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politan Regional Polic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7초

동남경제권 거버넌스와 지역발전 - 동남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 (Governance in Dongnam Region and Reg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Dongnam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 권오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0-460
    • /
    • 2015
  •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시행된 광역경제권 사업은 적어도 동남권의 경우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 사업이 얼마나 성과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적지 않다. 그간의 동남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의 사업, 실적 등을 살펴 보건대 광역적 거버넌스 체계로서 성과가 매우 미흡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동남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독자적인 인력을 거의 확보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가용 예산이 미미하고 권한도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한계는 그것의 성격과 기능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그 결과 정권이 교체되면서 전국적으로 광역위원회는 폐지되고 말았다. 향후에도 동남권은 광역경제권의 수준에 부합하는 광역적 거버넌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신설될 기관의 주요 기능으로는 동남광역경제권에 대한 조사, 연구기능과 광역적 발전전략의 제안, 권고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지역경제 및 도시 문제에 대한 조사 연구센터를 설치하여 지역의 경제적 상황을 상시적,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현안 과제를 도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기관의 벤치마킹 모델로는 네덜란드의 레지오 란트스타트가 주목되는데, 란트스타트는 동남권의 도시체계 및 광역경제권과 유사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비교적 최근에 중앙정부에 의해 설립된 레지오-란트스타트는 행정구역을 넘어선 광역적 협력과 지역발전을 위한 연구 기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 PDF

우리나라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임금결정과정과 소득격차 (Wage Determination Process and Income Disparity in Korean Metropolitan Cities)

  • 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7-207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대도시의 노동시장을 사례로, 지역노동시장이 갖는 지역성을 임금결정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외환위기이후 주목을 받기 시작한 대도시내 실업과 같은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계층간의 사회적 분극화는 별개의 현상이 아니며 대도시내 노동시장과정을 통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임금결정과정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전체적으로 고학력 및 고기능 사무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상승효과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는 대도시에서 산업재구조화와 정보기술의 보급에 따른 노동시장의 수요변화와 맞물리면서 기술적.공간적 불일치에 의한 구조적 실업의 양산과 직종간의 임금격차를 유발하게 되는 것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또한 임금결정과정에 기초한 노동시장과정은 뚜렷한 지역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별 광역시 노동시장내 임금결정과정과 그것이 갖는 소득변화에 대한 영향은 특정 노동시장의 특성, 즉 노동시장의 공급 및 수요구조, 산업구조 및 실업변화 등에 기초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이 바로 지역정책으로서 노동시장정책이 올바로 정립되어야 하는 이유이며, 이는 바로 노동시장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Regional Differences in Access to Clinical Trials for Cancer in Korea

  • Kim, Woorim;Jang, Seongkyeong;Chang, Yoon Jung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21
  • Purpose: The ability to access clinical trials for cancer treatment is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gional differences exist in oncologic clinical trial protocols conducted in South Korea. Methods: Records of all approved oncologic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2019 were download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study covered Seoul, the capital area, other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ial areas. Descriptive statistics summariz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linical trials by region. Results: A total of 202 oncologic clinical trials were conducted in 63 institutions in 2019. Of these protocols, 186 (92%) were available in Seoul, 120 (59%) in the capital area, 64 (32%) in metropolitan cities, and 66 (33%) in provincial areas. More regional differences in protocol availability were observed in domestic trials, investigator-initiated trials, phase 1 and 2 trials, and smaller-scale trials. Conclusion: Most oncologic clinical trials were conducted in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with the rest conducted in the capital area,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ial areas. The findings reveal clear differences in protocol availability between Seoul and the other regions.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geographical access to oncologic clinical trials may be needed given their growing importance in cancer treatment.

지역균형 발전과 농촌 지역사회개발정책 (A Study on the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김태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2호
    • /
    • pp.233-246
    • /
    • 1996
  • Reviewing the meaning aid task of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a examines the causes of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relation to the urbanization process, probes the concept, principle and necessity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d suggests th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Since 1960's, Korea has pursued a growth-oriented economic policy. The focus on the aggregated growth, however, has resulted bo invite some regional dispar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regional disparity problems were quite a large rural areas compared with urban areas relatively.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overcrowding (or overconcentration) phenomena of urban(or metropolitan) areas. The urban-biased policy is the primary cause of the deepening regional imbalance structur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inter-regions equitable and well-balanced development is one of the national policy issues by which the government is confronted, since the issue is closely related with national quality of life. Main thre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were 'the new paradigm of development policy' , 'local-oriented policy' and 'human-oriented policy'.

  • PDF

지역산업정책의 패러다임에 대한 재검토와 대안적 정책방안 모색: 대구광역시 지역산업정책을 사례로 (Reviewing the Paradigm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Korea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s: The case of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이철우;박경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4-279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산업정책의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 기반하여, 대구광역시의 지역산업정책을 사례로 문제점과 대안적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대구광역시 산업정책은 우리나라 지역산업정책의 제도적 한계로 중앙정부 주도산업정책의 일부로 수립 집행 되고 있다. 그 결과 지역정책이 아닌 대구광역시 전역을 대상지역으로 하는 부문별 정책의 일환으로 기획되고 추진되어 왔으며 대구광역시의 타 부문별 정책과의 연계성이 미흡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산업정책의 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고 정책수단도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 지역산업정책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제로 한 대안적 패러다임의 정립이 요구된다. 그리고 지역산업정책의 핵심적 정책수단인 대상지역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들 대상지역의 부문별 수단들을 조합하는 '장소기반적 정책'으로 수립 추진되어야 한다.

  • PDF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Place-based Policy and Urban Poverty: An Analysis of Employment Mismatch and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 이원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1-56
    • /
    • 2016
  • 본 논문은 도시빈곤 이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동시장과정으로서 일자리 및 공간적 미스매치의 실태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장소기반 노동시장적 개입이 고려해야 하는 지역노동시장의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성과로서 실업률의 변화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불균형과 다양한 근로조건에 따른 미스매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한 결정과정도 지역노동시장에 따라 차별적임을 고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도시 고용 교외화 과정 속에서 공간적 미스매치가 인적자본 요구 수준과 취업기회의 산업선택적 특성을 통해 노동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점도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 과정은 개별 지역노동시장 내에서 고유한 과정을 통해 작동하는 바, 도시빈곤과 일자리 미스매치 등 노동시장 과정을 연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노동시장적 개입을 추진함에 있어 노동시장의 장소성에 기반한 장소기반 정책이 필요하다.

  • PDF

육상운송산업 성장의 광역권 경제성장에 대한 효과 분석 (Effect of Land Transport Industry Growth on Economic Growth in Korean Metropolitan Regions)

  • 최봉호
    • 무역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77-39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growth of the land transportation industry on economic growt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s metropolitan region policy. The effect of each metropolitan region on the integrated region where each metropolitan region is integrated is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region where each metropolitan region was integrated with the Southeast region and the Daegyeong region had the greatest economic growth effect due to the growth of the land transportation industry in terms of value added, but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region with the Chungcheong region was the least. In the case of capital such as roads, the integrated metropolitan regions with the Chungcheong region showed the greatest economic effect. However, the impact of the integrated regions with Jeolla reg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s in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ergy effect of metropolitan regional integration by spillover effect such as network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and transportation industry policy.

Rethinking Path Dependency and Regional Innovation - Policy Induced 'Government Dependency': The Case of Daedeok, South Korea

  • Lee, Taek-Ku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92-106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behaviours of high-tech start-up firms in response to the policy interventions undertaken to promote regional innovation in South Korea since 1997. High-tech start-ups and their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ly consider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generation of inno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started from a basic concern of why government interven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an increase of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explain this concern, we constructed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ment dependency' and apply this to 'Daedeok,'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reproduction of path dependency as an impact induced by innovation policy. This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emodeling path dependency approaches through a systemic and interactive lens. An empirical study used qualitative interviews of start-up founders to delineate the emergence of a new development path and the extent to which dependency was reproduced in the Daedeok regional innovation system. Empirical analysis suggested that 'reliance' and 'persistence' were the crucial factors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government dependency. Some firms accepted dependency as reliance, but others regarded it as policy utilization. Thus, a critical juncture could not be clearly identified in actors' behaviour. It was also unclear if dependency had hindered innovation, but it was shown tha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strongly influenced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struct of government dependency can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policy learning as well as the success of government interventions.

서울특별시 및 6대 광역시 디지털 브랜드 슬로건 홍보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의식수준 연구 (A study on Citizens Awareness Level of Seoul and 6Metropolitan's Digital Brand Slogan Promotion Policy)

  • 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9-142
    • /
    • 2014
  •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면서 대부분의 도시들이 지역 브랜드화 정책에 발맞추어 지방경제를 활성화하고 경쟁력있는 명품도시를 만들기 위해 일제히 디지털 홍보정책으로 브랜드 슬로건(Brand slogan)을 내 걸었다. 무한 경쟁시대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속적인 디지털 브랜드 홍보정책을 펼쳐온 결과, 지역 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지역별 특성의 반영이나 차별화된 아이덴티티(Identity) 디자인이 아쉽다는 의견이 7개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전국 6개 광역시 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 정책에 대한 지역 시민들의 의식수준을 분석하여 도시브랜드 슬로건 디지털 홍보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연구로, 추후 우리나라 도시브랜드 슬로건 개발 및 디지털 홍보 관리 정책에 일조할 것이다.

통행구조로 본 서울대도시권 교통정책의 과제 (Trip and Transportation Structur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원영
    • 지역연구
    • /
    • 제10권2호
    • /
    • pp.105-121
    • /
    • 1994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rip and transportation structure of Seoul Metropolitan Area(SMA) where has been experiencing the rapid growth and the extra-concentration in the recent 2∼3 decades. By analyzing the trip and transportation structure which reveals the frame of travel flow phenomena on the real space, this paper evaluates the transporation policy realized in SMA for the last 10∼15 year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The activities and the daily travel movement of SMA have been larger and more complex rapidly, but the transportation policy bas been poor. 2. The distribution of commuter's origins and destinatinos have been getting wid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me and the workplace longer. In short, the land use policy, the industrial policy, and housing policy have failed, and the coordination of those policies has been very poor. 3. The multi-center spatial structure was the official policy. Indeed, SMA has been reorgnized in such a way. But the implementation strategy was very poor. 4. Now, the for-business travels closely related with the multi-center structure,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rapidly. It is required that the strategic policy of mulit-center structure and the transportation policy should be coordinated. And as soon as possible, the more powerful mass transit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