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politan Area

검색결과 3,514건 처리시간 0.039초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Status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Each Metropolitan City by Citizens in the Jurisdiction Area and out of the Jurisdiction Area with the Use of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 Choi, Jae-si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121-129
    • /
    • 2019
  • We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upply & demand policy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six metropolitan cities in the whole nation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when the utilization rate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by citizents out of the jurisdiction area was lower, the overall demand for cremation was high. Therefore, the supply & demand policy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should be carried forward by preferentially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4.1%) and Daegu Metropolitan City(17.9%) with low utilization rate by citizens out of the jurisdiction area. Second, the utilization variance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the whole six metropolitan cities in the whole nation, was insignificant(1.4%). Therefore, for the efficiency of supply & demand policy of cremation facilities in those six metropolitan cities, the customized-poli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ropolitan city should be carried forward in priority. Third, on the basis of 2018, the population size of those six metropolitan cities in the whole nation is from minimum 1.15million to maximum 3.39million as a large city, and relatively, they are facing many difficulties in the expansion for supply & demand of cremation facilities. Therefore, for the smooth construction of cremation fac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enforce policies that could disperse the demand for cremation through the joint construction of cremation facilities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close to each metropolitan city.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Charaterization of C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Cluster Analysis)

  • 송민경;장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88
    • /
    • 2010
  • 본 논문은 수도권 내 지역을 도시적 특성에 따라 군집 분석하여 수도권의 지역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를 위해 2005년을 시점으로 도시의 구성요소인 인구, 활동, 토지 및 시설을 나타내는 지표 10가지를 선정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통해 변수들의 공통된 특성이나 유사한 성질에 따라 공통인자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인자에 대한 인자득점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행하였고, 군집분석의 방법은 계층적 군집방법인 최단연결법, 최장연결법, 평균연결법, 와드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을 5개의 군집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부산 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Commuting Area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구동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33-54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2000~2010년 사이에 부산 대도시권의 통근권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계성 지표를 사용하여 부산 대도시권을 설정한 후,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부산 대도시권의 통근권 변화를 분석하였다. 부산 대도시권의 통근권은 동부산권, 서부산권, 김해 창원권, 울산권 등 4개로 구분되었다. 서부산 지역의 통근권은 축소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강서구 북구 사상구와 김해 창원 지역의 통근연계구조는 강화되고 있다. 이는 서부산을 출발지로, 김해 창원을 도착지로 하는 역통근 통행이 증가한 결과이다. 울산 지역은 부산 대도시권 내에서 독립된 통근권을 형성하고 있다.

  • PDF

한국 도시의 환경효율성과 오염물 잠재가격 비교 (Comparison of Environmental Efficiencies and Shadow Prices of Pollutants in Korean Cities)

  • 강상목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8-4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를 대상으로 오염물별 효율성과 잠재가격을 측정함으로써 도시별로 오염처리 부담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특히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로 나누어서 오염물의 잠재가격을 비교한다. 1999-2005년간 수도권 도시의 오염 한단위의 연평균 잠재가격은 질산화물 0.846, 황산화물 0.318, PM10 0.816이다. 동 기간 비수도권의 동일한 세 가지 오염물 한 단위당 잠재가격은 연평균 0.848, 0.272, 0.789로 나타났다.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간에 질산화물의 잠재가격은 비슷한 반면 황산화물과 PM10의 잠재가격은 수도권 도시가 더 높다. 질산화물 배출량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무관하게 교통수단과 관련된 이동오염원이 전국적으로 증가하므로 차이가 없다. 다른 두 오염물에서는 수도권 도시의 오염잠재가격이 높은 것은 수도권의 환경규제가 강하고 상대적으로 산출물 증가에 비하여 오염저감량이 많아서 오염물 배출이 작은 업종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영역의 우하향 영역에 위치한 도시들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변화와 도시의 에너지 소비패턴, 생활공간의 배치에 대한 재검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저감노력이 필요하다.

  • PDF

백령도와 수도권의 황사 수송 시간과 바람장 분석 (Analysis of Asian Dust Transportation Time and Wind Farm in Baengnyeongdo Island and the Metropolitan Area)

  • 조원기;강동환;박경덕;양민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5-533
    • /
    • 2022
  • Baengnyeongdo, located within the Asian dust stream, is an ideal place to analyze Asian dust moving into the West Sea due to its low emission of artificial pollutants. Baengnyeongdo is being used to analyz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dust from the lower atmosphere to the upper layer through remote observ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ound concentration of dust between Baengnyeongdo and the metropolitan area, estimated the lag time of transport of Asian dust from Baengnyeongdo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examined the homogeneity of upper winds using the rawinsond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and the lag time was shorter for each observation station when the distance from Baengnyeongdo was shorter. The upper wind at Baengnyeongdo is dominated by the west/northwest wind. It is the basis for the correlation of dust concentration between Baengnyeongdo and the metropolitan area located to the east. In the future, upper wind data and Asian dust concentration data over the West Sea and Baengnyeongdo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earch related to the movement and prediction of Asian dust and preparation for Asian dust in the metropolitan area.

수도권 농촌의 기능 변화와 지역구조 (Changing Rurality of the Countrys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조영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1호
    • /
    • pp.139-159
    • /
    • 2004
  • Since 1990s, the countrysid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exposed to the unprecedented forces like develop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boom of exurban housing, increasing concern about food quality. While these new forces are restructuring the social and spatial pattern of countryside, a legal regulation can be assumed as exerting an overarching moulding power. This paper shows how the legal regulation works in the restructuring rurality.

  • PDF

GTX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국외사례를 통한 국내 적용성 검토 (The Study on Domestic Applicability through Overseas Cases for Efficient Operation of GTX)

  • 위정수;김현성;박민주;박정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5-755
    • /
    • 2010
  • GTX(Great Train Express), the wide area express train of a big city center of metropolitan area, is the best new transportation method able to realize 'Low Carbon Green Growth' for solving traffic conges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 connection the metropolitan area into 40-minute life zone by speeding up the standardized velocity, making the route straight and reducing the compensation of land using the space of 40~50m below the ground.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ll over the world, if it turned in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cusing on the train at a point of time that low carbon green revolution takes the initiative, national competitiveness would be enhanced by reducing the emission of carbon from cars by 1/6.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icient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GTX construction superintended by currently Gyeonggi province and to consider the optimum operation plan of GTX that are proper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country by comparatively analyzing overseas cases that took their positions as new transportation by curtailment of transit time through highspeed such as London area, Paris area, and Tokyo area etc that are similar to Korean metropolitan area.

  • PDF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The Concentrations of Ambient VOCs at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 김은경;송희봉;박민숙;임종기;권종대;최수진;박수경;한개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498-505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산단지역 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단지역은 비산단지역에 비해 톨루엔, 에틸벤젠, m,p-자일렌, o-자일렌 순으로 높은 농도차를 보였고, 벤젠과 클로로포름은 지역별로 뚜렷한 농도차가 없었다. 측정계절별로는 산단지역은 하고동저형을 보였다. 특히 화학물질 사용 영향으로 인해 산단지역은 측정요일별로는 평일이 휴일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측정시간대별로는 가동시간을 포함한 오전, 오후 시간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VOCs 물질간의 상관성은 산단지역이 비산단지역에 비해 유의한 상관이 많았고, 기상인자와는 풍속이 VOCs와 음의 상관을 보였다.

부산지역 미세먼지 최근 경향 분석 - 수도권과 비교연구 (I) (Analysis of Recent Trends of Particulate Matter Observed in Busan - Comparative Study on Busan vs. Seoul Metropolitan Area (I))

  • 김종민;조유진;양금희;허국영;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7-189
    • /
    • 2020
  • We analyzed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PM) including PM10 (PM with diameter of less than 10 ㎛) and PM2.5 (PM with diameter of less than 2.5 ㎛) observed in Busan metropolitan area,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measur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analysis includes the monthly,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emiss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observed in both Busan and Seoul areas.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t the time when high PM concentrations occurred in each of the two areas. The results showed clearly decreasing trends of annual mean concentrations with strong seasonal variations: lower in summer and higher in winter in both areas. In comparison with Seoul, the seasonal variation in Busan demonstrated relatively lower, but showed greater summer fluctuations th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is implying the importance of secondary generation of PM in summer via active photochemical reaction in Busan area. In high concentration days, Busan's chemical composition of sulfate was higher than that of nitrate in summer, whereas nitrate was higher than sulfate in Seoul. The ratios of NO3- to SO42-(N/S ratio) showed lower in Busan approximately by a factor of 1/2(half of N/S ratio) in Busan compared with that in Seoul. Others such as synoptic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differenc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광역도시계획을 고려한 수도권 도시 성장주기 분석 (An Analysis of Urban Spatial Cycles Considering Wide Area City Pl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임영진;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48-3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인구를 분석하여 도시 성장주기 변화를 밝히고, 각 권역별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일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도시 성장주기 방법론인 ROXY 지수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중부지역, 남부지역, 수도권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집중화 가속단계로 옮겨가려 하고 있으며, 교외화 단계에서 새로운 단계인 도심회귀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외지역인 북부지역과 동부지역에서는 현재 탈중심화 가속단계로 진행되었고 앞으로 탈집중화 감속단계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수도권에서도 도시순환주기의 변화방향과 속도를 연계해 지역정비에 관한 정책대응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기적인 수도권의 성장 및 쇠퇴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