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crylate

검색결과 1,258건 처리시간 0.031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효소적 배당화 (Enzymatic Glycosylation of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 박돈희;김해성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82-86
    • /
    • 2001
  • Glyco-acrylate and methacrylate were synthesized by lipase-catalyzed glycosylation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their vinyl esters with $\beta$-methyl fructoside and glycerol in t-butanol as a reaction medium. 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enzymatic glycosylation of acrylic acid and vinyl methacrylate, we attained up to 80% conversion for glyco-acrylate from acrylic acid and 90% conversion for glyco-methacrylate from vinyl methacrylate. The polymerizable glyco-acrylates and methacrylate have biomedical application as hydrophilic monomers and hydration modifiers to be use for hydrogel contact lens formulation.

  • PDF

Methacrylate 말단기를 가진 Polydimethylsiloxane의 합성 및 안의료용 소재로의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for Ophthalmic Material of Polydimethylsiloxanewith Methacrylate Endgroup)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35-339
    • /
    • 2009
  • 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PDMS (polydimethylsiloxane)와 반응시켜methacrylate 말단기를 가진 PDMS prepolymer를 합성하였으며, 탄성 및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AIBN 개시제를 사용하여 BMA(butyl methacrylate)와 공중합시켰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함수율은 23%로 나타났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은 83%, 산소투과율은 50 Dk/t 이상이었다. 이 중합체는 우수한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특성을 보였다.

플라스틱 코팅용 Poly(Urethane-MMA) 혼성 에멀젼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Hybrid Emulsion as a Plastic Coating Resin)

  • 염지윤;백경현;이준영;이경배;유병원;김중현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1호
    • /
    • pp.8-14
    • /
    • 2007
  • 폴리우레탄에 아크릴기가 도입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 코팅 수지는 플라스틱 코팅 수지로써 열적,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리폴리머 혼합 공정과 무유화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산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즉,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합성 단계에서 2,2-bis (hydroxymethyl) propionic acid (DMPA)을 투입하고 methyl methacrylate (MMA) 단량체를 투입한 후, triethylamine (TEA)을 이용하여 DMPA의 카르복실기를 중화시켜 친수성기를 도입하였다. 이를 수분산시켜 안정한 액적을 형성시킨 후, 사슬연장 및 무유화 중합 방법에 의해 합성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제조공정 조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을 달리하여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의 다양한 샘플을 얻으며, 수분산 샘플의 물성(인장강도, 점도, 부착성 등) 및 코팅필름의 특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 PDF

n-Butyl methacrylate(n-BMA)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n-Butyl methacrylate(n-BMA))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47
    • /
    • 2016
  • The combustible properties(flash point, explosion limit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are the important safety items which are considered in the typical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In this study, for the safe handling of n-butyl methacrylate(n-BMA)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the chemical industry, the flash point and the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experimented. And, the lower explosion limit of n-butyl methacrylat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lower flash point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Setaflash and Pensky-Martens closed-cup testers measured $44^{\circ}C$ and $51^{\circ}C$, respectively. The flash points of n-butyl methacrylate by using the Tag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s are measured $53^{\circ}C$. The AIT of n-butyl methacrylate by ASTM 659E tester was measured as $295^{\circ}C$. The lower explosion limit by the measured flash point $44^{\circ}C$ was calculated as 0.85 vol.%. It was possible to predict lower explosion limit by using the experimental flash point or flash point in the literature.

Synthesis of Amphiphilic Poly(alkyl methacrylate-b-methacrylic acid) by Group Transfer Polymerization and Selective Hydrolysis

  • Soon Ki Kwon;Weon Jung Choi;Yun Hi Kim;Sam Kwon Cho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3권5호
    • /
    • pp.479-482
    • /
    • 1992
  • Several poly(alkyl methacrylate-b-t-butyl methacrylate) di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group transfer polymerization. The molecular weight of poly(t-butyl methacrylate) segmen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resulting block copolymers were controlled by the monomer feed ratios and mole ratios of monomer to initiator. The poly(t-butyl methacrylate) block was quantitatively hydrolyzed to poly(methacrylic acid) block by refluxing with a catalytic amount of p-toluenesulfonic acid in dioxane at $100^{\circ}C$ for 12 hrs.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poly(alkyl methacrylate-b-t-butyl methacrylate) exhibited the lose of isobutylene and subsequent anhydride formation in the range of $205-300^{\circ}C$.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Glycidyl methacrylate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아크릴레이트의 분산중합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te Monomers in Supercritical $CO_2$ using GMA-functionalized Reactive Surfactant)

  • 박경규;강창민;이상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4호
    • /
    • pp.256-262
    • /
    • 2010
  • [ $80\;^{\circ}C$ ] 346 bar 상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와 glycidyl methacrylate을 중합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분산매에서의 중합을 위하여 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사용하여 glycidyl methacrylate를 monoglycidyl ether terminated PDMS에 결합시킨 glycidyl methacrylate linked poly(dimethylsiloxane)(GMS-PDM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다. $CO_2$에서 합성된 Poly(alkyl acrylate)의 수율은 acrylate 단량체의 알킬기가 커질수록 낮아졌다.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methyl acrylate)는 구형으로 만들어진 반면, poly(ethyl acrylate)와 poly(butyl acrylate)는 점성의 액상으로 합성되었다. Poly(glycidyl methacrylate) 입자의 수평균직경은 2.45 ${\mu}m$이며 입자 직경의 분포는 매우 좁았다. poly(methyl acrylate)의 수평균직경은 0.52 ${\mu}m$이며 입자크기는 bimodal로 분포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중합된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alkyl acrylate)들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된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alkyl acrylate)의 유리전이온도보다 4~9 K 높게 측정되었다.

반응성이 있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정전용량형 습도센서 (Capacitive Humidity Sensor Using Reactive Methacrylate Copolymers)

  • 공명선;이임렬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27
    • /
    • 2003
  • 정전 용량형 고분자막 감습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서로 반응성이 있는 공중합체들 methyl methacrylate (MMA), ethyl methacrylate (EMA), acrylic acid (MA) 와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의 공중합체들을 합성하였다. 정전 용량형 습도센서는 가교화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의 양면에 금 전극을 형성시켜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에서의 HEMA양이 증가할수록 상대습도에 따른 정전 용량은 증가하였다. MMA/MA/HEMA=40/10/10의 경우, 상대습도가 30%RH, 60%RH 및 90%RH에서의 정전 용량은 각 102, 134와 165 pF이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 온도 사이클 그리고 장기안정성 결과를 측정하여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습식 상 역전 방법으로 제조한 아크릴계 고분자 막의 모폴로지 (Morphology of Membrane of Acrylic Polymers by Wet Phase Inversion Method)

  • 최승은;박한수;이광희
    • 폴리머
    • /
    • 제30권2호
    • /
    • pp.108-11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소수성 차이에 따른 막 모폴로지 변화를 조사하였다. 막은poly(methyl methacrylate)(PMMA), poly(ethyl methacrylate)(PEMA), poly(butyl methacrylate)(PBMA), poly(isobutyl, methacrylate)(PIBMA) 및 이들의 블렌드를 사용하여 습식 상 역전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대적으로 소수성이 적은 PMMA와 PEMA는channel-like 형태의 막 구조를, 소수성이 큰 PBMA와 PIBMA는 finger-like 형태의 막 구조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막 구조의 변화는 polymer-rich상의 고상화 과정에서 속도론적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성분 블렌드 막의 구조는 주 성분 고분자에 의해 결정되었다.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과 등온건조속도 (Isothermal Drying Rate and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Methacrylates)

  • 김민성;설수덕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30-236
    • /
    • 2009
  •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에서 반응온도, 개시제의 종류와 농도, 보호콜로이드인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MA, EMA의 조성비를 변화시키며 중합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인 poly(vinyl acetate-co-methyl methacrylate)(PVAc/PMMA), poly(vinyl acetate-co-ethyl methacrylate)(PVAc/PEMA)를 수분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130, 150, 180, $200^{\circ}C$에서 등온건조 시키고, 그 건조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법으로 얻은 중합체 고형화 과정의 활성화 에너지는 PVAc/PMMA> PVAc/PEMA> PVAc의 순으로 공단량체의 곁사슬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접착박리강도는 동일한 조성의 공중합체에서 보호콜로이드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내수 접착박리강도는 최적의 보호콜로이드 함량에서 공단량체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PVAc/PMMA>PVAc/PEMA>PVAc 순이다.

Hydroxyethyl Methacrylate와 Methyl Methacrylate의 첨가량 변화가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Amounts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Methacrylate on the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Solutions)

  • 김병석;유병원;이명구;변태강;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32-638
    • /
    • 2012
  •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PUD)을 합성하였다. 이 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MMA (methyl methacrylat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혼성 용액의 평균 입도는 아크릴 단량체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코팅 도막의 내마모성과 내화학성은 순수한 PUD 보다 크게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