), 도파 데카르복실레이스 (DDC)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런 효소들의 생화학적 연구는 많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흑질 신경세포에서의 이들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PD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밝히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섹터 (laser micro-dissector)에 의한 단일 신경세포의 분리에 착수하였다. 정해진 방법에 따라 정상 대조구 (비PD)와 PD 환자에서 각각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성공적으로 분리한 흑질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을 행하였다. 그 결과, 단 한 개의 신경세포에서도 여러 개의 세포를 사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결과를 얻는 데 성공하였다. PD환자의 뇌에서 분리한 10개의 독립적인 세포의 예에서는 각 세포간의 발현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TH 유전자의 발현은 상당히 높은 확률로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단일 신경세포에서의 mRNA양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본 본문의 RT-PCR법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신개발 레진 계열 봉함제의 생체친화성에 관한 연구 (In Vivo Study on the Biocompatibility of New Resin-based Root Canal Sealers)

  • 김용범;백승호;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122-134
    • /
    • 2002
  • 목적 : 근관 치료의 최종 목적인 근관계의 영구적인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근관 봉함제는 많은 연구와 개선을 거쳐서 현재는 다양한 성분의 봉함제가 시판되고 있다. 이중에서 레진이 주성분인 봉함제는 조작이 편리하고 흐름성이 좋으며 근관의 벽에 높은 밀폐성을 보이고 충분한 작업시간과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높은 초기 생체 독성을 나타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 중 레진이 주성분인 두 종류의 봉함제(AH 26, AH plus)와 산화아연이 주성분인 봉함제(Pulp Canal Sealer EWT)와 국내에서 새로이 개발한 제품으로서 레진이 주성분인 두 종류의 봉함제(Adseal-1,2)를 생체조직에 매식하여 국소적인 반응을 비교하여 생체친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수종 봉함제의 생체 친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64마리의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였다. 봉함제의 피하조직 매식을 위해 길이와 직경이 각각 5와 1.5mm인 폴리에틸렌 테프론 관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 한 후 고압증기멸균을 시행하였다. Rat에 대하여 케타민으로 복강내 마취를 시행한 후 배부를 면도하고 iodine으로 소독한 다음 네 곳에 절개를 시행하였으며 blunt dissection을 통해 깊이 10mm이상의 피하조직 pocket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봉함제를 제조사의 지시 에 따라 혼합 후 즉시 멸균된 테프론 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담은 다음에 봉함제가 흐르지 않게 유의하며 pocket내로 삽입하였으며 이때 16개의 관을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해 봉함제를 넣지 않은 상태로 삽입하였다. 이 후 절개 부위를 surgical gut suture로 봉합하였으며 1주일 후에 발사하였다. Rat을 1, 2, 4, 12주 후에 각 군 당 세 마리 씩 에테르 흡입을 통해 희생하였으며 이 때 한 마리씩의 대조군도 포함시켰다. 이 후 매식된 관을 주위 조직과 함께 제거하고 포르말린에서 48시간 고정시킨 후 파라핀에 포매한 다음에 micro-tome을 사용하여 6$\mu\textrm{m}$로 serial section을 시행하였다. 정중선 부위의 시편에 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시행한 후 Olsson, Orstavik 그리고 Mjor 등의 방법에 따라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후 slight(1), moderate(2), severe inflammation(3)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Jandel사의 Sigmastat을 이용하여 Kruskal Wallis Test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과 : (Table omitted) 결론 : 1)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성 있게 염증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p<0.05). 2) Pulp Canal Sealer는 1주, 2주, 1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다. 3) AH 26과 AH Plus에서는 1주, 2주에서 강한 염증반응을 보였으나 12주에서는 염증반응이 감소하였다. 4) 새로 개발된 봉함제 Adseal-1,2는 1주, 2주에서는 가장 약한 염증반응을 보이나 4주, 12주 후에는 AH Plus와 비슷한 수준의 염증 반응을 보였다. 5) Pulp Canal Sealer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인정할 만한 생체친화성을 보였다. 6) Adseal-2가 Adseal-1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염증반응을 보였다. 7) 각 군간 결과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한우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에서 전기융합 방법이 융합율 및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ic fusion Methods on Cell Fusion Rate and Embryo Development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Korean Native Cattle(KNC))

  • 김은국;김정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1-178
    • /
    • 2003
  • 복제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수핵란 내 체세포 주입 후 전기적인 융합은 필수과정인데,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많은 수의 체세포 주입 난자가 융합에 실패하거나 lysis가 일어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한우 체세포를 이용하여 핵이식을 실시한 후 수핵세포질과 응합을 시도할 때 전기융합 방법에 따른 융합율과 배발달율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한우 귀 세포조직을 채취하여 0.05% trypsin과 EDTA가 첨가된 D-PBS로 세포를 분리한 후 DMEM 배양액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핵이식을 위하여 체외성숙시킨 난자를 탈핵용 micro pipette을 이용하여 투명대를 절개하고 수핵 난자의 극체 와 핵을 제거한 후 공여세포를 주입하였으며, 핵이식 수정란은 직접, 간접적인 전기적 자극으로 융합을 실시한 후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활성화된 수정란은 38.5$^{\circ}C$, 90% $N_2$, 5% $CO_2$로 조정된 배양기에서 처음 3일은 0.3% BSA가 첨가된 CR1-aa 배양액에서, 배양 4일째부터는 10% FBS가 첨가된 CR1-aa 배양액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자극 융합방법에 따른 수핵난자의 융합율과 lysis율은 electric chamber를 이용하여 간접융합을 실시하였을 경우 51.6%와 10.7%를 보였고, needle을 이용하여 직접 융합을 실시하였을 경우 68.9%의 융합율과 11.5%의 lysis율을 보임으로써 needle을 이용한 직접융합 방법이 유의적으로 높은 융합율을 보였다(P<0.05). 융합 후 체외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난할율에 있어서 needle을 이용했을 시 80.3%로 chamber를 이용했을 시 73.2%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난할율을 보였다. 초기배 발달단계인 2∼4세포기의 발달율 역시 needle을 사용한 구가 61.1%로 chamber를 사용한 구 54.1%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상실배 단계는 chamber를 사용한 구가 6.7%로 needle을 사용한 구 6.2%보다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이식 가능한 단계인 배반포배 발달율에 있어서는 needle을 사용하여 융합을 시도한 구가 26.3%로 chamber를 사용한 구 18.4%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P<0.05). electric chamber를 이용하여 전기융합을 시도시전류가 흐르는 wire와 주입된 체세포가 직각을 이루도록 정렬을 시키느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입한 체세포가 세포질과 떨어진 난자는 전기자극을 주어도 융합이 일어날 수 없으며, 높은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융합된 복제란의 lysis가 많이 발생하는게 가장 큰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미세조작기와 needle 방법을 이용하면 낮은 전압을 이용하여 융합을 시도하기 때문에 복제란의 lysis를 줄일 수 있고, 전극과 체세포 주입란을 정렬시키는 과정이 생략되어 시간이 절약되며, 결정적으로 주입된 체세포가 세포질과 떨어져 있더라도 미세조작기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융합율과 배반포배 발달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needle을 이용한 직접적인 전기융합 방법이 체세포 복제수정란 생산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