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orchis orientali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낙동강 하류산 참붕어의 Metorchis orientalis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Pseudorasbora parva collected from the Sunam stream with metacercariae of Metorchis orientalis)

  • 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311-313
    • /
    • 1991
  • 1990년 1월에 낙동강 하류의 선암천에서 채집한 참붕어에서 Metorchis orientalis의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참붕어 60마리에시 총 3,885개 (평균 65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며, 어체 크기 별로는 80∼90mm 군에서 어체담 평균 143yf, 70∼79mm 군에서는 평균 54개, 60∼69mm 군에서는 평균 23개, 50∼59mm 군에서는 평균 40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피낭유충은 타원형 또는 인형에 가까운 타원형이었으며 (평균 175.3×155.4㎛), 두꺼운 낭벽(평균 13.1㎛) 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 낙동강 하류의 선암천에서 참붕어를 제 2 중간숙주로 하여 M. orientalis의 생활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 Nam, Hae-Seon;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8권1호
    • /
    • pp.37-39
    • /
    • 2000
  • Many Koreans usually eat raw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in the win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pond smelts from January 1998 through February 1999. Among 1,305 fish collected, 459 were purchased from wholesale dealers in Chinchon-gun, Chungchongbuk-do, and the rest of them were caught with a casting net in Soyangho (Lake), Taehoman (Bay) and Paekkokchosuchi(Pond). Seven species of trematode metacercariae including two unidentified ones were detected from 1,305 pond smelts. The number of detected trematode metacercariae according to the species are as follow: Clonorchis sinensis 8, Holostephanus nipponicus 7, Cyathocotvle orientalis 24, DipLostomum sp. 14, and Metorchis orientalis 7.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H. olidus plays a role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some kinds of trematode including C. sinensis in Korea. Our report shows possible clonorchiasis caused by eating raw pond smelts.

  • PDF

Metorchis orientalis의 병아리내 성장발육 및 성충의 형태 (Growth and development of Metorchis orientalis in chicks and its adult morphology)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37-244
    • /
    • 1992
  • Meterchis orientalis의 병아리 숙주내 감염력 및 성장발육상을 알아 보고 성충의 형태학 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참붕어로부터 분리 수집한 피리유충을 부화된지 3일된 병아리 40마리에 각각 100개씩 경구감염시킨 후 1.5, 3, 5, 7, 9, 11, 14일 및 21일에 충체를 누수하여 고정, 염색, 탈수 및 봉입 등의 과정을 거친 다음 관찰 및 계측하였다. 총체는 모두 병아리의 담낭에서 발견되었으며 평균 32U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감염 후 9일까지는 비교적 완만히 성장하였으나 9일에서 11일 사이에는 급속히 성장하였고 11일에서 14일 사이에 다시 성장이 둔화하였으며 21일에 회수한 충체는 14일된 충체보다 크기가 작았다. 감염 후 1.5일파 5일에 요수한 충체에서는 비생식기관과 생식원기가 관찰되었고 5일된 충체에서는 비정형적인 난락와 엽상의 고구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차차 발육하여 감염 후 11일에 회수한 충체들은 완전히 성숙하였다. 성숙한 충체는 나뭇잎 모양이었으며 1∼3굽이의 저정낭, 타원형의 난소, 주머니 모양의 수정낭,517엽의 고환 및 소포형의 난황선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 충란은 평균 31.gx15.Sum 크기이었고 최대 폭이 가운데 지점에 있었으며 난개 반대편의 난각이 비후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병아리가 M orienta비의 새로운 숙주로 추가되었고 이 흡충이 병아리 내에서 감염 후 21일까지 sigmoid형으로 성장하며 성충이 되기까지는 l1일 정도가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남 태화강에서 채집된 담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Iresh-water fish in River Taewha, Kyongnam Province)

  • 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63-274
    • /
    • 1988
  • 1988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경남 청주군의 서북부와 남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태백산맥의 남쪽 끝에 형성된 가지산, 신불산 등에서 기원하여, 청주군과 청주시를 외류한 후 충주호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태화강에서 투망, 낚시 등으로 담수어와 반함수어를 채집하여 어체 부위별로 각종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를 주(1980)의 조사성적과 비교하였다.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는 붕어, 꼬치동자개, 꺽지, 잉어, 몰개, 긴몰개, 파랑볼우럭, 버들치, 납지리, 모래 무지, 참붕어, 돌고기, 흰줄납줄개, 피래미, 갈겨니 및 은어의 16종이었다. 채집된 16종 어류에서 7종의 피낭유충(Clonorchis sinensis, Cyathocotyle orientalis, Echinochasmus sp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agonimus yohogawai, Exorchis oviformis 및 Metorchis orientalis)과 4종의 소속미정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인체에 기생하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7종의 담수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그 기생률은 1980년 주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높았으나, 기생정도에 있어서는 3종의 어류(꼬치동자개, 몰개, 돌고기)에서는 1980연에 비해 낮았으며, 납지리에서는 높았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률은 5종의 담수어(붕어, 몰개, 납지리, 봉치동자개, 파랑볼우럭)에서는 낮았으나, 돌고기, 피래미, 갈겨니에서는 그 율이 높았고, 은어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 정도는 1980연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은어에서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Cythocotyle orientalis, Echinochtl'smus sp., Exorchis owiformis, 및 _Metacercaria hasegawai 피낭유충의 기생율은 어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해 높았다. 비늘, 지느러미 및 꼬리에서의 피낭유충 기생율은 변동이 심하여, 비교할 수 없었으나,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기생율은 일반적으로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에 있어서 간흡충을 비롯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률은 아직도 높으나, 그 기생 정도는 1980연에 비해 어종별로 심한 변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북(慶北)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된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 (Changing Patterns of Infect ions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 in River Taega,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 주경화;김태형;주종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61-179
    • /
    • 2001
  • 성주(星州)댐(1994년(年) 담수(潭水) 시작(始作))이 건설(建設)되고,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서 채집(採集)되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기생상(寄生狀)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기 위해 1998년(年) 10월(月)부터 2000년 9월(月)까지 대가천(大駕川)의 상(上), 중(中), 하류(下流)5개처(個處)에서 투망(投網), 낚시, 사발모지 등(等)으로 담수어(淡水魚)를 채집(採集)하였다. 채집(採集)된 어류(魚類)는어종별(魚種別)로 분류(分類)한다음, 어체부위별(魚體部位別)로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을 조사(調査)함과 동시(同時)에 신선(新鮮)한 어육(魚肉)1g 당피낭유충수(當被囊幼蟲數)를 계산(計算)하여 감염도(感染度)를 추정(推定)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結果)를 Lee(1993)의 조사성적(調査成績)과 비교(比較)하였다. 6과(科) 19종(種)의 어류(魚類)에서 8정(種)의 흡충류피낭유충(吸蟲類被囊幼蟲), 즉 간흡충(肝吸蟲), Centrocestus armatus, Cyathocotyle orientalis, Exorchis oviformis, Metagonimus sp 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orchis orientalis, Clinostomum complanatum, 및 소속미정(所屬未定)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A와 C를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대체(人體)에 기생(寄生)하는 간흡충(肝吸蟲)의 피낭유충(被囊幼蟲)은 7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고, 그 기생율(寄生率)은 1993년(年) Lee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으며, 기생도(寄生度)는 적었다. Metagonimus species 피낭유충(被囊幼蟲)은 1993년에서는 11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率)은 최소(最小)1.2%, 최대(最大)33.3%의 감염율(感染率)을 나타내었는데 비(比)하여, 이번 조사(調査)에서는 6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율은 4.3- 20.0%이였다. 기생도(寄生度)는 1993年의 조사성적(調査成績)에 비(比)해 낮았다. Exorchis oviformis 유충(幼蟲)은 5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Cyathocotyle orientalis는 7종(種), Metacercaria hasegawai는 9종(種), Centrocestus armatus는 3종(種), Clinostomum complonatum은 2종(種)의 어류(魚類)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그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어종별(魚種別)로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비늘, 지느러미와 꼬리에 있어서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의 기생율(寄生率)은 너무 변동(變動)이 심(甚)하여 1993년(年)의 그 율(率)과 비교(比較)할 수 없었으나, 대체(大體)로 낮았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보아 성주(星州)댐 건설(建設)과 가야산국민(伽倻山國民)호탤 등(等), 백운동(白雲洞) 집단시설지구(集團施設地區)가 들어선 이후(以後), 대가천(大駕川)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담수어(淡水魚)에 있어서 간흡충(肝吸蟲)을 위시(爲始)한 각종(各種) 흡충류(吸蟲類) 피낭유충(被囊幼蟲) 기생율(寄生率)과 기생도(寄生度)는 댐 담수(潭水)를 시작(始作)하기 전(前)(1994년)보다 낮음을 알았다.

  • PDF

Prevalence and Infection Intensity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Fish from Soyang-cheon (Stream), in Wanju-gun, Jeollabuk-do,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Ju, Jung-Won;Kim, Cheon-Hyeon;Hwang, Min-Ah;No, Kyeong-Woo;Park, Jong-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65-271
    • /
    • 2021
  • We surveyed on the infection status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ZTM) in freshwater fishes from Soyang-cheon (a branch stream of Mangyeong-gang) in Wanju-gun, Jeollabuk-do, the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927 fishes were individually examined with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during 2013-2015 (462 fish in 15 spp.) and 2018-2019 (465 fish in 25 spp.).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207 (31.4%) out of 659 fishes in 14 positive fish species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114 per fish infected (PFI).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were found in 302 (37.4%) out of 808 fishes in 21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12 PFI. Centrocestus armatu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222 (59.0%) out of 376 fishes in 12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383 PFI. Echinostoma spp. metacercariae were found in 139 (22.1%) out of 628 fishes in 10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7 PFI. Clinostomum complanatum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14 (6.5%) out of 214 fishes in 4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2.4 PFI. Metorchis orientali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36 (13.5%) out of 267 fishes in 5 PFS, and their mean intensity was 4.3 PFI. Conclusively, the prevalence and infection intensity of ZTM is generally not so high in fishes from Soyang-cheon. However, those of C. sinensis metacercariae are more or less higher in 2 fish species, Pungtungia herzi and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형산강 유역 담수어와 반철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 (Infestation of lar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 and brackish-water fish in River Hyungsan, Kyungpook Province, Korea)

  • 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84
  • 경북 월성군 치슬령 북측 능선에서 기원하여 포항시 송정동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외출람에 호식하는 담수어와 반철수어에서의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을 알아보기 위해 1983연 3월부터 동년 10f3까지 형산강 유역에서 투망, 낚시, 사발모지 등으로 담수어와 반섬수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어종별로 분류한 다음 어체 부위별로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함과 동시에 신선한 어육 1gram당 피복유충수를 계산하여 감염정도를 추정하였다. 채집된 11종의 어류에서 7종의 흡충류 피습유충과 소속미정 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이 가운데 Exochits oviformis유충은 전 피검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Metagonimus yokognwai유충은 9종의 어류에서, Cyathocotyle orientalis 유충과 Metacercaria hasegawai 유충, Metorchis orientalis 유충은 6종의 어류에서, 간흡충 피낭유충은 4종의 어류에서 검출할 수 있었으며, 그 기생률은 어종별로 큰 차리를 보였다. 어육 Igram당 간흡충 피낭유충 평균수는 몰개에서는 45.5개로 가장 많았고 납지리에서는 0.05개로 가장 적었으며 참붕어와 돌고기에서는 각각 9.7개, 11.6개로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횡천흡충의 피낭유충수는 붕어, 몰개, 버들치, 납지리, 참붕어, 퍼래미, 같겨니에서 모두 10개 이하 이었는데 비하여 은어에서는 32.9개로서 담수어보다 반철수어에서 그 수가 많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형산강에 서식하고 있는 담수어와 반철수어의 회를 생식하면 간흡충증과 횡천흡충증에 감염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Infections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es from Two Visiting Sites of Migratory Birds in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73-281
    • /
    • 2019
  • The infection statu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DTM) was investigated in fishes from 2 representative visiting sites of migratory birds in Gyeongsangnam-do, the Republic of Korea (Korea). A totaly 220 freshwater fishes (7 species) were collected from Junam-jeosuji (reservoir), and 127 fishes (7 species) were also collected from Woopo-neup (swamp) in June and October 2017. As the control group, total 312 fish (22 spp.) from Yangcheon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were also collected in June and October 2017. All fishes collected in 3 sites were examined with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In the fishes from Junam-jeosuji, more than 4 species, i.e., Clonorchis sinensis, Echinostoma spp., Diplostomum spp. and Cyathocotyle orientalis, of DTM were detected and their endemicy was very low, 0.70. More than 6 species, i.e., C. sinensis, Echinostoma spp., Metorchis orientalis, Clinostomum complanatum, Diplostomum spp. and C. orientalis, of DTM were found in the fishes from Woopo-neup, and their endemicy was low, 5.16. In the fishes from Yangcheon, more than 8 species, i.e., C. sinensis, Metagonimus spp., Centrocestus armatus, C. complanatum, C. orientalis, M. orientalis, Echinostoma spp., and Diplostomum spp., of DTM were detected, and their endemicity was relatively high, 95.48. The percentages of avian trematode metacercariae (ATM) were 99.6% and 94.7% in fishes from Junam-jeosuji and Woopo-neup whereas it was 74.1% in the control site, Yangcheon. The above findings suggested that migratory birds partly affect in endemicity of DTM in the fish in the 2 visiting sites in Gyeongsangnam-do, Korea.

Trematod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 from Water Systems of Hantangang and Imjingang in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Lee, Soon-Won;Choi, Seung-Bong;Seok, W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89-298
    • /
    • 2015
  • The infection status of freshwater fish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was examined in water systems of Hantangang and Imjingang (River), the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877 (594 from Hantangang and 283 from Imjingang) fishes were examined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7 (1.2%) fishes (in 3 spp.) from Hantangang in Cheorwon-gun, Gangwon-do, and 40 (14.1%) fishes (in 7 spp.) from Munsancheon in Paju-si, Gyeonggi-do. The average densities were 1.9 and 35.6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312 (52.5%) and 113 (39.9%) fishes from Hantangang and Imjingang, and their average densities were 47.5 and 9.6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Centrocestus armatu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161 (27.1%) and 70 (24.7%) fishes from Hantangang and Imjingang, and their average number per fish infected was 694 and 82, respectively. Echinostoma spp.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50 (8.4%) and 94 (33.2%) fishes from Hantangang and Imjingang, and their average densities were 9.6 and 23.1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The infection status of fishes with metacercariae of Stephanoprora spp., Diplostomum spp., Clinostomum complanatum, Metorchis orientalis, and Metorchis taiwanensis were analyzed by surveyed regions. Conclusively, it was confirmed that C. sinensis metacercariae were quite commonly detected in fishes from Munsancheon but rarely from other localities, whereas the metacercariae of other digenetic trematodes were relatively prevalent in fishes from water systems of Hantangang and Imjingang in Korea.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in Fish from Water Systems of Seomjin-gang (River)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Park, Mi-Yeoun;Kim, Cheon-Hyeon;Hwang, Min-Ah;No, Kyeong-Woo;Yoon, Ki-Bok;Lim, Hyun-Cheo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305-312
    • /
    • 2017
  • The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CsMc) was examined in freshwater fish from the water systems of Seomjin-gang (River), the Republic of Korea. Total 1,604 fish from 7 local sites of Seomjin-gang were examined by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The metacercariae of C. sinensis were detected in 102 (39.8%) out of 256 fish (14 species) from the upper reaches of Seomjin-gang, i.e., Osucheon (22.3% in 6 fish species) in Imsil-gun, and Seomjin-gang (63.9% in 9 fish species) in Sunchang-gun, Jeollabuk-do. Their average density was 9.0 per infected fish. They were also found in 132 (48.0%) out of 275 fish (12 spp.) from the middle reaches of Seomjin-gang, i.e., Songdaecheon (58.9% in 4 fish species) in Namwon-si, Jeollabuk-do, and Seomjin-gang (45.2% in 10 fish species) in Gokseong-gun, Jeollanam-do. Their average density was 21.0 per infected fish. CsMc were detected in 77 (56.6%) out of 136 fish (11 species) from the lower reaches of Seomjin-gang, i.e., Seomjin-gang (73.3% in 11 fish species) in Gurye-gun, Jeollanam-do, and Namsancheon (8.6% in 1 fish species) in Hadong-gun, Gyeongsangnam-do. Their average density was 64.9 per infected fish. The metacercariae of Metorchis orientalis were also detected in 6 fish species from 4 sites of Seomjin-gang. Conclusive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CsMc are more or less prevalent in fish from some water systems of Seomjin-ga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