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Ca

검색결과 5,775건 처리시간 0.04초

화학처리된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ly Modified Sorbents for Carbon Dioxide)

  • 이경미;조영민
    • 공업화학
    • /
    • 제19권5호
    • /
    • pp.533-538
    • /
    • 2008
  • 본 연구는 상용 제올라이트와 석탄회를 알칼리 양이온(Li, K)과 알칼리 토금속(Ca, Mg)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이산화탄소의 흡착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Ca와 Mg를 함유한 흡착제의 경우 비표면적이 낮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양이온에 따른 흡착능은 K < Li < Mg < Ca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와 Mg로 함침된 흡착제의 경우 재생 효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a와 Mg 이온이 이산화탄소와의 친화력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이온과 이산화탄소 분자 사이의 친화력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도를 증가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Al-Mg-(Ca) 합금에서 결정립의 열적 안정성 (Thermal Stability of Grains in Al-Mg-(Ca) Alloys)

  • 전중환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5-180
    • /
    • 2012
  • Role of Ca in grain growth behavior has been investigated in hot-rolled Al-3%Mg and Al-3%Mg-0.5%Ca wrought alloys. When annealed for 1 hr from 723 to 823 K, grain size of the Al-3%Mg alloy increased rapidly above 723 K, whereas grains were relatively stable up to 773 K for the Ca-containing alloy. Grain homogeneity of the Ca-containing allo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a-free alloy both in hot-rolled and annealed states. Calculated activation energies for grain growth were 77.6 and 85.9 kJ/mole in the range of 723 to 823 K for the alloys with 0 and 0.5%Ca, respectively. Taking SEM images and EDS results into account, enhanced thermal stability in response to Ca addition would be associated with Al4Ca compounds located along the grain boundaries, which eventually play a role in restricting grain growth at elevated temperatures.

연령이 다른 흰쥐에 있어 Ca, Mg, Zn 이용에 관한 연구 (Ca,Mg and Zn Utilization in Rats with Different Ages)

  • 최미경;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28-93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Ca, Mg and Zn utilization in young and adult rats fed standard diet for 3 weeks.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in young ra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d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levels of Ca and Zn across age and sex. In liver of young or male groups, Ca and Z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dult or fem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bia contents of Ca and Mg, but Zn content was increased when young or female groups w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In mineral balances, daily intakes and retentions of Ca, Mg and Zn in young or mal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dult or female. According to this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in growth period must be increased dietary intake of Ca, Mg and Zn to compromise the requirement for growth.

  • PDF

학령기아동의 칼슘섭취 현황 및 그 흡수율에 관한 연구 (Dietary Intake of Calcium and It's Apparent Absorption Rate of School Children in Korea)

  • 이일하;장경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17-22
    • /
    • 197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alcium intake, the ratio of Ca intake versus R.D.A.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Ca, apparent Ca absorption rate, and Ca sources of food among school children in Korea. One hundred school children aged from 6 to 12 years were engaged in this study; 33 subjects were from farming village neal Seoul, and 67 children from big cities. Two days of food consumption records and feces collections of the subjects had been done from April 1978 to June 1978.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in the present study; 1) Average Ca intake of total subjects was $457{\pm}214mg$ which is only 76% of R.D.A. for Ca. Calcium intakes for farming villag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jects from big cities (p<0.05). 2) Survey on the food sources of Ca revealed that the amount of Ca taken from cereals averaged 120 mg (22.3% of total Ca intake), 111 mg (24.3%) from fruits and vegetables, 176 mg (38.5%) from meats, poultry, fishes and eggs, and only 68 mg (14.9%) was supplied by milk and milk products. From the data collected,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 intake from cereals was found between village children and the ones from big cities. b) Average Ca intake from fruits and vegetables of city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illage children (p<0.005) with the values for 133 mg for the former and 64 mg for the latter. c) For the group of meats, poultry, fishes and eggs, significantly higher intake was found in village subjects than city children (p<0.0005) with the values of 340 mg and 95 mg, respectively. d) Contrarily, Ca intake from milk and milk products was significantly (p<0.0005) much higher in the city children (98 mg) than village ones (7 mg). 3) Apparent Ca absorption rate of total subjects was 51%; 44% for village children and 54% for city children. Ca absorption rate tends to be higher in the city subjec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 PDF

포장재배(圃場栽培) 수도(水稻)의 무기영양(無機營養) -II 삼요소(三要素) 이용율(利用率)과 기상권(氣象圈) 및 토양단면(土壤斷面)의 물리(物理)·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과의 관계(關係) (Mineral Nutrition of Field-Grown Rice Plant -II Recovery of fertilizer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in relation to climatic zone and physical or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rofile)

  • 박훈;신천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6
    • /
    • 1973
  • 수도삼요소(水稻三要素) 이용율(利用率)(1967 및 1968년(年))과 기상권(氣象圈), 답토양(畓土壤) 단면(斷面)의 추적양식(推積樣式) 배수등급(排水等級) 토성(土性) 및 작토(作土)의 토양화학적(土壤化學的) 특성(特性)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N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중부(中部)>북부(北部)의 순(順)이고 K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북부(北部)>중부(中部)의 순(順)이며 P이용율(利用率)은 연도별(年度別)로 다르다. 2. P이용율(利用率)은 남부(南部)의 도(道)에서 연도별(年度別) 변동(變動)이 크고 추적(推積) 배수(排水) 토성별(土性別)에서도 연도별(年度別) 변동(變動)이 커서 토양(土壤)과 기상(氣象)의 교호작용(交互作用)에 크게 영향 받는것을 알 수 있다. 3. 추적양식별(推積樣式別) N이용율(利用率)은 Alluvial Colluvial (AC)>Alluvial (A)>Fluvomarine (FM)>Old Alluvial (OA)의 순(順)이고 K이용율(利用率)은 OA>AC>A>FM의 순(順)이다. 4. N이용율(利用率)은 토양단면(土壤斷面)의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적어지고 K와 P의 이용율(利用率)은 약간양호(若間良好)에서 높은 경향이고 불량(不良)이나 매우 양호(良好)의 편에서 낮은 경향이다. 5. N이용율(利用率)은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에서 가장높고 사질(砂質)로 갈수록 떨어지며 식질(埴質)에서도 낮으나 K와 P 이용율(利用率)은 식양질(埴壤質) 이하(以下)의 토성(土性)에서 높은 경향(傾向)이다. 6. N이용율(利用率)은 지산 극락 신답통에서 크고 화동 규암 용지 화봉에서 적었다. 7. N이용율(利用率)은 토양중(土壤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OM), Ca 및 CEC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이고 P이용율(利用率)이 높았던 해에만 P함량(含量)과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보였으며 P이용율(利用率)은 CEC, Mg 및 Ca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8. K이용율(利用率)은 그것이 적었던 해에는 K/(Ca+Mg), P, OM, K의 순(順)으로 부상관(負相關)을 Ca, Mg, CEC 순(順)으로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는데 K/(Ca+Mg)와만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K이용율(利用率)이 큰 해에는 P, OM, K/(Ca+Mg) K의 순(順)으로 정상관(正相關)을 CEC, Mg, Ca 순(順)으로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는네 P, OM, CEC 와만 유의성(有意性)을 갖는다. K이용율(利用率)이 컸던 해에만 토양중 K는 토양중 P 및 OM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갖는다. 9. 삼요소이용율(三要素利用率)과 pH는 유의성(有意性)은 없으나 부상관(負相關)이다. 10. OM은 P K 및 K/(Ca+Mg)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와는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P는 K, K/Ca+Mg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 및 CEC와 유의(有意) 부상관(負相關)을 K는 K/(Ca+Mg), Mg 및 CEC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K/(Ca+Mg)는 Ca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Mg 및 CEC와는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Ca는 Mg CEC 및 pH와, Mg는 CEC와 유의(有意)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11. 삼요소(三要素) 이용율(利用率)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상호간(相互間)의 관계에서 OM이 시비(施肥)N의 흡수(吸收)를 돕고 K흡수(吸收)는 K보다 K/(Ca+Mg)에 의(依)하여, P흡수(吸收)는 Mg에 의(依)하여 크게 영향받는 것을 알수있고 P와 K이용율(利用率)이 해에 따라 다른 원인(原因)이 부분적(部分的)으로 설명(說明)될 수 있었다.

  • PDF

Mg, Mg+5wt%.Ca, Mg+5wt%.Ca+1wt%.Zn 합금의 고온 산화 부식 연구 (High Temperature Oxidation Corrosion of Mg, Mg+5wt%.Ca, Mg+5wt%.Ca+1wt%.Zn alloys)

  • 지권용;박상환;박순용;김민정;정승부;이동복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127
    • /
    • 2015
  • 주방 상태의 Mg, Mg+5wt%.Ca, Mg+5wt%.Ca+1wt%.Zn 합금의 발화 실험 및 TGA를 통해 $450{\sim}600^{\circ}C$에서 고온산화실험을 실시하였다. Ca의 첨가로 내발화성 및 고온산화특성이 향상되었으며, Zn의 첨가는 내발화성과 고온산화특성 모두에 악영향을 미쳤다. 산화시킨 시편의 SEM/EDS, XRD, 및 TEM 분석을 통하여 고온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액체배양 버들송이 균사체의 칼슘흡수 및 생육특성 (Calcium Absorp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grocybe cylindracea Mycelia in Submerged Culture)

  • 박신;공지원;이경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9-423
    • /
    • 2008
  • 액체배양 버들송이 균사체의 생육과 칼슘 흡수에 미치는 칼슘원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칼슘원의 종류에 따른 균사체의 건물량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칼슘원의 농도에 따른 균사체의 건물량은 농도가 500mg/L까지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1,000mg/L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사체의 칼슘 함량은 칼슘원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칼슘원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구의 Ca 함량은 198.3 mg/kg이었는데 비해 칼슘을 첨가하고 배양한 경우 최소 273.7 mg/kg(1.4배)에서 최대 67,246.0 mg/kg(339.1배)까지 증가하였다. 칼슘원의 농도에 따른 균사체의 Ca 함량은 칼슘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사체의 Ca 함량도 증가하였다. 배양일수에 따른 균사체의 생육은 배양 8-12일 사이 균사체의 생육속도가 가장 높았으며 16일차까지도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배양일수에 따른 균사체의 Ca 함량은 배양기간이 짧은 어린 균사체의 경우 배양기간이 긴 성숙된 균사체에 비해 단위 건물량 당 Ca 함량이 높았다. pH에 따라서는 pH 7.0의 MCM 액체배지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Ca 함량도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칼슘 함량이 높은 버들송이 균사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체내 흡수율이 좋고 최근 식품의 칼슘첨가제로 많이 이용되는 Ca-lactate 1,000 mg/L를 첨가한 MCM 액체배지에서 pH 조정없이 배양하여 12-16일차의 균사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일부 농촌 성인 남녀의 칼슘, 인, 마그네슘의 섭취량, 혈액수준 및 소변중 배설량과 혈청지질수준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Dietary Intakes, Blood Levels, and Urinary Excretions of Ca, P, Mg and Serum Lipid Levels in Korean Rural Adult Men and Women)

  • 승정자;노숙령;김애정;최미경;이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9-715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intakes, blood levels, and urinary excretions of Ca, P, Mg and serum lipid levels in 30 healthy adults living area of Korea(12males and 18 females). Analyses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ere performed by 3-day dietary intake record, duplicated diet collection, 24-hours urine collection, and venous blood sampling before anthropometry. The mean daily intakes of Ca, P and Mg estimated for 3 days were 452.5$\pm$159.5mg, 725.6$\pm$ 567.8mg and 240.4$\pm$78.5mg an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Ca, P and Mg were 8.9$\pm$ 0.5mg / dl, 3.3$\pm$0.6mg / dl, and 2.1$\pm$0.8mg /dl, respectively. The 24-hour urinary excretions of Ca, P and Mg were 80.4$\pm$24.0mg, 399.0$\pm$161.1mg and 64.8$\pm$35.3mg, respectively.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were 158.8$\pm$32.9mg/dl, 95.6$\pm$43.9mg/dl, 45.7$\pm$9.9mg/dl and 92.2$\pm$ 28.5mg/dl, respectively. In the relation between Ca, P, Mg and serum lipids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Ca and HDL-cholesterol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5%.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igh level of Ca in serum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but the study verifies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studies.

  • PDF

Prohexadione-calcium 처리에 따른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Mature Apple Trees in Response to Prohexadione-calcium Treatments)

  • 사공동훈;송양익;박무용;권헌중;김목종;윤태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762-770
    • /
    • 2014
  • 본 시험은 prohexadione-calcium(Pro-Ca) 살포가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ro-Ca은 $100-400mg{\cdot}L^{-1}$ 농도로 정단신초 길이가 5-10cm 정도 생장한 낙화기에 1회 수관전체 살포하거나 혹은 100, 125, $150mg{\cdot}L^{-1}$ 농도로 낙화기와 낙화 후 4-8주 경에 2회 살포하였다. 일반적으로 Pro-Ca 처리는 평균 신초장을 감소시켰으며, 그 정도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였다. 무처리에 비해 Pro-Ca $400mg{\cdot}L^{-1}$ 처리는 평균 신초장을 15-22% 정도 감소시켰으나, Pro-Ca $200mg{\cdot}L^{-1}$ 처리와는 차이가 없었다. 신초의 2차 생장발생률은 Pro-Ca 처리구가 무처리보다 높았다. 무처리에 비해 Pro-Ca 처리는 광합성속도를 5-10% 정도 향상시켰고, 또한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착색을 증진시켰다. 그러나 $400mg{\cdot}L^{-1}$ 처리는 과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는데, 이는 Pro-Ca $400mg{\cdot}L^{-1}$ 처리구의 신초 2차 발생률이 무처리 및 Pro-Ca $200mg{\cdot}L^{-1}$ 처리구 보다 높았기 때문이었다.

Ca-Ma-Zn 합금계에서 비정질 형성능 및 특성 평가 (Glass Form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in Ca-Mg-Zn Alloy System)

  • 박은수;김원태;김도향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7-84
    • /
    • 2006
  • The effect of alloy composition on the glass forming ability (GFA) of the Ca-rich Ca-Mg-Zn alloys has been investigated in $Ca_{65}Mg_{5+x}Zn_{30-x}$ and $Ca_{55+x}Mg_{15}Zn_{30-x}$ (x=0, 5, 10, 15, 20) alloys. In a wide composition range of 15-25% Zn and 10-20% Mg bulk metallic glass (BMG) samples with the diameter larger than 6 mm are fabricated by conventional copper mold casting method in air atmosphere. Among the alloys investigated, the $Ca_{65}Mg_{15}Zn_{20}$ alloy exhibits the highest GFA enabling to form BMG sample with the diameter of at least 15 mm. The crystalline phase formed during solidification of $Ca_{65}Mg_{15}Zn_{20}$ ($D_{max}=15\;mm$) could be identified as a mixture of $Ca_3Zn$ and $CaMg_2$ cause by the redistribu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n long-range scale. The compressive fracture strength and fracture elongation of the $Ca_{65}Mg_{15}Zn_{20}$ BMG are 602 MPa and 2.08% respectively. The ${\sigma}$ parameter which has been recently proposed for evaluating GFA exhibits better correlation with GFA of Ca-Mg-Zn alloys than other parameters suggested so far such as ${\Delta}T_x$, $T_{rg}$, K, ${\gamma}$, and ${\Delta}T^*$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