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Landform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미기복 지형 표현을 위한 DEM 개선 (Updating DEM for Improving Geomorphic Details)

  • 김남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4-72
    • /
    • 2009
  • 등고선에서 생성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은 고도 간격에 따라 미지형 요소 표현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기복 지형이 잘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표피복에 고도정보를 입력하여 buffering과 지도대수 연산기법을 적용하며 미기복 지형을 복원하는 Landcover burning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지형복원과정은 등고선에서 일차 DEM 생성, 지표피복도 제작, 지표피복요소 중 미지형요소에 대한 buffering 기법에 의한 고도정보 복원, 피복인자에 대한 지도대수 연산을 통한 고도정보 입력에 의해 DEM을 복원하였다. 미지형복원은 하천지형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buffering에 의한 지형복원은 면적인(polygonal) 요소인 사력퇴, 습지에 대해서 지형형상이 오목 혹은 볼록 지형의 특성에 맞추어 일정간격의 등고선을 생성하여 지형을 복원한 후, 고도 정보를 입력하여 복원하였다. 선형적인 요소인 제방, 도로, 수로, 지류는 지도대수함수를 이용하여 지형을 복원할 수 있었다. 하상, 하안단구, 인공지물(농경지)과 같은 면적인 요소들은 평탄하기 때문에 일정한 고도값을 입력하여 지형면을 복원하였다. 연구결과는 단면도를 제작하여 원래의 DEM과 복원된 DEM의 지형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기존의 방법으로 제작된 DEM은 미지형적인 요소들이 거의 표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습지, 사력퇴, 하천주변의 지형, 농경지, 제방, 하안단구, 인공지물 위치가 비교적 잘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규모의 저기복 구릉대나 평야지대의 미지형분류와 분석, 하천 주변 미지형복원이 필요한 생태 및 환경분야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ndsat TM 영상(映像)을 이용한 충적평가(沖積平野) 미지형(微地形) 분류(分類) -금호강(琴湖江) 유역평야(流域平野)를 대상으로- (Classification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Landsat TM Image: The Case of the Kum-ho River Basin Area)

  • 조명희;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7-204
    • /
    • 1996
  • 낙동강의 대지류중의 하나인 금호강 유역분지를 대상으로 하여 Landsat TM 영상의 false color composite를 육안분류하여 충적평야상의 자연제방, 후배습지, 합류선상지 등의 미지형 분류를 시도해 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2년 11월 11일에 탐지된 Landsat TM 영상중의 band 2, 3, 4에 blue, green, red filter를 각각 씌워 조합한 false color 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음이 규명되었는데, 시기(時期)적으로는 미지형 별로 녹색식물(綠色植物)의 밀도차가 가장 두드러지는 11월 중순(中旬)의 영상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즉 배후습지의 논은 벼가 막 수확된 때이므로 나지(裸地) 상태이었으나 자연제방 상에는 김장채소, 과수원의 하층(下層) 초본식물 등의 녹색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 있으며 합류선상지 부분은 논과 밭이 혼합되어 녹색식물의 밀도가 중간 정도로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false color composite의 색조 차이를 이용한 미지형 분류결과에 대해 sample 지역에서 현지 지형 조사와 퇴적물 입도분석(粒度分析)을 실시하여 검증해 본 결과 충적평야 미지형 분류에 있어서 탐지시기와 band 조합의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TM 영상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 분류와 지형적특성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Property of Tidal Flat in Julpo-Bay Using Satellite Image)

  • 조명희;조화룡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5
    • /
    • 1999
  •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무감독분류의 ISODATA 기법으로서 분석한 결과 mudflat, mixed flat, sandflat 의 3지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미지형들은 퇴적물 입도와 지형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mudflat은 내만쪽에 위치하고 snadflat은 만의 입구 그리고 mixedflat은 그 사이에 각각 분포하였다. 각 지역의 지형특성으로는 2m 내외의 갯골이 평탄면 사이에 분포하는 mudflat과 평균기복이 10cm 이하로서 아주 평탄한 지형으로 물결무늬가 발달한 sandflat 그리고 이 양자의 중간형태를 취하는 mixedflat 으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Landsat TM의 7개의 밴드중에서 밴드 5와 7이 간석지의 미지형분류, 밴드4는 육지와 간석지의 분류 그리고 밴드 3은 해면과 간석지의 분류에 각각 효율적임이 밝혀졌다.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지형과 지질 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 (A Status of Distribu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7-10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This study discovered 390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coastal zon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 sea cliffs, sea caves, wave-cut platforms, sea-stacks, pebble beaches, sand beaches, tidal flats, coastal dunes, coastal dune wetlands and folds (or micro folds) landforms. Deposition landforms are developed more and erosion and weathering landforms are less on the land zone than island zone. These landform resources vary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can be developed for geo-tourism resources. Combined efforts from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uthorities and residents are essential to manage ecological programs us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resources.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한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과 퇴적물 입도특성 분석 (An Analysis of Micro-landform and Its Grain Size of Tidal Flat in Gomso-Ba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 조화룡;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6
    • /
    • 2000
  •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분류하고, 현지조사를 통하여 분류된 각 미지형의 퇴적물 입도 특성과 지형특성을 밝혔다. 내만 쪽의 mud flat는 갯골과 갯골 사이의 평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입경이 $4{\phi}$ 이하의 세립질이고 분급은 1 S.D. 이상이며, positive skewness를 보인다. 만구쪽에 분포하는 sand flat는 갯골이 없이 평탄한 지형을 이루며 ripple mark가 발달해 있다. 분급이 좋은 모래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고 negative skewness를 보인다. mixed flat는 mud flat 와 sand flat와의 중간적 특징을 보인다.

  • PDF

광릉숲 지역 지형분류와 관리방안 (Landform Classifications and Management Plan in Gwangneung Forest)

  • 김남신;조용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37-746
    • /
    • 2013
  • 본 연구는 광릉 숲지역 지형을 유형화하여 산지 지형변화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형요소는 축척별 계층적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형유형화를 위한 축척은 4가지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등급0 요소는 4가지, 등급1은 6가지, 등급2는 12가지, 등급3은 27가지로 지형요소를 분류할 수 있었다. 지도화에 제약이 따르는 곡저미지형은 상부곡, 중간곡, 인공하도곡으로 분류하였다. 지표침식에 대한 지형관리 방안으로 저목통로, 암석과 자갈을 이용한 사면이나 다리 주변의 지형관리, 풍화층보다 안정된 기반암 지역에 관리 도로 건설, 하도벽 안식각 유지와 석축 쌓기, 마지막으로 산림 간벌시 완충구역 유지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간지역 지형유형별 산림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에 있어서 사면 미지형과 옛 주거지 분포와의 대응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Micro-Landforms and Distribution of the Ancient Dwelling Site in the Middle Western area, Korea)

  • 박지훈;최성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8
    • /
    • 2013
  • 본 연구목적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인 인천 영종도에 있어서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주거지들 중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주거지 각각 145기와 47기를 대상으로 개별 주거지들의 미지형 입지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가장 많이 밀집하는 구릉의 미지형은 각각 상부곡벽사면(64기, 44.1%)과 정부사면(39기, 83%)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볼 때, 조사지역의 경우,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가면서 주거지 최적 입지환경이 바뀌었으며 주거지가 입지하는 구릉의 미지형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약간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A study on detecting the change of environment in west Seohan bay,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 Jo Myung-Hee;Jo Yun-Won;Kim Sung-Jae;Kim Hyoung-Sub;Lee Kwang-Jae;Yoo Hong-Ryou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148-151
    • /
    • 2004
  • In this study the micro landform of tide flat in west Seohan bay. North Korea was classified and the change of this environment was detected by using Landsat TM. FTM+, KOMPAST. For this. ISODATA method of the unsupervised methods was used to classify the micro landform while tasseled cap method was used to detect the change of environment in west Seohan bay, North Korea by passing years.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topography analysis and change especially in unapproachable area could be detected and monitored by using satellite images.

  • PDF

LANDFORM 분류를 위한 수치기복모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relief model to landform classification)

  • 양인태;김동문;유영걸;천기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19권
    • /
    • pp.155-162
    • /
    • 1999
  • In the last few years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orpholgical landforms using GSIS and DEM was investigated. Particular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morphological point attribute approaches and the extraction of drainage basin variables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The automated derivation of landforms has become a neccessity for quantitative analysis in geomorphology.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GSIS technologies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for data management and numerical data analysis for purpose of geomorphological mapping. A process developed by Dikau et al, which automates Hanmond's manual process, was applied to the pyoung chang of the kangwon. Although it produced a classification that has good resemblance to the landforms in the area, it had some problems. For example, it produced a progressive zonation when landform changes from plains to mountains, it does not distinguish open valleys from a plains mountain interface, and it was affected by micro relief. Although automating existing quantitative manual processes is an important step in the evolution automation, definition may need to be calibrated since the attributes are oftem measured differently. A new process is presented that partly solves these problems.

  • PDF

철원군 승일교 인근의 화강암 지형 경관 (Granite Landforms in the Vicinity of Seungil-gyo Bridge at Cheorwon, Central Korea)

  • 이민부;한주엽;김창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37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철원군 명성산 화강암과 현무암 용암대지 사이의 접촉대인 한탄강 승일교 인근 지역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화강암 하천 침식 및 퇴적 지형과 풍화 지형 분석을 다루고 있다. 주요 화강암 지형으로서는 심층풍화된 구릉, 면상침식지형, 고지형면 및 고토양, 하천작용과 관련된 미지형으로 돌개구멍과 그루브, 램 파트형의 암괴, 사주와 사력퇴, 그리고 구하상 등이 있다. 그리고 풍화가 덜 진전된 구릉의 일부로 하천의 측방이동을 방해하는 화강암 하식애 지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