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odology of Discover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3초

데이터 스트림에서 개방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빈발항목 탐색 (Finding Frequent Itemsets based on Open Data Mining in Data Streams)

  • 장중혁;이원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3호
    • /
    • pp.447-458
    • /
    • 2003
  •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지식 발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집합이 마이닝 작업 시작 이전에 명확히 정의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가정은 고정적으로 정의된 특정 데이터 집합에 내재된 정보 추출이 데이터 마이닝의 목적이 될 때 유효하다. 또한,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방법들은 대용량의 데이터 집합에 대한 마이닝 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상당한 처리 시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추가된 트랜잭션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최신의 마이닝 결과를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얻기를 기대하는 실시간 처리 환경에서는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마이닝 개념인 개방 데이터 마이닝을 제안한다. 개방 데이터 마이닝에서는 새로운 트랜잭션이 발생함에 따라 이전에 발생한 트랜잭션들에 대한 마이닝 결과가 새롭게 갱신되며 따라서 확장된 전체 트랜잭션 집합에 대한 마이닝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출현한 항목에 대한 지연추가와 이전 데이터 집합에 출현한 항목들 중에서 중요하지 않는 항목에 대한 전지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검증된다.

이재민 맞춤형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생활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Service i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Victims)

  • 김창룡;김정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26-541
    • /
    • 2020
  • 연구목적: 본 논문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이재민들의 니즈와 불만사항을 파악 및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내 임시주거시설에서의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에 맞춰 발견, 정의, 개발, 그리고 전달 순으로 진행한다. 발견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이재민의 니즈와 불만사항을 파악한다. 정의단계에서는 실내 임시주거시설 생활서비스의 문제점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페르소나 기법과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개발 단계에서는 현재 실내 임시주거시설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도식화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 작성 및 기존 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을 발견한다. 전달 단계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계의 문제점을 개선한 서비스와 기존 서비스 비교한 뒤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실내 임시주거시설에 제공되는 생활서비스 중 이재민과 일반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라이버시 보장 서비스, 노인 돌봄 서비스, 식사·빨래 서비스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서비스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결론: 본 논문을 통해 제시한 해결방안을 적용한다면 실내임시주거시설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프라이버시 문제, 노인 돌봄 서비스 문제, 그리고 식사·빨래 서비스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중 에너지 조사 방식의 장비별 골밀도 측정의 정량적 비교 분석: CT vs DEXA 비교 (Quantitative Analysis of Bone Mineral Measurements in Different Types of Dual-energy Absorptiometry Systems: Comparison of CT vs DEXA)

  • 김명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311-316
    • /
    • 2017
  • 골다공증 검사의 표준검사법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율(DEXA) 차이를 이용한 방식이고, 임상에서는 유사한 방식의 이중 에너지 X선 전산화단층영상장치(DECT)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 방식의 DEXA와 DECT 장비를 활용하였을 때 골밀도 차이를 확인하고 DECT 활용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 방식의 DEXA (QDR 4500W, Hologic)와 DECT (750 HD, GE Healthcare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동일한 부위의 허리척추 팬텀 대상으로 검사 시행과 측정을 하였고, 1개월 내 기존 DEXA와 DECT 검사를 동일하게 허리 척추 검사를 시행한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허리척추 팬텀 대상 골밀도 측정 결과 두 영상장비 간에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성(r=0.93, p<0.05)을 나타냈고,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도 비교적 높은 상관성(r=0.635, p<0.05; ${\tau}=0.46$, p<0.05)을 나타냈다. DECT를 이용한 골다공증 검사는 일반적으로 시행한 CT 영상 정보를 추가로 분석하여 골밀도 값을 얻는 것으로 추가적인 방사선 노출 없이 유용한 골밀도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유용성이 있다.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기반으로 (Development of Regional Problem Solv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 최용석;박종석;백보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87-203
    • /
    • 2022
  •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환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우리 사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지역문제에서 기회를 발견하고 창의적 도전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청년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로 상업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지역문제 해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 모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을 적용하였으며, 총 10인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역량 모형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델파이 방법론을 추가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23개의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이 확정되었으며, 역량별 지식(K)-기술(S)-태도(A)는 각각 5개, 9개, 9개로 구성되었다. 이를 Dunham의 문제해결 6단계 모형에 적용하여 Phase 1 문제 발굴, Phase 2 문제 분석, Phase 3 계획, Phase 4 조치, Phase 5 평가 순으로 모듈식 학습지원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자안된 이론적 모형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및 학습지원책을 개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Study on Public Design Development Plan for Traditional Culture Transmission Zone -With Focus on Public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chon-dong Theme Park-)

  • 황요순;임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56
    • /
    • 2015
  • 도시를 재생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 중에서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의 발전에 대한 잠재적인 발견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내 지자체의 유사한 환경에 대한 공공디자인 활용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체성에 대하여 지나친 광의(廣義)의 의미를 지양(止揚)하고 지역의 전통문화지역 자산 중 역사와 문화, 생활경제권의 계획적인 발전 방안을 통해 입지현황 분석 및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논의 하였고, 그 결과 국내 외의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에 전략 및 개발 연구설계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미가 부여된 공간은 지역의 문화원형적 소재를 내포한 문화콘텐츠로서, 공간의 활성화 및 광주광역시의 도시브랜드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 발전의 여지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촌동 테마파크 공간해석과 기호학적 공간기획의 방법론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 본 연구가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으로써 국내의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에 대한 모멘텀(Momentum) 환경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UML 및 OCL을 이용한 서비스 온톨로지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Service Ontology Design Scheme Using UML and OCL)

  • 이윤수;정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4호
    • /
    • pp.627-636
    • /
    • 2005
  • 지능형 웹 서비스는 시맨틱 웹과 에이전트 기술을 통하여 자동적인 서비스의 발견, 호출, 조합 및 상호운영, 실행 감시 및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지능형 웹 서비스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지식을 추론하고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온톨로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지능형 웹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온톨로지의 생성은 서비스 개발자의 휴리스틱에 의존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서비스 온톨로지간의 완벽한 매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비스 온톨로지를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를 서비스 개발자가 단기간 내에 학습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MDA 방법론을 사용하여 서비스 온톨로지를 효율적으로 설계 및 생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방안은 MDA를 기반으로 UML을 사용하여 웹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델을 재사용 한다. 즉, 플랫폼 독립적인 웹 서비스 모델을 서비스 온톨로지 기술 언어인 OWL-S에 종속적인 모델로 변환한 후 XMI를 통해 OWL-S 서비스 온톨로지로 변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이미 널리 사용되는 UML과 같은 소프트웨어 공학적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개발자들이 쉽게 서비스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델로부터 서비스와 서비스 온톨로지 모델을 동시에 이끌어 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모델로부터 자동적으로 서비스 온톨로지를 생성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변화와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로 웹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고 서비스 온톨로지를 생성하는 예를 보인다. 또한 생성된 서비스 온톨로지가 올바르게 생성되었는지를 유효성 검사를 통해 검증한다.

사춘기 여성들의 월경경험 (Menstrual Experience of Adolescent Girls)

  • 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7-270
    • /
    • 1996
  • Studies on menstruation have focused only on menstruation itself and menstrual disorders. The menstruating girls or women have been neglect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menstrual experience of adolescent girls in their perspective and build a theory on it,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initial reaction of the girls, their strategies to adapt to menstruation. consequences of their efforts, influencing factor, and patterns of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ven adolescent girls who experienced menarche three months to twenty-six months before the interview time. They were selected purposively. Their ages were in range of twelve and sixteen. One of them was a elementary school girl, three high school girls, and seven middle school girls. Two girls were handicapped because of cerebral palsy. All of them had some knowledge about menstrual physiology and hygiene during menstru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4 to July, 1995. Data collection & analysis were done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1990). Data collecting method was the long interviews and observation. Each interview took from 1 hour to 2 hours. Interview were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later by author. Data were analyzed immediately after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interview, next interview were planned until gathered data reached the saturation point. Results were as follows. One hundred and six concepts were found. Those concepts were grouped into twenty eight categories and then fourteen higher categories. Twenty eight categories were as follows. “want to hide”, “bewildered”, “sense of burden”, “sense of heterogeneity”. “gladness”. “sense of superiority”, “negative empathy”, “positive empathy”, “limited hygenic control”, “sense of timing”, “lack of knowledge”, “lack of support”, “advance knowledge”, “in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endurance”, “prayer”, “disclosing”, “avoidance”, “diversion”, “sense of powerlessness”, “discovery of sex identity”, “sense of maturation”, “sense of stability”, “acceptance of menstruation ”. fourteen higher categories were as follows. “negative feeling”, “posive feeling”, “exchange of feeling”, “limited hygenic control”, “sense of timing”, “accumulated experience”, “dysmenorrhea”, “level of knowledge”, “need for support”, “perceived support”, “sharing of feeling”, “self-control”, “passive acceptance”, “active acceptance”. The core category was “emotional shaking”, which consisted of “positive feeling” and “negative feeling”. “Emotional shaking”comes up to every adolescent girls experiencing menarche, independently of any contextual conditions, and its dimension has two directions : positive one and negative one. Its influencing factors were time of menarche, advance knowledge, support from the significant persons, expression and self-regulation. Even if they showed different process of adaptation to menstruation, general process of adaptation were as follows : 1. stage of emotional shaking 2. stage of acceptance 3. stage of internalization of the menstrual experience. Seven patterns existed o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menstruation after menarche. Those are as follows. 1. If girls thought their menarche came too early and they had not much knowledge on menstruation, they had a kind of negative feeling. If they did not get enough support and dysmenorrhea superimposed, they came to accept menstruation passively. 2. If girls had menarche too early. they had negative feeling, even though they had enough advance knowledge. But support helped them accept menstruation easily. 3. If girls had menarche too early, they had negative feeling, even though they had enough advance knowledge on menstruation. But by experiencing subsequent menstruations and disclosing feeling, they began to accept menstruation. 4. If girls had menarche too lately and they had enough advance knowledge on menstruation. they had positive feeling. If dysmenorrhea superimposed later, their feeling turned in to negative one. But they came to accept menstruation positively by disclosing feeling and getting support. 5. If girls had menarche too early, they had negative feeling, even though they had enough advance knowledge on menstruation. In addition to this. if dysmenorrhes superimposed while they did not get enough support, they felt powerless and came to accept menstruation passively. 6. If girls had menarche too early and did not get enough advance knowledge, they had negative feeling. But disclosing feeling and support made them get sense of homogeneity and began to accept menstruation. 7. If girls had handicap, they had negative feeling, even though they had enough advance knowledge and menarche was late. But Menarche made them get feel sexual identity. Their limited hygenic control and negative empathy from their mothers made them accept menstruation passively. To let adolescent girls take their menstrual experience as a part of their lives forming a positive sense of feminine identity, it needs qualified teaching and, support and deep concern of the significant others. Nurses including school nurses should t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which include menstrual physiology. hygiene during menstrual period, meaning of menstruation and impact of menstruation on the development of female sexual identity.

  • PDF

지역민요의 발굴과 확산: 메밀도리깨질소리 사례 (Study on the Discovery and Spread of Local Folk Songs: In the Case of Memil-dorikkaejil-sori)

  • 이창식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193-222
    • /
    • 2020
  • 이 논문은 봉평메밀도리깨질소리 밭농사요유산의 가치전승을 위하여 전통 콘텐츠 개발을 천착한 것이다. 농사요(農事謠)유산의 정체성을 진단하고 역사맥락화 가치와 전승공동체적 가치를 문화재적 가치로 부각시키고 전통문화산업론의 차원에서 논의까지 확장하였다. 봉평메밀도리깨질소리의 내재적 예술성과 교육체험적 가치수월성, 농사요의 소멸 극복 요소, 메밀 스토리텔링 추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봉평메밀도리깨질소리의 형식화, 박제화를 벗어나 현대적 맥락에서 농업유산 상징-화전과 부데기 유전자-의 생활화, 확산화에 역점을 둔 것이다. 인식 방법론이나 역사성, 창의성의 측면에서 봉평메밀도리깨질소리, 메밀노래의 문제의식을 통해 생태적 생업민요의 대안론을 제시하였다. 무형문화재 지정의 현장맥락화를 재론하면서 전승 활력에 조언하였으며, 향후 메밀농업유산의 상징적 등재론까지 거론하였다. 평창, 강원을 대표할 수 있는 농업문화유산을 발굴하여 브랜드화가 필요하다. 마당 '마뎅이소리 전통음악'에서 고유한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세계인들이 공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포인트-지역 브랜드화-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사요로서 봉평메밀도리깨질소리의 재발견을 통해 다목적 문화콘텐츠로 지속적인 위상을 만들고 전통민요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를 마련하여 양적인 성장보다 질적인 내실과 확산의 기회를 마련하고 농사요 발전의 중심에 각 지역별 축제-특히 평창지역축제-의 활용 스토리텔링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개별 종목 분석을 중심으로 (Expiration-Day Effects: The Korean Evidence)

  • 최혁;엄윤성
    • 재무관리연구
    • /
    • 제24권2호
    • /
    • pp.41-79
    • /
    • 2007
  • 본 논문은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이 주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주식시장에서 만기일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한다. 주가지수를 이용한 기존의 논문과는 달리 만기일에 현물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개별 종목별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차별성을 지닌다. 주가지수는 시장 움직임의 평균으로 개별 종목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가지수를 이용한 분석은 만기일 효과를 해석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분석 결과 한국주식시장에서 선물 만기일 효과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옵션 만기일 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선물 만기일에 KOSPI 200 지수와 개별 종목은 가격상승 압력이 존재하고, 변동성과 거래량이 증가하며, 만기일 다음날 수익률은 반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표본인 NON-KOSPI 200 지수와 개별 종목에서 만기일 효과가 존재한다고 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만기일 효과가 시장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KOSPI 200에 속하는 대규모 기업에 한정되며, 장 후반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은 프로그램 매매와 만기일의 결제제도가 만기일 효과의 간접적 원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만기일 다음날 가격이 반전하는 현상이 KOSPI 200에 속하는 대규모 기업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사실은 만기일 효과가 새로운 정보의 반영에 의한 정보 효과(information effects)가 아니라 일시적 거래불균형에 의한 유동성 효과(liquidity effects)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