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nvironmental Efficiencies and Shadow Prices of Pollutants in Korean Cities

한국 도시의 환경효율성과 오염물 잠재가격 비교

  • 강상목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7.22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levels of cost burden in pollution treatment by measuring efficiencies and shadow prices by pollutants in Korean cities. The efficiencies and shadow prices of pollutants will be compared for cities divided by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 Annual shadow prices of NOx, SOx, and PM10 emissions in the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re 0.846, 0.318, 0.816, respectively for 1999-2005. The annual shadow prices in the cities of Non-Seoul metropolitan area are 0.848, 0.272, and 0.789, respectively over the same periods. The shadow prices of SOx showed similar levels between two areas but those of NOx and PM10 of c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higher. NOx emission quantities of both areas have similar increasing patterns because the NOx has mainly increased with augmentation of transportation regardless of Seoul metropolitan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s. It seems that the reason the shadow prices of two pollutants for the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re higher, is because environmental regulation is stronger in the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relatively show higher quantities of pollution reduction under given desirable outputs, and generally have industrial sectors with small pollution emission. In the future we need to reduce pollutants in the various respects such as adjustment of overall industry structure, energy consumption pattern, and reviews of arrangement of living space for the cities located on the downward-sloping segment of production fronti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를 대상으로 오염물별 효율성과 잠재가격을 측정함으로써 도시별로 오염처리 부담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특히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로 나누어서 오염물의 잠재가격을 비교한다. 1999-2005년간 수도권 도시의 오염 한단위의 연평균 잠재가격은 질산화물 0.846, 황산화물 0.318, PM10 0.816이다. 동 기간 비수도권의 동일한 세 가지 오염물 한 단위당 잠재가격은 연평균 0.848, 0.272, 0.789로 나타났다.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간에 질산화물의 잠재가격은 비슷한 반면 황산화물과 PM10의 잠재가격은 수도권 도시가 더 높다. 질산화물 배출량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무관하게 교통수단과 관련된 이동오염원이 전국적으로 증가하므로 차이가 없다. 다른 두 오염물에서는 수도권 도시의 오염잠재가격이 높은 것은 수도권의 환경규제가 강하고 상대적으로 산출물 증가에 비하여 오염저감량이 많아서 오염물 배출이 작은 업종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영역의 우하향 영역에 위치한 도시들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변화와 도시의 에너지 소비패턴, 생활공간의 배치에 대한 재검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저감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