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ro Station Are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Analysis of Multiple Network Accessibilities and Commercial Space Use in Metro Station Areas: An Empirical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 Zhang, Lingzhu;Zhuang, Y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19
  •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hanghai Metro network,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an analytical approach to evaluate the impact of multiple transport network accessibilities on commercial space use in metro station areas. Ten well-developed metro station areas in central Shanghai are selected as samples. Commercial space floor area and visitors in these areas are collected. Using ArcGIS and Spatial Design Network Analysis, the Shanghai Metro network and road network are modeled to compute diversified transport accessibilities. Evidence from land use and commercial space floor area within a 0-to-500-meter buffer zone of stations is consistent with location and land-use theory: commercial land use is concentrated closer to stations. Correlation analysis suggests that hourly visitors to the shopping mall are mainly influenced by metro network accessibility, while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are affected by both metro and pedestrian accessibility.

Exploring Synergistic Effect in Metro Station Areas: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 Zhuang, Yu;Zhang, Lingzh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05-115
    • /
    • 2016
  •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ustainable development, major cities in China are expanding metro systems as a strategy to reduce the negative environmental and social consequences of fast-paced motorization. A metro station is not only a transportation node, but also a place where divers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the spatial potential for human interaction is the essence of the strategy for integrated development in metro station areas. For this paper, 10 well-developed metro stations in Central Shanghai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spatial performance in station areas. The spatial performance in station area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metro configuration. However, both vehicle and pedestrian accessibility show weak influence on spatial performance. A synergistic model was then developed to provide quantitative support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metro station areas.

Classification of Metro Station Areas Using Multi-Source Big Data: Case Studies in Beijing

  • Shuo Chen;Xiangyu L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3-74
    • /
    • 2023
  • Large-capacit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represented by urban metro lines, are the key to alleviating the significant increase in urbanization and motorization in China. But to improve the agglomeration effect of metro stations in a more accurate and targeted way requires scientific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surrounding areas of metro stations. As spatial and functional design are the core factors for urban renewal design, this study took Beijing as an example, using multi-source data to evaluate the morphology and functional composition surrounding areas of metro stations, and the Boston Consulting Group (BCG) matrix was used to classify and characterize each type of surrounding areas from morphological-functional dimensions. I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of the mix-use index with the floor area ratio, and only about 20% of the areas achieve the ideal situation of high construction intensity with high mix-use diversity. Hoping to provide a reference for city managers and designers in dealing with the surrounding metro stations with different construction intensities in a more precise way.

스마트폰 보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의 역세권 이용실태 분석 - "WalkOn" APP의 서울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 (Analysis of Elderly's Walking Patterns near Metro-stations in Seoul by Using Smartphone Pedestrian Movement Data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WalkOn" App Big Data -)

  • 이선재;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29-1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living area of the elderly using the vast amount of travel route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phones. In order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elderly into the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was typed based on the number and ratio of the elderly visiting and the elderly living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of the subway station a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alking route data for the three types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s where the elderly visit and live. First, we derive the range of visiting area and living area of the elderly near the subway station. Second, we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distance which causes the linked walking of the elderly. Third, destination distribution and facility utilization are influenced by the subject of use, movement pattern, and facility awareness.

도시철도 정거장의 구조형태에 따른 전력원단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the power dens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forms of the urban railway stations)

  • 정현기;김세동;채희석;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42-47
    • /
    • 2014
  • The urban railway station is a structure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 energy. Thus, the rationalization of using electric power is acutely demanded, but statistical data and design criteria that consider operating power load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are very insu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at electricity consumption a year, characteristics, gross floor area of the station, structure, and etc, on the basis of Seoul metro station 1~4 lin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ory, we verified the overall features and the main tendency by analysis of specific parameter value(average, maximum, minimum, etc).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power density considering structure of the urban railway station, managing electric energy for the rationalization and setting a new standard of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대중교통 card data를 이용한 통행행태 분석(지하철역 하차후 환승 버스 이용자 중심으로) (Analysis of Public Transport Travel Behavior by using Transport Card Data)

  • 김대성;엄진기;문대섭;최명훈;송지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3-452
    • /
    • 2011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행태를 분석한다. 통행행태 분석을 위해 토지 이용방식에 따라 공간적 범위를 주거지역, 업무지역, 쇼핑지역 등 세 종류로 분류하였다. 각 역별 환승 비율 분석 결과 주거지역이 쇼핑지구와 업무지구에 비해 환승 비율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마을버스 보다 지선버스 및 간선버스의 통행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쇼핑지구와 업무지구의 간선 버스 및 기타 버스의 통행 비율이 마을버스 및 지선 버스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토지이용별로 버스 수단 이용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행거리는 일반적으로 사용 되어온 400m와 유사한 300m ~ 400m가 최대 보행거리로 분석 되었으며, 일반인보다 청소년의 최대 보행거리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상조건과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Weather Condi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Sharing System)

  • 이장호;정경옥;신희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8
    • /
    • 201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공공자전거 도입과 운영을 위하여 기상조건과 스테이션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수요 및 이용패턴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고양시 공공자전거 대여자료를 가지고 선형회귀분석방법을 통해 시간대별 대여량 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상조건에 따른 영향은 평균 기온이 상승할수록 대여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수량이 10mm 이상 되거나, 평균기온이 29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풍속이 7m/s 이상 되는 경우에 대여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지특성에 따른 영향은 새벽시간대는 유흥가가 위치한 중심상업지역이, 낮 시간대에는 공원지역과 중심 및 일반상업 지역의 대여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교시간대는 학교인근 스테이션의 대여량이 증가하고, 퇴근시간대는 지하철역 인근의 대여량이 두드러지게 높아진다. 심야시간대에는 공원지역에서의 대여량이 두드러졌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철도역 영향권 산정 연구 (Analysis of Catchment Area of Seoul Metropolitan Express Train)

  • Lee, Jang-Ho;Lee, Inhee;Jin, Woo-J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9-60
    • /
    • 2014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추진에 따라 해당 사업의 수요분석에 있어서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특성에 부합하는 철도역 영향권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접근통행 실태조사를 통해 노선의 특성 및 접근수단에 따라 영향권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광역급행철도를 별도의 수단으로 하는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고 수단별 접근시간 모수추정치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급행철도의 영향권이 기존 광역도시철도에 비해 2.5배 가량 확대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수요분석에 있어서 10% 이상의 차이를 낼 수 있어서 향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합리적 수요분석을 위해서는 확대된 영향권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보행류 기반 도시철도역사 평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대피 시나리오 분석 (An Analysis on Evacuation Scenario at Metro-stations using Pedestrian Movement-based Simulation Model)

  • 유소영;정래혁;정진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6-49
    • /
    • 2016
  • 도시 철도는 도시 광역권 교통수단으로, 주요 노선들이 만나는 환승역사의 경우, 역사내 보행 통행시 극심한 혼잡을 야기하며, 승강장 내 교통약자를 포함한 이용객들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게 나타난다. 반영구적 도시교통 기반시설로의 도시철도역사는 초기 건설 당시 장기 이용 수요 예측을 실시하지만, 향후 신설 노선 및 환승(예정)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건설완료 이후 토지이용계획이 급변할 경우, 예측 수요와 실제 수요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확장이 제한적이고 대규모 추가공사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도시철도 역사가 지닌 물리적 특성 및 이용자 요구에 따라 효율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 구조, 이동 동선 등 물리적 요소와 시시각각 변하는 도시철도 내 이용수요 등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효과분석이 가능한 도시철도역사 평가용 시뮬레이터 핵심 모형을 소개하고, 해당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사당역 대피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뮬레이터 활용하여 유사상황 발생시 입체 공간 상에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다수의 대피 경로 탐색이 용이하였으며, 사당역의 경우, 대피경로 정보제공을 통해 기존 대비 약 60% 대피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하루 시간대별 이용 빈도에 의해 구분된 역 집단과 통행자의 통행 연쇄 패턴 간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Patterns of Passenger Ridership and Passenger Trip Chains on the Metropolitan Seoul Metro System)

  • 이금숙;박종수;김호성;조창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92-608
    • /
    • 2010
  •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이용에서의 통행 연쇄 패턴으로 구분한 이용자 집단 특성과 총 이용 빈도 및 시간대 별 이용빈도로 구분한 역 집단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역 이용의 일반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도 6월 하루 동안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전체 357개 역을 이용한 274만여 명의 역 이용지를 11개 통행 연쇄 패턴으로 구분하고, 이 중 2통행 수 이하의 단순 통행 5개 패턴에 해당하는 240만여 명의 통행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객 수 및 시간대 별 출발 및 도착 비율에 근거하여 4개의 역 집단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역 집단 간에는 계층적 구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루 동안의 역 이용 빈도가 역 집단 별로 일관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모든 이용자 집단에 있어 동일하나, 시간대 별 이용 비율은 역 이용자의 최초 통행의 도착역이 최종 통행의 출발역과 같은가 여부, 최초 통행의 출발역이 최종 통행의 도착역과 같은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