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dust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유리용해로 가스처리 건식 Bag Filter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ry Bag Filter Treatment System Regarding harmful gas of Glass Recuperator)

  • 이성진;서만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3호
    • /
    • pp.9-2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ystem that processes harmful gases and dust, which being generated in the production of micro-inorganic fabric. This can be obtained by melt spinning raw materials such as agalmatolite, fluorspar, limestone, silica under high temperature at $1500-1600^{\circ}C$ in a glass recuperator using a dry method by Cyclone Reactor or Envelope Type (ET) type Bag Filter. If the number of the members of Korea Glass Industry Association reaches up to 45, the damage of the harmful gas being generated in recuperator should not be small. In addition, research of existing facilities showed the most of harmful gas treatment facilities which adopt wet treatment or semi-dry treatment process. This was caused the problems for wastewater and the second pollutive materials. Moreover, in the dust collecting facility behind recuperator, it is also problematic that electric dust collector requires enormous initial investment. We have researched various methods to show both economic and efficient new processes for the preventive facilities of recuperator.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F and SOx were 99% and 87%, respectively. Although it was insignificant reaction, a pretty much interesting result that NOx showed an absorption reaction with $Ca(OH)_2$(removal efficiency was more than 25%) was obtained.

미세먼지 예측 성능 개선을 위한 CNN-LSTM 결합 방법 (CNN-LSTM Combination Method for Improving Particular Matter Contamination (PM2.5) Prediction Accuracy)

  • 황철현;신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7-64
    • /
    • 2020
  • 최근 IoT 센서의 확산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미세먼지 오염도에 대한 시계열 예측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오염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급격히 변하는 특성(Extreme)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시계열 예측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정확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LSTM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오염도를 예측할 때 CNN을 통한 환경상황을 분류한 결과를 반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LSTM과 CNN이 독립적이지만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되기 때문에, 응용 LSTM보다 이해하기 쉽다. Beijing PM2.5 데이터를 활용한 제안 방법의 검증 실험에서 예측 정확도와 변화 시기에 대한 예측력이 다양한 실험 case에서 일관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초고속 용액 원심방사를 이용한 폴리비닐알코올/폴리프로필렌 나노필터 제조 (Preparation of Poly(vinyl alcohol)/polypropylene Nano-filter by High Speed Centrifugal Solution Spinning)

  • 양성백;이정언;박재민;정재훈;김태영;김기영;이상준;염정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0-26
    • /
    • 2022
  • Centrifugal spinning is an emerging technique for fabricating micro-to-nano-fibers in recent years. To obtain fibers with the desired size and morphology,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nd optimize the parameters used in centrifugal spinning. In this study, it was controlled by changing the solution's concentration (7.5, 10, and 12.5 wt.%) and disk's rotational velocity (6,000, 8,000, and 10,000 rpm) to prepare centrifugal spun nano-filter. The morphological property, air permeability,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VA/PP bi-layer nanoweb prepared by centrifugal spun PVA on the PP micron nonwoven substrate are studied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 air permeability tester, and a filter tester equipment, an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it is suitable as a nano-filter when the concentration of PVA solution is 10 wt.% and the rotational velocity of the disk is 8,000 rpm. The resultant reduced diameter and uniform fibers also proved that an excellent dust collection efficiency filter could be made.

가시광통신 기반 광역 실내 초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Wide Range Indoor Fine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ystem)

  • 세잔 모하마드 아브라르 샤킬;안진영;한대현;정완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6-23
    • /
    • 2019
  • PM 2.5로 불리는 초미세먼지는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2.5 ㎛ 이하 직경의 입자크기를 갖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말하며, 미세먼지 집중도는 공기 질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90% 이상을 실내에서 거주하며 실내에 대한 공식적인 먼지 집중도 자료는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는 실내의 관점에서 공기 질 측정에 초점을 두었다. 실내 먼지데이터 모니터링은 병원과 같은 환경에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실, 시멘트 공장, 컴퓨터 서버 룸, 석유화학 저장고 등의 장소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파로부터 자유로운 실내 먼지 모니터링을 위해 맨체스터 코딩기법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제안한다. 넓은 범위의 먼지 집중도를 포함한 중요한 실내 환경정보가 가시광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강력한 주변광 및 저주파 잡음 제거를 위해 평균전압트레킹 기법을 사용한다. 입력광은 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되고, 동시에 수신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신호처리 한다.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실내 공기 질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공기 질 정보에 따라 미리 적합한 대처를 할 수 있다.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Temperature and Fine Dust in the Roadside Tree Planting Scenario)

  • 엄정희;민진규;박주현;손정민;서홍덕;오정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8-81
    • /
    • 2023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내 폭염 및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가로수의 간격과 배열에 기반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저감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로수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미기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 5.0.2v 모델을 사용하였다. 가로수 간격에 따른 기온 분석 결과, 가로수의 간격이 좁아져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낮 시간대의 기온이 낮아졌으며, 오전 및 저녁 시간대에는 가로수 간격에 상관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가로수 배열에 따른 기온은 배열이 증가하여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양의 수목을 식재하고 배열의 간격을 넓힌 시나리오에서 기온 저감폭이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수목의 양뿐만 아니라 수관투영면적 역시 기온 저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로수 배열에 있어서 미세먼지 농도는 간격에 따른 결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주풍향과 수목 식재 방향의 관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가로녹지에 의한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로수 조성·관리 기본 계획,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효율적인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광미를 시멘트 혼화재료로 이용한 경화체의 미세구조분석 (Analiysis of Micro-structure of Cement Mortar Using Waste Fine Tailing with Admixture)

  • 유승완;안양진;문경주;박원춘;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743-747
    • /
    • 2005
  • In South Korea, about 900 metal mines have been abandoned, and about 88 million-t metal mine wastes have been discarded in recent years. The treatment of the tailings which are the main wastes in the abandoned metal mines becomes a social problem because the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cidic waste water generation,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dust generation. Since almost whole quantities of the tailings have disposed by landfill now,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recycling methods for the tailings are strongly requ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fine tailings obtained by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among the tailings can be utilized as admixture for 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cro-structure of cement mortar admixed with fine tailing. Various admixtures were made of Fine tailings and 2 Types of OPC, fly-ash and blast furnace slag. The hydration reactivity of cement mortar with FT was examined by Porosity, XRD and SEM morphology analysis. The anolytical result about hardened hydrates shows that waste fine tailing help hydrates none densified due to it,s filling-space, These densified effect is concluded with improving the resistance to attack of cement mortar including waste fine tailing.

  • PDF

CKD 치환율 및 증점안정화제 혼입율 변화에 따른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ith Variances in Incorporating Ratio of CKD and Adding Ratio of Stability Agent)

  • 신현섭;유승엽;정광복;배장춘;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논문집
    • /
    • pp.67-70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light weight foamed concrete designed with various incorporating ratios of CKD and adding ratios of PS. Test showed that increase of CKD and PS decreased fluidity of fresh concrete, which need more addition of superplasticizer to secure proper fluidity. As for the sinking depth of specimens, using more CKD or PS decreased the value, due to the improvement of viscosity by micro particles of CKD and reduction of air loss by PS. Those methods are very effective to solve the sinking problem of light weight foamed concrete, which has been highly concerned. For the harden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exhibited that using around 10% of CKD or 0.02% of PS increased the strength value, but decreased when incorporated or added more amounts of that, due to reduction of the sinking depth, caused by filling effect of the micro particle and improvement of the viscosity.

  • PDF

이미지 정합을 이용한 COG 불량 검출 (The Faulty Detection of COG Using Image Registration)

  • 주기세;정종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8-314
    • /
    • 2006
  • 수 마이크로 단위로 계측되는 반도체 COG의 검사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라인스캔 카메라가 이용된다. 여러 가지 불량 요인 중 이물질 검출은 COG 패턴이 미세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불량 자동 검사 단계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매칭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2단계 영역분할 템플릿 매칭 방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수 마이크로 단위의 이물짙 검출을 위하여 그라디언트 마스크와 AND 연산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2단계 템플릿 매칭을 사용한 방법은 기존의 상관 계수 이용법 에 비해 0.3-0.4초 매칭 속도를 향상시켰다. 그리고 제안된 마스크 적용 이물질 검출방법은 기존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 불량 검출률을 $5-8\%$ 향상시켰다.

다구찌 방법을 이용한 석재표면처리장치의 최적표면가공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The Optimal Parameter Design of the stone surface equipment Using the Taguchi Method)

  • 김득주;서장훈;박명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1-262
    • /
    • 2004
  • There is boner process of stone manufacturing to become quality down of stone to consolidated micro crack appearance of stone surface and biotite by fire that is to be route process in stone surface by flame of LPG. And then, it is develop that stone surface process equipment by automation for the work method of boner process can be substitute work method by shotball blasting. To developement of equipment, There is to be down noise and dust. Acording to remove calamity growth hazardous substance in the work environment, there is to solve workplace avoidance factor. We have taken Taguchi's parameter design approch, specifically orthogonal array, and determined the optimal levels of stone surface through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IN ratio.

실내 준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 측정법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Measurement Method for SVOCs Emission Rates)

  • 서장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75-382
    • /
    • 2011
  • Semi volatile organic compounds (SVOCs) are used as plasticizers in building materials, interior materials, furniture, consumer electronics. etc. In the home, these SVOCs mix together with house dust. There is thus concern over the health effects of SVOCS in the home, there is a risk that they ini1uence childhood asthma and allergies. It is difficult to measure SVOCs emission rates from building materials or household appliances utilizing the usual test chamber methods, because the boiling points of SVOCs are higher and they are apt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test chamber used. In this study, we introduce FLEC chamber method, passive sampler method and micro chamber method, which are used in Germany and Japan in order to measure SVOCs emission rates. Characteristic, merits and demerits of test methods are also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