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Bubbl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4초

미세기포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의 디젤 오염토양 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nup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Micro-Bubble Soil Washing Process)

  • 조장환;정민정;민경석;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 공동 학술발표회
    • /
    • pp.97-9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토양세척기법에 대하여 일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칼리제인 NaOH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pH를 상승시켜, 강알칼리 상태에서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면 미세기포가 발생되며, 이 미세기포에 의해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유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탈착.부상된다. #60(0.25mm) 이하의 자연토양을 6,500 mg TPH/kg dry soil로 오염시켜 사용하였으며, 세척수의 pH, 진탕비(토양 중량 : 세척용액 부피), 과산화수소 주입량, 세척시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척수의 pH는 12, 진탕비는 1:5, 과산화수소 주입량은 1%, 세척시간은 1시간으로 적용한 결과 최대효율(60%)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전해부상을 이용한 활성슬러지의 농축효율 향상 (Improvement of the Thickening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Sludge by Electroflotation (EF))

  • 최영균;정태학;염익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0
    • /
    • 2005
  • The performances of electroflotation (EF) on the thickening of activated sludge were investigated using laboratory scale batch flotation reactors. Four activated sludges including bulking sludges were tested. After 30minutes of EF operation, 57-84 % of sludge volume reduction could be achieved by EF, while only about 1.5-14% could be obtained by gravity thickening for the same period. After thickening the effluent water quality in terms of TCOD, SS, and turbidity was improved by EF operation for all sludge samples. It is induced that the air bubbles entrapped in the thickened sludge play a key role in the observed improvement of sludge thickening and effluent quality.

탄소나노튜브 및 마이크로 글래스 버블 기반 열전 복합재 (Thermoelectric Composites Based on Carbon Nanotubes and Micro Glass Bubbles)

  • 강구혁;성광원;김명수;김인국;방인철;박형욱;박영빈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70-7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탄소나노튜브(CNT)와 마이크로 글래스 버블(GB)을 포함한 폴리아마이드 6(PA6) 복합재의 열전 특성을 다뤘다. 복합재에 포함된 GB은 복합재 내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때 CNT는 GB가 없는 공간으로 밀려나면서 고밀도로 격리된(segregated)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CNT의 분산을 위해, 소니케이션(Sonicatoin)으로 CNT를 분산시킨 PA6, 포름산 용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응고시킨 후 압축성형하여 복합재 판을 제조하였다. 복합재 판의 열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제벡계수(Seebeck coefficient) 등을 측정하였고, 최고 0.016의 성능지수를 얻었다.

MULTI-SCALE MODELING AND ANALYSIS OF CONVECTIVE BOILING: TOWARDS THE PREDICTION OF CHF IN ROD BUNDLES

  • Niceno, B.;Sato, Y.;Badillo, A.;Andreani, 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20-635
    • /
    • 2010
  • In this paper we describe current activities on the project Multi-Scale Modeling and Analysis of convective boiling (MSMA), conducted jointly by the Paul Scherrer Institute (PSI) and the Swiss Nuclear Utilities (Swissnuclear). The long-term aim of the MSMA project is to formulate improved closure laws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s for prediction of convective boiling and eventually of the Critical Heat Flux (CHF). As boiling is controlled by the competition of numerous phenomena at various length and time scales, a multi-scale approach is employed to tackle the problem at different scales. In the MSMA project, the scales on which we focus range from the CFD scale (macro-scale), bubble size scale (meso-scale), liquid micro-layer and triple interline scale (micro-scale), and molecular scale (nano-scale). The current focus of the project is on micro- and meso-scales modeling. The numerical framework comprises a highly efficient, parallel DNS solver, the PSI-BOIL code. The code has incorporated an Immersed Boundary Method (IBM) to tackle complex geometries. For simulation of meso-scales (bubbles), we use the Constrained Interpolation Profile method: Conservative Semi-Lagrangian $2^{nd}$ order (CIP-CSL2). The phase change is described either by applying conventional jump conditions at the interface, or by using the Phase Field (PF) approach. In this work, we present selected results for flows in complex geometry using the IBM, selected bubbly flow simulations using the CIP-CSL2 method and results for phase change using the PF approach. In the subsequent stage of the project, the importance of effects of nano-scale processes on the global boiling heat transfer will be evaluated. To validate the models, more experimental informatio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so it is expected that the MSMA project will become the seed for a long-term, combined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rogram.

마찰저항 감소에 영향을 주는 난류 경계층 내 미세기포(microbubble)의 가시화 연구 (Visualization of Microbubbles Affecting Drag Reduction in Turbulent Boundary Layer)

  • 백부근;임근태;김광수;김경열;김유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2권4호
    • /
    • pp.356-363
    • /
    • 2015
  • Microbubbles moving in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are visualized and investigated in the point of frictional drag reduction.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is formed beneath the surface of the 2-D flat plate located in the tunnel test section. The microbubble generator produces mean bubble diameter of 30 – 50 μm. To capture the micro-bubbles passing through the tiny measurement area of 5.6 mm2 to 200 mm2, the shadowgraphy system is employed appropriately to illuminate bubbles. The velocity field of bubbles reveals that Reynolds stress is reduced in the boundary layer by microbubbles’ activity.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 of microbubbles to the drag reduction rate more, much smaller field-of-view is required to visualize the bubble behaviors and to find the 2-D void fraction in the inner boundary layer.

항적 산란신호의 모델링과 실험적 검증 (Modeling of Scattered Signal from Ship Wake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 지윤희;이재훈;김재수;김정해;김우식;최상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18
    • /
    • 2009
  • 이동하는 수상 운동체는 반경 $8{\sim}200{\mu}m$ 크기의 미세기포군을 포함하는 기포항적을 발생시킨다. 경우에 따라 10여분 이상 지속되는 수중 미세기포는 음향산란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며, 기포가 존재하는 동안 능동소나에 의한 지속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포항적에 존재하는 미세기포의 사공간적인 분포변화에 따라 산란되는 음파를 모의하는 잔향음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포항적 산란신호의 모델은 음향학적 모델과 운동학적 모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향학적 모델에서는 미세기포의 공간분포를 체적산란강도로 변환하여 공간에 대한 적분을 수행하고, 운동학적 모델은 해양공간의 고정좌표계와 능동소나에 고정된 국부좌표계 사이의 좌표변환을 위한 오일러변환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구현된 모델의 점증을 위해 2007년 9월 한국해양대학교 앞 해상에서 실제 선박을 운항하여 기포항적을 발생시킨 후 일정간격으로 신호를 획득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모델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의 디젤 오염토양 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nup fur Diesel-Contaminated Soil by Micro-Bubble Enhanced Soil Washing Process)

  • 조장환;장윤영;최상일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토양세척기법에 대하여 일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칼리제인 NaOH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pH를 상승시켜, 강 알칼리 상태에서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면 미세기포가 발생되며, 이 미세기포에 의해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유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탈착·부상된다. #60(0.25mm) 이하의 자연토양을 6,500mg TPH/kg dry soil로 오염시켜 사용하였으며, 세척수의 pH, 진탕비(토양중량 : 세척용액의 부피), 과산화수소 주입량, 세척시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척수의 pH는 12, 진탕비는 1 : 5, 과산화수소의 주입량은 1%, 세척시간은 1시간으로 적용한 결과 최대효율(60%)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용존공기부상법 유동해석을 위한 난류모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urbulence Model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Flow Analysis)

  • 박민아;이균호;정재동;서승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7호
    • /
    • pp.617-624
    • /
    • 2015
  • 용존공기부상법이란 오염물에 미세기포를 부착하여 수표면으로 부상시킴으로써 이를 제거하는 수처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류모델에 따른 용존공기부상조 내부 유동해석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물과 기포의 혼합물에 대한 2상 유동을 모사하였다. 이때, 주어진 용존공기부상조 형상 및 조건에 대하여 다양한 난류모델에 따른 용존공기부상법 내부의 미세기포 분포량, 계산시간 및 수렴성 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표준 ${\kappa}-{\varepsilon}$ 모델이 타 난류모델과는 다른 거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ISC 임베디드 컨트롤러를 위한 새로운 비동기 파이프라인 아키텍쳐, A8051 (A New Asynchronous Pipeline Architecture for CISC type Embedded Micro-Controller, A8051)

  • 이제훈;조경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4호
    • /
    • pp.85-94
    • /
    • 2003
  • 비동기 설계 기법은 시스템 클럭을 사용하지 않고, 동작이 필요한 모듈만 활성화시켜 전력 및 성능면에서 동기식 설계 기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갖는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컨트롤러인 Intel 80csl과 완전한 명령어 호환성을 갖고, 비동기식 파이프라인 구조로 최적화된 A8051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다양한 어드레싱 모드와 명령어를 제공하는 CISC 명령어 수행 스킴은 동기식 파이프라인 구조에 적합하지 않고 많은 오버헤드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명령어 실행 사이클을 비동기식 파이프라인 수행에 적합하도록 명령어별로 그룹화하고, 동기화 및 다중 실행 사이클로 인한 오버헤드로 발생된 버블을 제거함으로서 최적화하였다. 또한 적합한 분기 처리 기법 및 가변적인 명령어 길이의 처리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명령어 수행시 필요한 상태 수를 최소화하고, 명령어 수행의 병렬성을 증가시켰다. 제안된 A8051 아키텍쳐는 Verilog HDL로 설계하여 0.,35㎛ CMOS 공정 표준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하였다. 실험 결과로 A8051은 36㎒ 클럭을 사용하는 인텔 80C51과 다른 비동기 80C51에 비해 약 24배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압력손실시험을 이용한 막 완결성 평가에서 초기압력 및 UCL 도출인자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Initial Pressure and Upper Control Limit on the Pressure Decay Test for Membrane Integrity Evaluation)

  • 이주희;홍승관;허현철;이광제;최영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93-800
    • /
    • 2008
  • Recently domestic drinking water industry has recognized membrane-based technology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water treatment. To ensure successful application of membrane processes, the integrity of membrane systems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 to US EPA guidance, the pressure decay test based on the bubble point theory is recommended to detect any membrane defection of which size is close to the smallest diameter of Cryptosporidium oocysts, $3{\mu}m$.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pressure decay test is greatly affected by initial test pressure,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est results is associated with upper control limit.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affecting determination of initial test prtessure and upper control limit, including membrane-based parameters such as pore shape correction factor, surface tension and contact angle, and system-based parameters, such as volumetric concentration factor and total volume of system. In this paper, three different hollow fibers were used to perform the pressure decay test. With identical initial test pressure applied, their pressure decay tendenc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finding can be explained by the micro-structure disparity of those membranes which is verified by FESEM images of those membranes. More specifically, FESEM images revealed that three hollow fibers have asymmetry, deep finger, shallow finger pore shape, respectively. In addi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five parameters mentioned above to elucidate their relation to determination of initial test pressure and upper control limit. In case of initial pressure calculation, the pore shape correction factor has the highest value of sensitivity. For upper control limit determination, system factors have greater impact compared to membrane-based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