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 content

검색결과 8,245건 처리시간 0.036초

Cu(Mg) alloy의 산화방지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passivation of Cu(Mg) alloy film)

  • 조흥렬;조범석;이원희;이재갑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4-149
    • /
    • 2000
  • Cu(4.5at.% Mg) target을 이용하여 sputtering에 의해 증착된 Cu(Mg) alloy박막의 열처리시 형성되는 산화 방지막 MgO의 박막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MgO 박막의 산화방지 능력 및 막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열처리 온도, $O_2$ 압력, Mg 농도 등으로 나타났다. MgO 박막의 두께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 $500^{\circ}C$ 이상에서는 150 $\AA$ 정도의 성장한계두께를 나타내었다. 표면에 형성되는 MgO 박막은 $O_2$압력이 낮을수록, Mg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밀한 MgO가 형성되어 산화방지에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전 열처리 과정인 진공 열처리 공정은 1at.%정도의 낮은 Mg 농도에서도 치밀한 MgO형성에 매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Cu(Mg) alloy박막의 열처리를 통해 낮은 저항의 Cu박막의 형성과 동시에 산화방지에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MgO 박막을 열처리 온도, $O_2$ 압력, Mg 농도 등의 최적조건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ynthetic Properties of Fe/MgO Catalyst on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s Prepared by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Jung, Sung-Sil;Lee, Dae-Yeol;Chung, Won-Sub;Park, Ik-Min
    • Carbon letters
    • /
    • 제5권3호
    • /
    • pp.133-141
    • /
    • 2004
  • The synthetic behaviors of carbon nanotubes (CNTs) by Fe/MgO catalysts were investigated in 0~90 wt.% range of MgO mixture ratios by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CCVD) process. The CNTs were synthesized with 40 minutes of synthetic time, and 923 K of synthetic temperature using 0.1 L/min of ethylene gas and 1.0 L/min of hydrogen gas as synthetic and carrier gas, respectively. As the increase of synthetic temperatures and times, the diameters of CNTs become thicker. The carbon yield showed in a parabolic curve as MgO content increased and the maximum carbon yield was obtained at 30 wt.% of MgO. There were no obvious changes in the diameters of CNTs respect to the change of MgO content. Fe/MgO CNTs showed good crystalinity by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analysis. The behaviors of Fe/MgO CNTs have a tendency of depending on synthetic time and temperature rather than MgO content.

  • PDF

보성산 녹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 성분의 변화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 김상희;한대석;박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2-546
    • /
    • 2004
  • 국내산 녹차의 채엽시기가 녹차 중의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과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총 카테킨 함량은 40.61-52.04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조성은 채엽시기에 관계없이 EGC, EGCg, EC, CC, ECg, C, GCg 및 Cg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테킨류 중 기능성 작용이 우수한 EGC 및 EGCg는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온화한 떫은맛으로 후미에 감미를 남기는 유리형 카테킨인 EC와 EGC는 전체의 53.21%에서 57.09%를 차지하였다. 카페인 함량은 4월차 17.56mg/g, 5월차 15.71mg/g, 6월차 14.92mg/g 및 7월차 14.61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4월차 45.84mg/g, 5월차 22.64mg/g, 6월차 12.22mg/g 및 7월차 10.45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갖는 theanine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Fe, Mn 및 Mg는 증가하였으며, Cu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백영고버섯의 미네랄, 아미노산, 비타민 함량분석 (Analysis of Mineral, Amino Acid and Vitamin Content of Pleurotus nebrodensis)

  • 차월석;남형근;임익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78-281
    • /
    • 2007
  •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목적으로 백영고의 미네랄, 아미노산 및 비타민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미네랄성분은 K, P, Mg, Na가 주성분을 이루었으며 이 중 K가 1,612.96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659.86 mg%이며 필수아미노산 314.31 mg% 중 tryptophan이 93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isoleucine, valine, threonine, phenylalanine, lysine, methionine, leucine이 각각 50.06 mg%, 47.1 mg%, 43.5 mg%, 40.83 mg%, 23.62 mg%, 14.01 mg%, 2.19 mg%순으로 함유되었다.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1,326 mg%이며 이 중 glutamic acid가 353 mg%로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26.6 %을 차지하였고 필수아미노산은 426 mg%이었다. 또한 vitamin E는 285.31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칼슘보충에 도움을 주는 vitamin $D_3$는 0.06 mg%로 다른 버섯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전통식 녹차된장과 일부 시판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 정복미;노승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139
    • /
    • 2004
  • 본 연구는 일반 시판된장과 녹차된장의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 단백 함량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낮게 나타났다. 조 지방 함량의 경우 일반된장과 녹차된장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회분함량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의 평균값을 나타냈고, 당질 함량은 녹차된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섬유소함량은 일반 시판 된장 중 H제품을 제외하고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열량 역시 녹차된장이 가장 낮았다. 녹차된장의 색도는 일반된장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녹차된장중의 총 카테킨 함량은 2.3%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시판된장 중 C사 제품은 sarcosine이 337.8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proline(268.4 mg%), glutamic acid(268.0 mg%)순으로 나타났으며, H사 제품은 glutamic acid가 831.6 mg%로 가장 높았고, leucine(491.0 mg%), phenylalanine(364.3 mg%)순이었고, S사 제품은 역시 glutamic acid(855.2 mg%)가 시료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lanine(567.9 mg%), phenylalanine(413.9 mg%), valine(400.3 mg%) 순이었다. 녹차된장 역시 glutamic acid(326.24 mg%)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proline(320.9 mg%), leucine(221.49 mg%)순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중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약간 낮았고, 다 불포화지방산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의 가장 낮은 값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총 지방산중에 linoleic acid(51%)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oleic acid(21∼24%), palmitic acid(10∼11%), stearic acid(3∼4%) 순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유기산은 주된 유기산이 oxalic acid였으며, lactic, succinic acid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반 시판된장이 녹차된장에 비해 1.6∼2.7배 높게 나타났다. 녹차된장의 항산화 활성도는 타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능성을 가진 녹차된장이 일반시판된장에 비해 열량이 낮으며, 항산화 활성도가 높으므로 장기간 섭취시 비만예방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함량 RNA 효모 변이주의 선별 및 고농도세포 유가배양 (Selection of Yeast Mutant Strain with High RNA Content and Its High Cell-Density Fed-Batch Culture.)

  • 김재범;권미정;남희섭;김재훈;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2
    • /
    • 2002
  • RNA 함량이 증가되고, 증식속도가 더 빠른 효모 변이주를 선별하기 위해, 모균주 Saccharomyces cerevisiae MTY62 세포에 화학적 돌연변이제인 ethylmethane sulfonate를 처리하여, YPD 배지에서는 잘 자라고 KCl 함유 배지에서는 자라지 않는 변이주들을 선별하였다. 이 변이주들 중 시험관 및 플라스크 배양을 통해 균체농도와 RNA 함량이 모균주 MTY62에 비해 각각 1.5배, 1.3배 증가한 M40-10 변이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변이주 M40-l0을 발효조 회분배양한 결과, 최대비증식속도는 $0.38 h^{-1}$ , RNA 농도는 3210 mg-RNA/1, RNA 함량은 183mg-RNA/g-DCW 값을 보여, 모균주에 비해 각각 23%, 15%, 12%씩 증가하였다. M40-10 변이주를 간헐적 유가배양한 결과, 최대 균체농도는 35.6 g-DCW/1을, 최대 RNA 농도는 5677mg-RNA/l을, RNA함량은 160 mg-RNA/g-DCW을 나타내어 모균주보다 우수하였다. 일정속도의 유가배양에서도 M40-10 변이주의 최대 균체농도는 46.4g-DCW/1, RNA 농도는 6270mg-RNA/1, RNA 함량은 135mg-RNA/g-DCW을 보였다. 이들 유가배양에서 배양 중반기인 20시간 전후에서는 모균주에 비해 변이주의 세포농도는 30%, RNA 농도는 10%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유가배양 말기까지도 RNA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아, M40-10 변이주는 산성 RNase 활성이 크게 감소한 변이주임을 알 수 있었다.

고수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vor constituents of the Coriander(Coriandrum sativum L))

  • 김경자;최옥자;김용두;강성구;황금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90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 proximate compositions, free sugar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volatiles from the fresh leaf, root and seed of coriand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Moisture was 79.93% in the leaf, 81.89% in the root.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ash were the highest in the seed. Ascorbic acid was 65.4mg% in the leaf and 37.83mg% in the root.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Glucose was 7.92mg% and fructose 7.51mg% in the leaf. Sucrose was 17.34mg% in the root, highest level. Among organic acids, malic acid was 354.55mg% in the leaf, the highest level. The content rate of organic acids was high in the order of leaf, seed and root. The content rate of total amino acid was high in the order of seed, root and lea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high in the leaf and root.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high in the seed. The content rate of free amino acid is the same as that of total amino acid. Glutamic acid and serine were high in the leaf and seed. Glutamic acid and treonine were high in the root.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each parts of the coriander was higher than that of free amino acid,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 in the total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was different. The volatile constituents were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and analyzed by GC-Mass.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was 45.31mg% in the leaf, (E)-2-decenal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canal, 2-dodecenal, (E)-2-decen-1-ol in order, aldehyde and alcohol was major constituents.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was 36.01mg% in the root and 54.37mg% in the seed. linalool was the highest in the root and seed. it was 22.27 %, 53.67% in root and seed.

  • PDF

청각의 식이섬유, 미네랄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분석 (Analysis of Dietary Fiber, Minera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heonggak (Codium fragile))

  • 서욱현;강효정;윤기복;안양준;김중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8-334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ximate composition, dietary fiber, mineral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in Cheonggak (Codium fragile) in order to encourage the consumption of Cheonggak.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heonggak was found to be 5.51% moisture, 24.09% crude ash, 15.79% crude protein, 2.47% crude lipid and 45.31% dietary fiber. The major mineral content of Cheonggak was Na 8,950 mg/100 g, Mg 1,252 mg/100 g, Ca 807 mg/100 g, K 457 mg/100 g, and trace mineral content was Fe 26 mg/100 g, Mn 8 mg/100 g, Zn 0.4 mg/100 g. Palmitic acid 36.86% and ${\alpha}$-linolenic acid 20.14% were the most contained fatty acids in Cheonggak.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s to unsaturated fatty acids was 85.49% while ${\omega}-6$ fatty acids to ${\omega}-3$ fatty acids were 59.10%. Based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dietary fiber, minera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Cheonggak was judged to be a major source of dietary fiber and Mg and Ca, and it was deemed to be helpful in promoting health, including the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Cheonggak contained valuable nutrients similar to seaweed, which is produced and consumed the most in Korea. Thu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eonggak in the food items.

국산 콩 장려품종의 Minerals, Oxalate 및 Phytate 함량 (Minerals,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김기찬;황인국;윤건묵;송항림;김홍식;장금일;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70-878
    • /
    • 2009
  • 본 연구는 국산 113종 콩 장려품종의 total oxalate(Ox), phytate($InsP_6$)와 calcium(Ca), magnesium(Mg), sodium (Na), zinc(Zn), potassium(K)을 분석하여 옥살산칼슘 결정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품종의 선발 및 안전한 콩 가공식품 제조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13종의 콩 장려품종에서 Ca과 Mg 함량 분포는 각각 $0.586{\sim}3.177$$0.559{\sim}3.085\;mg/g$이었으며, Ca는 다올콩은 3.177 mg/g으로 가장 높았고, Mg는 선흑콩은 3.08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Ca과 Mg 사이에서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Ox와 InsP6 함량 분포는 각각 1.24(선흑콩)$\sim$3.81(다원콩)과 0.43(만리콩)$\sim$4.72(다기콩) mg/g 범위이었고, 옥살산칼슘 결정의 저해물질인 $InsP_6$의 함량이 Ox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 분포로 존재하였다. 또한 Ca, Mg, Ox 및 $InsP_6$ 함량 사이의 교차상관관계분석을 통해 Ca과 $InsP_6$ 함량이 Ox 함량보다 높은 선흑콩과 단미2가 옥살산칼슘 생성의 잠재적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산수유의 지표성분 함량과 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r compounds contents and cultivation environment of Cornus officinalis)

  • 어현지;강연경;김다솜;박영기;김현준;박광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175-1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재배 환경에 따른 산수유나무의 지표성분인 loganin 및 morroniside을 함량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구명하고자 하였다. Loganin 및 morroniside 함량은 UPLC에 의해 동시 분석되었다. 토양 데이터의 Mg2+ 함량과 pH가 loganin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g2+, Na+ 함량, pH, 염도, silt 비율, 점토 비율이 morroniside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g2+ 함량, pH, 점토비율은 산수유 지표성분인 morroniside 및 loganin 함량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수유나무의 최적의 재배환경요건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