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O

검색결과 7,714건 처리시간 0.044초

$MgTiO_{3}$ 계 세라믹스의 고주파 유전특성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MgTiO_{3}$ Ceramics)

  • 김왕섭;김경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46-250
    • /
    • 1995
  • $MgTiO_{3}$$CaTiO_{3}$, MgO, CaO를 첨가하여 고주파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계수가 zeo $ppm/^{\circ}C$에 접근하는 ($Mg_{0.915}Ca_{0.085})TiO_{3}$ 조성에서 유전상수값은 22, Qxf 값은 50000, MgO를 0.1mol 첨가한 조성에서는 유전상수는 17, Qxf값은 131000, CaO를 8mol% 첨가한 조성에서 유전상수는 20, Qxf 값은 52000을 나타내엇다. $MgTiO_{3}$$CaTiO_{3}$를 단독으로 첨가하는 경우보다 MgO와 CaO를 동시에 첨가할 때 보다 높은 Q값을 갖는 $MgTiO_{3}$계 세라믹스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Cu(Mg) alloy의 산화방지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passivation of Cu(Mg) alloy film)

  • 조흥렬;조범석;이원희;이재갑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4-149
    • /
    • 2000
  • Cu(4.5at.% Mg) target을 이용하여 sputtering에 의해 증착된 Cu(Mg) alloy박막의 열처리시 형성되는 산화 방지막 MgO의 박막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MgO 박막의 산화방지 능력 및 막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열처리 온도, $O_2$ 압력, Mg 농도 등으로 나타났다. MgO 박막의 두께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 $500^{\circ}C$ 이상에서는 150 $\AA$ 정도의 성장한계두께를 나타내었다. 표면에 형성되는 MgO 박막은 $O_2$압력이 낮을수록, Mg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밀한 MgO가 형성되어 산화방지에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전 열처리 과정인 진공 열처리 공정은 1at.%정도의 낮은 Mg 농도에서도 치밀한 MgO형성에 매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Cu(Mg) alloy박막의 열처리를 통해 낮은 저항의 Cu박막의 형성과 동시에 산화방지에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MgO 박막을 열처리 온도, $O_2$ 압력, Mg 농도 등의 최적조건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마그네시아와 돌로마이트의 특성에 미치는 $Fe_2O_3$ 의 첨가영향 (Effects of $Fe_2O_3$ Addition on the Properties of MgO and Dolomite)

  • 박재원;홍기곤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738-746
    • /
    • 1997
  • MgO clinker and two kinds of dolomite clinkers with different microstructures and CaO contents were used as starting materials, and the effects of Fe2O3 addition on the properties of MgO and dolomite were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2 to 8 wt% of Fe2O3 content. Secondary phases contributed to densification of MgO-Fe2O3 and dolomite-Fe2O3 were magnesioferrite and dicalciumferrite, respectively. Sinterabilities of MgO-Fe2O3 and dolomite-Fe2O3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econdary phases. Also, sinterability of dolomite itself was dependent on the microstructure of starting material including distribution of CaO and MgO as well as the addition amount of Fe2O3. The flexural strength of MgO-Fe2O3 content was almost constant. The hydration resistance of dolomite with large size of MgO and discontinuous distribution of CaO was higher than that of dolomite with small size of MgO and continuous distribution of CaO. Also, the minimum content of Fe2O3 to prevent they hydration of dolomite was about 4wt%. As increasing Fe2O3 content, the penetration resistance of MgO-Fe2O3 was improved by the increment of magnesioferrite. 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on resistance of dolomite-Fe2O3 was decreased because of the increment of dicalciumferrite having low melting point.

  • PDF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 특성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

  • 최슬우;김주형;이광명;권용길;장봉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09-615
    • /
    • 2011
  • $850{\sim}1,000^{\circ}C$ 정도의 저온에서 소성된 MgO 분말을 혼입한 MgO 콘크리트는 장기적인 팽창성을 보인다. 이러한 팽창성은 MgO 분말의 느린 수화 반응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늦은 재령에서의 수축을 보상하는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MgO 분말의 혼입은 시멘트의 초결을 지연시키며 응결 시간을 증가시키고, MgO 콘크리트의 공극률과 공극의 크기 분포가 일반 콘크리트와 다르기 때문에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MgO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구 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MgO 콘크리트의 내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5% 수준으로 MgO 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를 재령 56일까지 $20^{\circ}C$에서 수중 양생한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MgO 분말을 혼입하지 않은 콘크리트의 내구 특성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MgO 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에서 콘크리트의 내구 성능이 다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MgO 분말의 수화 반응에 따른 팽창 효과로 콘크리트의 미세 구조가 치밀해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Sputtering yield and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gamma$) of the MgO, $MgAl_2O_4$ and $MgAl_2O_4/MgO$ thin film grown on the Cu substrate by using the Focused Ion Beam

  • Jung, Kang-Won;Lee, H.J.;Jeong, W.H.;Oh, H.J.;Choi, E.H.;Seo, Y.H.;Kang, S.O.;Park, C.W.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877-881
    • /
    • 2006
  • We obtained sputtering yields for the MgO, $MgAl_2O_4$ and $MgAl_2O_4/MgO$ films using the FIB system. $MgAl_2O_4/MgO$ protective layers have been found to have less $24^{\sim}^30%$ sputtering yield values from 0.24 atoms/ion up to 0.36 atoms/ion than MgO layers with the values from 0.36 atoms/ion up to 0.45 atoms/ion for irradiated $Ga^+$ ion beam whose energies ranged from 10 keV to 14 keV. And $MgAl_2O_4$ layers have been found to have lowest sputtering yield values from 0.88 up to 0.11. It is also found that $MgAl_2O_4/MgO$ and MgO hav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gamma})$ values from 0.09 up to 0.12 for $Ne^+$ ion whose energies ranged from 50 eV to 200 eV.

  • PDF

Development of promotors for fast redox reaction of MgMnO3 oxygen carrier material in chemical looping combustion

  • Hwang, Jong Ha;Lee, Ki-Tae
    •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372-377
    • /
    • 2018
  • MgO or gadolinium-doped ceria (GDC, $Ce_{0.9}Gd_{0.1}O_{2-{\delta}}$) was added as a promoter to improve the oxygen transfer kinetics of $MgMnO_3$ oxygen carrier material for chemical looping combustion. Neither MgO nor GDC reacted with $MgMnO_3$, even at the high temperature of $1100^{\circ}C$. The average oxygen transfer capacities of $MgMnO_3$, 5 wt% $MgO-MgMnO_3$, and 5 wt% $GDC-MgMnO_3$ were 8.74, 8.35, and 8.13 wt%, respectively. Although the addition of MgO or GDC decreased the oxygen transfer capacity, no further degradation was observed during their use in 5 redox cycles. The addition of GDC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nversion rate for the reduction reaction of $MgMnO_3$ compared to the use of MgO due to an increase in the surface adsorption process of $CH_4$ via oxygen vacancies formed on the surface of GDC. 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rates for the oxidation reaction followed the order 5 wt% $GDC-MgMnO_3$ > 5 wt% $MgO-MgMnO_3$ >> $MgMnO_3$ due to morphological change. MgO or GDC particles suppressed the grain growth of the reduced $MgMnO_3$ (i.e., (Mg,Mn)O) and increased the specific surface area,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active reaction sites.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를 통한 백운석으로부터 CaCO3 및 MgO/Mg(OH)2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CaCO3 & MgO/Mg(OH)2 from Dolomite Using the Strong Acidic Cation Exchange Resin)

  • 황대주;유영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812-825
    • /
    • 2019
  • 국내에서 채광되는 백운석(dolomite, $CaMg(CO_3)_2$)을 회분식 형태의 마이크로웨이브 소성로($950^{\circ}C/60min$)에 의해 소성하여 경소백운석($CaO{\cdot}MgO$)을 제조하였다. 국내에서 산출된 두 개의 백운석 시료를 대상으로 경소백운석($CaO{\cdot}MgO$) 제조 후 수화 특성을 규명한 결과 반응성이 다름을 규명하였다. 경소백운석($CaO{\cdot}MgO$)의 수화 특성의 반응성을 이용하여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와 반응 시켜서 MgO를 분리하는 조건을 실시하였다. 분리 실험 조건은 경소백운석($CaO{\cdot}MgO$)과 $R-SO_3H$ (1:12 mass %)로 칼슘이온 흡착($Ca-(R-SO_3)_2$)하여 MgO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 MgO의 함량은 94 mass % 이상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MgO를 $950^{\circ}C$, 60 min 동안 열처리 후 MgO의 순도는 96 mass %로 나타났다. 그리고칼슘 이온이 흡착된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Ca-(R-SO_3)_2$)와 NaOH, $CO_2$ gas 반응에 의해서 98 mass %의 $CaCO_3$를 합성하였다.

MgO 완충층을 이용한 Si 기판상 강유전체 $BaTiO_3$ 박막의 제조 (Preparation of Ferroelectric $BaTiO_3$ Thin Films on MgO-Buffered Si Substrates)

  • 김상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3-379
    • /
    • 1997
  • A study on the de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TiO3 thin films on MgO-buffered Si(100) substrates by sputtering was conducted. The MgO buffer layer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deposition temperature. At lower substrate temperature, the MgO layers were not fully crystalline, but a crystallized MgO layer with (001) preferred orientation was obtained at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700^{\circ}C$. Partially (00ι) or (h00) textured BaTiO3 films were obtained on Si(100) with the MgO buffer layer grown at 700ι. While, randomly oriented BaTiO3 films with large-scale cracks on the surface were made without the MgO layer. The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morphology and electrical properties between the BaTiO3 films on Si with and without the MgO layer were compared using the BaTiO3 film on MgO(100) single crystal substrate as a reference system. Also the favorable role of the MgO layer as a buffer for growing of oriented BaTiO3 films on Si substrates was confirmed.

  • PDF

CZ법으로 성장시킨 $LiNbO_3$: Mg 단결정에서의 광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damage in $LiNbO_3$: Mg single crystals grown by CZ method)

  • 노지현;김비오;김병국;윤종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95
  • CZ법을 이용하여 합치용융조성(congruent) $LiNbO_3$ 및 광손상에 큰 저항성을 보이는 $LiNbO_3$ : Mg 단결정에 MgO 첨가량을 2, 5 및 7 mol%로 변화시키면서 육성하여, 보상 방법으로 광손상을 측정하였다. 5 mol% 이상의 MgO 첨가시 광흡수단 및 $OH^-$ 흡수밴드의 특성이 크게 변화함을 관찰함으로써 MgO 첨가량에 일정한 역치(threshold)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LiNbO_3$ : Mg 단결정에서는 5 mol% 이상의 MgO 첨가시 Mg가 Nb 자리를 차지하여$Mg_{Nb}^{2+}$를 형성함에 따라 광손상에 대한 저항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실제로 융액에 5 mol% 이상의 MgO 첨가시)$LiNbO_3$ : Mg 단결정의 광손상 저항이 3배 이상 향상되었다.

  • PDF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함유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 (Long-term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

  • 장봉석;최슬우;이광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09-916
    • /
    • 2013
  • 저온에서 소성된 산화마그네슘 분말을 치환한 MgO 콘크리트는 장기적인 팽창성을 가진다. 또한 MgO의 수화반응이 느린 속도로 장기재령까지 일어나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수축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 소성한 MgO는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인 댐에 주로 적용되었다. 최근 수화열 저감을 위해 매스콘크리트에 많이 사용되는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MgO 콘크리트의 팽창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러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에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치환하여 MgO 분말 치환에 따른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을 확인하였다. 재령 360일까지 20, $50^{\circ}C$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한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MgO 분말을 치환한 시편에서 탄산화 저항성 및 염해 저항성, 황산염 침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동결융해 저항성은 MgO 분말 치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