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Pattern Form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인쇄전자 기술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Organic Solar Cell Technology using Printed Electronics)

  • 김정수;유종수;윤성만;조정대;김동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3.1-113.1
    • /
    • 2011
  • PEMS (printed electro-mechanical system) is fabricated by means of various printing technologies. Passive and active compo-nents in 2D or 3D such as conducting lines, resistors, capacitors, inductors and TFT(Thin Film Transistor), which are printed withfunctional materials, can be classified in this category. And the issue of PEMS is applied to a R2R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many electro-devices, the vacuum process is used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the vacuum process has a problem,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continuous process such as a R2R(roll to roll) printing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D (electro static deposition) printing process has been used to apply an organic solar cell of thin film forming. ESD is a method of liquid atomization by electrical forces, an electrostatic atomizer sprays micro-drops from the solution injected into the capillary with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by electric potential of about several tens kV. ESD method is usable in the thin film coating process of organic materials and continuous process as a R2R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we experiment the thin films forming of PEDOT:PSS layer and active layer which consist of the P3HT:PCBM. The organic solar cell based on a P3HT/PCBM active layer and a PEDOT:PSS electron blocking layer prepared from ESD method shows solar-to-electrical conversion efficiency of 1.42% at AM 1.5G 1sun light illumination, while 1.86% efficiency is observed when the ESD deposition of P3HT/PCBM is performed on a spin-coated PEDOT:PSS layer.

  • PDF

박형 도광판의 음각, 양각 마이크로 패턴 성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ate cutting of light guiding plate for mobile using quenching element)

  • 황철진;김종선;민인기;김종덕;윤경환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2권5호
    • /
    • pp.1-4
    • /
    • 2008
  • LCD-BLU (Liquid Crystal Display - Back Light Unit) is one of kernel parts of LCD unit and it consists of several optical sheets(such as prism, diffuser and protector sheets), LCP (Light Guide Plate), light source (CCFL or LED) and mold frame. The LGP of LCD-BLU is usually manufactured by forming numerous dots with $50-200{\mu}m$ in diameter on it by erosion method. But the surface of the erosion dots of LGP is very rou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osion process during the mold fabrication, so that its light loss is high along with the dispersion of light into the surface.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in raising the luminance of LCD-BLU. Especially, the negative and positive micro-lens pattern fabricated by modified LiGA with thermal reflow process was applied to the optical design of LGP.

  • PDF

초음파 융합진동을 이용한 미세패턴성형 기술 연구 (Fabrication of RFID TAG Micro Pattern Using Ultrasonic Convergency Vibration)

  • 이봉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5-1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세패턴 성형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초음파 미세패턴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RFID TAG 안테나 형상의 미세패턴 성형기술을 개발하였다. 미세패턴 제조시스템에 종진동 모드의 초음파 공구 혼을 설치하여 절연시트 표면에 RFID TAG 안테나 형상의 미세패턴 안테나 형상을 초음파 압입 성형공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초음파 성형기술은 60kHz 공구 혼을 공진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제작하였고, 미세패턴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200㎛ 이하의 절연 시트지에 두께가 25㎛의 코일 와이어를 초음파 압입 성형을 할 수 있다. 초음파 압입 성형 시 코일 와이어의 단선, 박리 및 꼬임 현상 없이 최소선폭 150㎛인 안테나 형상을 성형할 수 있었다.

연속마이크로렌즈 200μm 적용 7인치 LCD-BLU 금형개발 (A Study on the Fabrication Method of Mold for 7 inch LCD-BLU by continuous microlens 200μm)

  • 김종선;고영배;민인기;유재원;허영무;윤경환;황철진
    • 소성∙가공
    • /
    • 제16권1호
    • /
    • pp.42-47
    • /
    • 2007
  • LCD-BLU is one of kernel parts of LCD and it consists of several optical sheets: LGP, light source and mold frame. The LGP of LCD-BLU is usually manufactured by etching process and forming numerous dots with $50\sim300{\mu}m$ diameter on the surface. But the surface of the etched dots of LGP is very rou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ching process during the mold fabrication, so that its light loss is high along with the dispersion of light into the surface.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in raising the luminance of LCD-BLU.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current etched dot patterned LGP, optical pattern with continuous microlens was designed using optical simulation CAE. Also, a mold with continuous micro-lens was fabricated by UV-LiGA reflow process and applied to 7 inch size of navigator LCD-BLU in the present study.

스크린 인쇄 공정 변수에 따른 진공유리용 필러의 단면형상 기울기 분석 (Analysis of Cross-Section Shape Slope of Pillar for Vacuum Glazing according to the Screen Printing Parameters)

  • 김재경;전의식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48
    • /
    • 2012
  • The screen printing method is much used in the flat panel display field including the LCD, PDP, FED, organic EL, and etc. for forming the high precision micro-pattern. Also A number of studies of screen printing method has been conducted as the method for the cost down through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Because of being the dot printing method of the cylindrical shape not being the line printing method like the existing PDP barrier rib and phosphor, the pillar arrays using the screen printing method is deposited in the hemispherical type not being cylindrical shape in the existing printing process conditions. In this paper, the parameters were set on the screen printing device in order to deposit the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cone or trapezoid shape of the pillar in depositing the pillars used the screen printing device for vacuum glazing. The cross-sectional shape slope of the pillar according to the parameters was measured. And analysis the effect of the screen printing process conditions on the cross-sectional shape slope of pillars based upon the result of being measured. The processing conditions were drawn to minimize the cross-sectional shape slope of pillar.

유연기판 위 형성된 나노-마이크로 Pt 금속선 패턴의 내구성 연구 (Durability of Nano-/micro- Pt Line Patterns Formed on Flexible Substrate)

  • 박태완;최영중;박운익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9-53
    • /
    • 2018
  • 정렬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은 차세대 전자소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기틀이 되는 기반기술이기 때문에, 최근 더욱 미세한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패터닝 공정에 있어서 비용이 저렴하고 단시간 내에 고해상도 미세패턴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나노 패턴전사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였다. 투명하고 유연한 기판 위에 250 nm, 500 nm, 그리고 $1{\mu}m$의 선폭을 갖는 Pt 금속 라인 패턴을 성공적으로 형성하였으며, 벤딩기기를 사용하여 500회 벤딩평가 후 패턴의 파괴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였고,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벤딩 전과 후의 패턴에 대한 손상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다양한 선폭의 금속 라인 패턴이 초기 상태와 변함없이 형상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패턴주기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나노 패턴 전사 프린팅 공정은 다양한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되며, 향후 차세대 유연 전자소자 또는 배선 및 인터커넥션 기술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르코니아 표면에칭처리와 저온열화현상이 지르코니아와 전장도재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according to Etching Treatment and Low Temperature Degradation)

  • 박진영;김재홍;김웅철;김지환;김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에칭에 의한 표면변화가 지르코니아 코어와 도재 사이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단결합강도 실시하였고,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SEM 측정, 에칭처리에 따른 지르코니아의 성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강상태에서 15~20년의 저온열화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저온 열화 처리를 시행하여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1. 에칭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시편과 에칭처리를 시행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할 경우 에칭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에칭용액이 지르코니아코어 표면에 interlocking을 형성하여 기계적인 결합을 높여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 전단결합강도의 결과(EZ>AEZ>NEZ>ANEZ)를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온열화처리를 하지 않고 에칭처리를 한 EZ군이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절 양상에서도 EZ군에서만 응집파절을 보여 가장 결합강도가 높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저온열화처리 여부에 관계없이 표면에칭처리를 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나 지르코니아 표면의 에칭처리로 인한 interlocking의 형성이 기계적인 결합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Micro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Heartwood Decayed by Soft Rot Fungi

  • Kim, Yoon Soo;Singh, Adya P.;Wong, Andrew H.H.;Eom, Tae-Jin;Lee, Kwang 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68-77
    • /
    • 2006
  • The heartwood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is known to have a high degree of decay resistance by virtue of its high extractive content. After 30 years in ground contact an utility pole of this tropical hardwood was found to be degraded only in the surface layers by cavity-forming soft rot fungi.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1) to characterize the degradation of cengal heartwood from the aspect of ultrastructure and chemistry and 2)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rot decay and its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in wood tissues. The chemical analysis of cengal heartwood revealed the presence of a high amount of extractives as well as lignin. The wood contained a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and the guaiacyl units.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hat vessels, fibers and parenchyma cells (both ray and axial parenchyma) all contained extractives in their lumina, but in variable amounts. The lumina of fibers and most axial parenchyma were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filled with the extractives. TEM micrographs showed that cell walls were also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and that pit membranes connecting parenchyma cells were well coated and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However, fungal hyphae were present in the extractive masses localized in cell lumina, and indications were that the extractives did not completely inhibit fungal growth. The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varied with tissue types. The fibers appeared to be more susceptible to decay than vessels and parenchyma. Middle lamella was the only cell wall region which remained intact in all cell types which were severely degraded.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suggeste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and the pattern and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In addition to the toxicity to fungi, the physical constraint of the extractive material present in cengal heartwood cells is likely to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growth and path of invasion of colonizing fungi, thus conferring protection to wood by restricting fungal entry into cell walls. The presence of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is also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resistance of cengal heartwood to soft rot decay.

베로 세포에 적응된 약독화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an Attenuate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a Monkey Kidney Cell (Vero))

  • 홍선표;정용주;문상범;신영철;이성희;김수옥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31-237
    • /
    • 1998
  • 세계보건기구 (WHO)가 백신 생산에 권장하고 있는 표준세포 주인 Vero 세포에 약독화 일본뇌염바이러스인 SA14-14-2 ( (PDK)를 연속 계대배양을 통해 적응(adaptation)시켜, tIter가 $10^7$pfu/mL을 넘는 SA-14-14-2(Vero)을 분리하였다 바이러스 배양 최적온도는 $35^{\circ}C$이며, T -flask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최고 tIter는 감염 후 4일째에 $4\times10^7$ pfu/mL로 관찰되었다. 또한 무혈청배지에서도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하여 2% 혈청이 보충된 정우와 거의 비슷한 바이라스 tIter를 보였다. 바이러스 대량 배양을 위해 roller bottle culture와 미 립 담체 플 이용한 spinner flask culture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을 위한 미립담체에서의 Vera cell monolayer는 초기 세포 농도 $4\times10$ cells/mL로 접종하여 50 rpm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을 수 있었다. 바이러스의 roller bottle 배양이 spinner flask 배양보다 바이러스 tIter변에서 2배 내지 3배 높 았고, $10^7$pfu/mL을 넘는 배양 기간도 하루 죄었다. 하지만 두 배양 방법 모두 T -flask 배양에서와 같이 무혈청 배지를 사용 하여도 바이라스 증식이 활발했고, 최고조의 tIter를 보이는 배 양기간은 감염 후 2일째로써 T -flask 배양에서 보다 2일 빨랐다. Roller bottle culture의 경우, 감염 후 3일부터 17일까지 2 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무혈청 EMEM으로 100% 교체하면서 매 양을 지속한 결과 3일부터 9일까지 $10^7$pfu/mL을 념는 tIter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어 바이러스의 multi-harvest가 가능한 것 로 고찰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생산성 면에서 매우 유리한 결 과로 제품의 생산 단가플 낮추고 작업 노력을 절감하는 기대 효 과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 PDF

농약(農藥)이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 토양세균(土壤細菌)Flora의 구성변화(構成變化)에 대하여 -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Soil Bacterial Flora-)

  • 양창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1-226
    • /
    • 1985
  • 밭토양(土壤)에서 살충제(殺蟲劑) Hexachlorocyclohexane(HCH) 및 살균제(殺菌劑) Tetrachloroisophthalonitrile(TPN)의 연용(連用)이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어떻게 변화(變化)시키는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HCH 및 TPN을 년(年)1회(回) 2년간(年間) 연용(連用)한 각실험구(各實驗區) 그리고 대조구(對照區)로서 농약(農藥) 무처리구(無處理區)로부터 단리(單離)한 세균세포(細菌細胞)의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試驗)을 하였다. 그리고 이 형태적(形態的) 및 생리적(生理的) 결과(結果)에 기초(基礎)한 Cowan & Steel의 제(弟)1차(次) 감별기준(鑑別基準)에 따라 이들 단리균주(單離菌株)를 Grouping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희석평판법(稀釋平板法)에 의한 알부민 한천배지상(寒天培地上)에 형성(形成)된 micro-colony를 육즙한천배지(肉汁寒天培地)에 이식배양(移植培養)하여 순수분리(純粹分離)하는 과정(過程)에서 많은 세균(細菌)이 사멸(死滅)하였는데 대조구(對照區)에서 30%, HCH구(區)에서 44%, TPN구(區)에서 51%의 사멸률(死滅率)을 각각 보였다. 이는 이들 농약(農藥)의 연용(連用)에 의하여 사멸(死滅)하기 쉬운 즉(卽)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이 복잡(複雜)한 세균군(細菌群)이 토양(土壤)중에 집적(集績)되었음을 시사(示唆)한다. 2.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37%, HCH구(區)에서 37%, TPN구(區)에서 75%를 각각 나타내어 TPN은 그람음성세균군(陰性細菌群)을 토양(土壤)중에 우점(優占)시켰다. 3. 각실험구(各實驗區)로부터 단리(單離)된 균주(菌株)에 대한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과 생리적(生理的) 시험결과(試驗結果)로부터 HCH와 TPN은 서로 다른 pattern으로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변화(變化)시켰다. 4. 전단리균주(全單離菌株)에 대한 포자형성세균(胞子形成細菌)은 대조구(對照區)에서 77%, HCH구(區)에서 40%, TPN구(區)에서 0%를 각각 나타내어 농약처리구(農藥處理區)에서 포여형성세균군(胞予形成細菌群)이 저하(低下)되었고, 특(特)히 TPN구(區)에서는 포자형성균(胞子形成菌)이 전(全)혀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5. HCH 혹은 TPN의 살포(撒布)에 의하여 Group I(Bacillus)에 유별(類別)되는 포자형성세균군(胞子形成細菌群)이 감소(減少)된 반면(反面)에 그람음성(陰性)의 포자비형성세균군(胞子非形成細菌群)이 증가(增加)되어, HCH 및 TPN은 토양세균(土壤細菌) flora의 구성(構成)을 현저(顯著)하게 변화(變化)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