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e recovery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4초

소화가스의 막 분리 정제에 의한 도시가스용 바이오메탄 생산 (Bio-methane production for city gas by membrane separation of digestion gas)

  • 최근희;조민석;최원영;천승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06-1115
    • /
    • 2020
  • 막 분리 운전방식에 따른 음폐수 소화가스의 도시가스용 바이오메탄 생산연구를 상업용 시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메탄의 순도는 4SBR과 3SDR 모두 98.9%를 달성할 수 있었다. 소화가스 내 메탄 회수율은 4SBR 88.1%, 3SDR 79.4%이었고, 처리 소화가스량 대비 바이오메탄 생산율도 4SBR이 53.5%로 3SDR의 49.4%보다 높았다. 그러나 막 분리시설에 공급되는 가스 중 반송가스의 비율은 4SBR이 56.5%로 3SDR 보다 두 배가량 컸으며, 이로 인해 최대 처리량에 있어서는 3SDR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소화가스 200 N㎥/day 이하는 4SBR, 240 N㎥/day 이상에서는 3SDR이 경제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정 운전변수들의 평균값 대비 운전 값들의 상대편차는 전반적으로 4SBR이 컸으며, 또한 주 운전조절 수단인 바이오메탄 인출압력 대비 주요 지표들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3SDR가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30L 미생물전기분해전지의 하수슬러지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 특성 (Biogas Production from Sewage Sludge in 30L Microbial Electrolysis Cell)

  • 이명은;안용태;신승구;서선철;정재우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25-33
    • /
    • 2019
  • 하수슬러지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30 L 규모의 미생물전기분해전지 시스템의 초기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2일간의 식종기간동안,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는 감소하고 메탄농도가 증가하였으며, 69.1%의 농도를 가진 메탄가스가 171.6 mL CH4/L·d의 속도로 얻어졌다. 식종이 끝난 후에 6회의 운전 사이클동안 이루어진 회분식 실험에서, 66.5~77.2%의 농도를 가진 메탄을 184.9~372.9 mL CH4/L·d의 생산속도로 얻어졌다. COD의 제거효율은 28.2~42.1%의 범위를 가지며, TS와 VS의 제거효율은 각각 20.7~37.5%와 18.5~36.9%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종 후 운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마지막 운전 사이클에서 메탄의 발생량과 수율은 각각 5221 mL/L와 316.7 L CH4/kg CODrem이었으며 에너지회수율은 73%이었다.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물 부하 및 식종율 변화가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c Loading and Seeding Rate to Biodegradibility of Food Waste)

  • 박남배;정용현;양병수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2호
    • /
    • pp.25-31
    • /
    • 1999
  • Energy recovery technology from municipal solid waste has been increasingly established in many countries. Anaerobic treatment of municipal sewage sludge has low digestion efficiency because of low organic loading rate of sewage slu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food waste which was based on organic loading rate and seeding rate. From the results of anaerbic biodegration, the optimum condition for seeding rate was turn out over 40%, which did not inhibition of methane production.

  • PDF

가스하이드레이트 배가스 치환 시 주입유속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Injection Rate Effects during Gas Hydrate Production using Flue Gas Swapping Method)

  • 이동건;이주용;이민희;이재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6-199
    • /
    • 2008
  • In this study, gas hydrate production has been followed using swapping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jection rate of flue gas and soaking period in unconsolidated artificial sand sample. The results shows that recovery factor of methane gas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injection rate of flue gas. This indicates that the velocity of flue gas in porous media may act as kinds of inhibitor for production of hydrate. Also recovery factor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soaking time.

  • PDF

하수슬러지를 기질로 하는 미생물전기분해전지에서 전극간 거리가 메탄 생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ectrode Spacing on Methane Production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 Fed with Sewage Sludge)

  • 임성원;안용태;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682-688
    • /
    • 2015
  • 하수슬러지를 처리하는 미생물전기분해전지(Microbial electrolysis cell, MEC)의 성능에 미치는 전극간 거리의 영향에 관한 실험실 규모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다른 전극간 거리(16, 32 mm)를 가진 두 쌍의 전극이 설치된 MEC 반응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때 전류발생량, 메탄발생량, 메탄수율 등 MEC 성능에 미치는 전극간 거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극간 거리가 16 mm일 때, 전류밀도와 메탄발생량은 각각 $3.74A/m^3$$0.616{\sim}0.804Nm^3/m^3$으로 전극간 거리가 32 mm인 조건에서의 $1.50{\sim}1.82A/m^3$$0.529{\sim}0.664Nm^3/m^3$보다 높게 나타났다. COD 및 VSS의 제거효율은 각각 34~40%와 32~38%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MEC의 생물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되어 VSS 감소와 메탄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류밀도는 VSS 제거효율보다 메탄수율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폐수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Methane Fermentation of Facultative Pond in Pond System for Ecological Treatment and Recycling of Livestock Wastewater)

  • 양홍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1-176
    • /
    • 2000
  •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환경조건은 용존산소가 없고, 혐기성 및 중성 pH가 유지되어야 하며, 온도변화가 적어야 한다. 분석결과 실험 조건성연못의 바닥은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어 설계인자가 비교적 적절하다고 본다. 조건성연못의 수심이 2.4m일 경우도 강한 바람이 불면 상충의 용존산소가 바닥으로 이동하여 연못바닥의 메탄발효를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용존산소의 바닥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수심을 깊게 설계할 수 있으나 수심이 깊어지면 연못바닥의 수온이 낮아져 메탄발효의 효율이 저하된다. 실험결과 조건성연못의 수심은 2.4m 정도가 적합하다고 본다. 최근에는 용존산소의 연못바닥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연못바닥에 Pit를 설치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시설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의 슬러지층의 온도가 $16^{\circ}C$ 이상에서 메탄발효가 원활히 일어나고 있다. 기존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연구에 의하면 연못바닥 슬러지충의 온도가 $19^{\circ}C$에서 슬러지 분해량과 침전량이 같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에서는 $19^{\circ}C$보다 $3^{\circ}C$ 낮은 온도에서도 메탄발효가 원활히 일어나고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의 바닥온도 분석결과 메탄발효가 거의 정지되는 $14^{\circ}C$이하가 되는 기간이 약 7 개월이 되어, 매년 어느 정도의 슬러지는 바닥에 쌓이게 된다. 1997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동안 연못바닥에 형성된 슬러지 깊이가 1.3cm였다. 따라서 연간 약 1.7cm가 쌓일 것으로 예측된다. 실험 조건성연못처럼 연못의 수심을 2.4m로 유지하고, 연못바닥에 슬러지 퇴적을 위해 여분의 0.3m 깊이를 두어 15 - 20년에 한번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메탄발생이 왕성한 기간에 연못상충에서 포집한 가스의 83%가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어 축산폐수를 처리하면서 메탄가스를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arker(1979)의 연구에 의하면 슬러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연못이 슬러지층이 형성된 연못의 BOD제거수준에 이르는데는 약 1년이 소요된다.$^{24)}$ 메탄박테리아 활동이 슬러지층의 표면에서 훨씬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건성연못의 초기 메탄발효를 분석한 것으로 조건성연못이 생태적으로 적용하면 초기단계보다 메탄발효의 효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혼합가스에서 수소분리를 위한 애용량 PSA공정 (Large-Scale PSA Process for Hydrogen Separation from Gas Mixture)

  • 최대기;김은철;강석현;노경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8-20
    • /
    • 2006
  • For large scale separation hydrogen from different mixing ratio(60/40 and 80/20 vol.%) of hydrogen and methane $1Nm^3/hr$ and $4Nm^3/hr$ 2bed-6step pressure swing adsorption(PSA) process was used,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he feed gas pressure, adsorption time, the feed flow rate and the P/F(purge to feed) ratio on the process performance were evaluated. In the $1Nm^3/hr$ PSA results, 11 atm adsorption pressure and 0.10 P/F ratio might be optimal values to obtain more than 75 % recovery and 99 % purity hydrogen in these processing. The optimum feed flowrate was 22 LPM and 17 LPM in the ratio 60/40 and 80/20, respectively. In the $4Nm^3/hr$ PSA results, 10 atm adsorption pressure might be simulated values to obtain more than 80 % recovery and 99 % purity hydrogen in these processing.

[ $CO_2$ ] Sequestration on Various Structures of Natural Gas Hydrate Layer for Effective Recovery of $CH_4$ Gas

  • Park, Young-June;Choi, Suk-Jeong;Shin, Kyu-Chul;Seol, Ji-Woong;Lee, Hu-E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0-411
    • /
    • 2006
  • On the continental margins and in permafrost regions, natural gas, which has been expected to replace petroleum energy, exists In solid hydrate farm. World hydrate reserves Including natural gas are estimated at about twice as much as the energy contained In total fossil fuel reserves. Because of its vast quantities, the efficient recovery of natural gas from natural gas hydrate become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in the sense of commercialization. It has been noted that carbon dioxide, one of the well-known green house gases, possibly can be stored in the ocean floor as a carbon dioxide hydrate. If the natural gas hydrate could be converted into carbon dioxide hydrate, natural gas hydrate deposits would serve as energy sources as well as carbon dioxide storage sites in the deep ocean sediments. In this study, we first attempted to examine the real swapping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guest molecules and various structures of gas hydrate through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such as NMR spectroscopy.

  • PDF

수소추출기의 부분부하 운전을 위한 PSA 제어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SA Controll Strategy for Part Load Operation of a Hydrogen Generator)

  • 이상호;김선엽;최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819-826
    • /
    • 2022
  • Fuel cell systems are being supplied to households and buildings to reduce greenhouse gases. The fuel cell systems have problems of high cost and slow startup due to fuel processors. Greenhouse gas reduction of the fuel cell systems is also limited by using natural gas. The problems can be solved by using a hydrogen generator consisting of a reformer and 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However, part load operation of the hydrogen generator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hydrogen consumption. In this paper, PSA operation strategies are investigated for part load of the hydrogen generator. Adsorption and purge time were changed in the range of part load ratio between from 0.5 to 1.0. As adsorption time increased, hydrogen recovery increased from 29.09% to 48.34% at 0.5 of part load ratio. Hydrogen recovery and hydrogen purity were also improved by increasing adsorption and purge time. However, hydrogen recovery dramatically decreased to 35.01% at 0.5 of part load ratio.

수압파쇄된 CBM 저류층에서 수평정의 생산 거동예측을 위한 생산자료 분석 (Production Data Analysis to Predict Production Performance of Horizontal Well in a Hydraulically Fractured CBM Reservoir)

  • 김영민;박진영;한정민;이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
    • /
    • 2016
  • 수압파쇄된 석탄층 메탄가스(coalbed methaen, CBM) 수평정의 생산거동을 예측하고 궁극가채매장량(estimated ultimate recovery, EUR)을 산출하기 위해 감퇴곡선분석, 유동영역분석, 유동물질평형분석을 활용하여 CBM 생산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상의 생산자료를 발생시키기 위해 미국의 아팔라치안 분지(Appalachian basin)의 CBM 물성자료를 기반으로 저류층 모델을 구축하였다. 생산자료 분석 결과, 약 6~16년간 천이유동이 발생하였으며, 그 후에 경계지배 유동이 발생하였다. 천이유동 구간의 자료를 활용하여 생산자료 분석을 시행할 경우 예측된 생산자료와 가상의 생산자료 간의 큰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생산거동 예측이 불가함을 확인하였다. 경계지배유동의 생산자료 분석 결과, 1년 이상의 자료를 가지고 있을 때 EUR 오차율 5%이내에서 생산거동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