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log Servi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마이크로 블로그와 웹블로그 서비스의 재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Reuse Intention of the Micro-Blog and Web-Blog Service)

  • 김효정;유상진;최은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4호
    • /
    • pp.145-162
    • /
    • 2011
  • Recently Micro-blog service is used quickly in our life with dissemination of Smart-phone. This study performed based on a view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user's intention to reuse Web-blogs & Micro-blogs. This study also based on the existing motive theory for using which considers five factors-information, entertainment, interaction, personalization, and convenience. The AMOS structure equation used for the analysis of users'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Micro-blogs are influenced by entertainment, personalization, and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Web-blogs are influenced by entertainment, and personalization.

기업 마이크로블로그 이용 동기 및 만족의 한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s of Enterprise Micro-blog between Korea and China)

  • 전병호;김정;강병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7-188
    • /
    • 2013
  • As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increases, many organizations begin to adopt social media rapidly to diversify communication channels with customers. Specifically, micro-blog, which supports instant and two-way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and between organizations and users, has been adopted by many organizations as an efficient way not only to identify new customers but also to retain existing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enterprise twitter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comparing with Korea and China.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information seeking, pleasure/entertainment,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incentives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s of enterprise Micro-blog.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icro-blog as a marketing tool.

Differentiated impacts of SNS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 Hwang, Dukyun;Paek, Mi 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S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impact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At least in Korea, SN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ty, blog, micro-blog, profile-based service and instant message service), and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s specified by three types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civic engagement). Using Nielsen KoreanClick's web-based survey data,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NS which are more open and focused on information sharing contribute more to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소셜 러닝 체제 연구 (A research for Social Learning method of using Social Media)

  • 장일수;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33-240
    • /
    • 2011
  •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소비와 생산의 일반적인 흐름이 동작하지 않으며, 양방향성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사용자들이 만들어 나간다. 이런 소셜 미디어에는 블로그(Blog), 소셜 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위키(Wiki), 손수제작물(UCC), 마이크로 블로그(Micro Blog) 5가지가 있다. 소셜 러닝은 넓게는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서로 협업과 집단지성을 나누며 스스로 학습하는 것으로 좁게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와 Social Learning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 PDF

국내 트위터 유저 분석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Research for Korean Twitter User Analysis Focusing on Extreme Heavy User's Twitter Log)

  • 정혜란;지숙영;이중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7-43
    • /
    • 2010
  • 트위터는 2006년 10월에 출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방문자 수 등의 수치적인 성장과 함께 마이크로 블로깅(micro blogging)이라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의 양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me2day 등 '토종' 서비스가 등장했을 뿐 아니라,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접근성이 마이크로 블로그의 확산을 자극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마이크로 블로그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예비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내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트위터 사용자 로그를 수집, 분석했다. 특히, 트위터라는 '외산' 서비스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단적으로 활발하게 이용하는 "익스트림 헤비 유저"에 주목하여, 이들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어떤 방식으로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는지 검토했다. 먼저,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을 수집하여 팔로우와 메시지 작성 활동의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표본 가운데에는 총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가 있었고, 이들의 2010년 1월 중 일주일치의 실제 트위터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에 접근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과 유사한 패턴으로 이용하되, 생활 속에서 "촘촘한(micro)" 시간 간격으로 꾸준히 많은 양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중요한 정보, 특별한 이벤트나 감정을 다룰 뿐 아니라, 습관적으로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이들은 마치 SMS나 인터넷 메신저처럼 일종의 '대화의 도구'로써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수집기간 중 이들이 작성한 트윗의 68%가 대화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머지 중 24%는 리트윗으로, 가상적으로(virtually) 연결된 '사람' 및 '관계'가 발화의 지배적인 동인(trigger)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에서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플로우와 정체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flow and Identity Perspectives Toward User behaviors in Micro blog Services)

  • 신호경;하나연;이기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4호
    • /
    • pp.59-77
    • /
    • 2009
  • Microblog services are such new communication channels with some considerable potential to improve information sharing. The idea of sharing short messages using multiple access points seems to be appealing to people worldwide. Through the lens of flow and social identity, we explored factors that influenc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in microblog services. With an empirical study, we examined enjoyment and concentration(flow) and self-presentation(social identity) in microblog services like twitter can contribute to the user behaviors. Our aim was to gain insight into ways of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ing voluntary sharing of informatio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enjoyment, concentration, and selfpresentation were crucial determinants of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in microblog servic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seek to understand why microblog service users share their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microblog services.

  • PDF

트위터의 정보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witter's Informations Focus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김이환;판류;이상철;서영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9-65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follow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witter based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n particular, central route(information itself) and peripheral route(twitterian's trustworthiness) are tested to reveal which has a more influential role in e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power-twitter. Furthermore, this study tests the relationship of users' attitude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rgument quality, accuracy(central route), source expertise and source trustworthiness (peripheral route) have an influence on attitude. However, trustworthy on central route is not significant. Argument quality, trustworthy, accuracy(central route) and source expertise(peripheral route) have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But source trustworthiness on peripheral is not significant. Attitude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and perceived usefulness both have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In conclusion, central route is more influential than peripheral route in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rguments, which in turn leads to the perception of twitter's usefulness, and in the end brings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witter.

트윗 데이터를 활용한 IT 트렌드 분석 (An Analysis of IT Trends Using Tweet Data)

  • 이진백;이충권;차경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3-159
    • /
    • 2015
  • 불확실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장기적 전략수립을 위해 기업에게 있어서 IT 트렌드에 대한 예측은 오랫동안 중요한 주제였다. IT 트렌드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인식을 하고 예산을 배정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의 추세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마다 유수의 컨설팅업체들과 조사기관에서 차년도 IT 트렌드에 대해서 발표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예측이 실제로 차년도 비즈니스 현실세계에서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8개월동안(2013년 5월1일부터 2013년12월31까지)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2012년 말에 발표한 IT 트렌드 토픽이 언급된 21,589개의 트윗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2013년에 나라장터에 올라온 프로젝트들이 IT트렌드 토픽과 관련이 있는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HTML5, 스마트홈, 테블릿PC, UI/UX와 같은 IT토픽은 시간이 지날수록 매우 빈번하게 언급되어졌으며, 이 같은 토픽들은 2013년 나라장터 공고 프로젝트 데이터와도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년도(2012년)에 예측한 트렌드들이 차년도(2013년)에 실제로 트위터와 한국정부의 공공조달사업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신 빅데이터툴을 사용하여, 유수기관의 IT트렌드 예측이 실제로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에서 생성되는 트윗데이터에서 얼마나 언급되어 나타나는지 추적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고, 이를 통해 트위터가 사회적 트랜드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추적하기에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고자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