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ring System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스마트 전력량계 부가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f an Application Scheme for Smart Meter and Value Added Services Based on Korean Environment)

  • 김석곤;이한별;이영주;최용성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9권1호
    • /
    • pp.106-111
    • /
    • 2010
  • Electronic watt hour meters(WHM) for high pressure running in domestic were installed to the digital type meter and ones for low pressure are expected to complete within several years. Domestic power metering technology is being beyond a simple framework with an electronic type and is rapidly evolving to intelligent smart meter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promotion of a national smart grid project. Major policy outlook of the world's major power company regarding Intelligent metering is the application of the fare structure diversification and is the improvement of level of service to customers. In addition, electric power companies should focus on the cost re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an efficient operation of distribution facility. In this paper, we are about to make an observa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 of the overseas smart meter and to have a view of value-added services(VAS) system of smart meter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based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VAS utilizing electronic watt hour meter performed by recent research projects.

전자식 전력량계와 무선모듈을 이용한 전력품질 표시 및 모니터링 (Power Quality Monitoring with Electronic Watt-hour me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정득일;손영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72-174
    • /
    • 2007
  •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with high-precision measurement technology can provide many valuable metering data of a real-time system measurements, such as per-phase voltage, amper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pparent power, power factor, and system frequency. Also many of accumulated metering data such as active energy, reactive energy, apparent energy, and load profile can be gettable from an electronic watt-hour meter[1].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of the small-sized AMR (Automatic Meter Reading)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a very valuable electrical service. This AMR service transmits lots of a valuable metering data by using ZigBee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users resided in their premises can use the information to audit a power quality and improve their electrical conditions by using the PQ monitoring device equipped with ZigBee receiver. This PQ monitoring device shows metering data on LCD and transmits to the PC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lso, the device can keep the valuable meter data into a built-in non-volatile memory. The final goal of this paper is to better understand the power quality of electrical systems and offer the power qualify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all power consumers.

  • PDF

초소형 터보엔진용 PWM 연료조절장치의 설계 및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Modeling of PWM Fuel Metering Unit for Miniature Turbo Engines)

  • 주상현;최호진;박종승;임진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1
    • /
    • 2006
  • 펄스폭 변조방식(PWM)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는 연료조절장치는 값이 싸고, 크기가 작으며,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PWM 솔레노이드 밸브와 차압유지밸브(CPDV)로 구성되어, 초소형 엔진에 적용 가능한 PWM 연료조절장치를 구성하였다. 수학적 모델의 확립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의 특성과 주요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고, 시험장치를 구성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 시뮬레이션과 일치된 결과를 얻었으며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모델은 PWM 연료조절시스템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스분사 방식 LPG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관로 유동해석 (Fluid Network Analysis for the Fuel-Supply Systems of Gaseous-Injection-Type LPG Engines)

  • 윤정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0호
    • /
    • pp.1019-1024
    • /
    • 2011
  • LPG 분사시스템의 경우 액상 및 기상 인젝터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가스 분사 방식의 경우 내구성 및 가격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가스의 압축성 특성으로 인한 정밀 유량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분사 방식 LPG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 정밀 유량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헬름홀쯔 공진기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상용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Flowmaster를 사용하여 대상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대해 유동해석을 통해 최적의 공진기를 설계방안을 설계하였으며, 공진기 설치 후 개선 효과를 제시하였다.

진입로 신호등 시스템을 위한 SDRE 기반 최적 비선형 관측기 제어기 설계 (SDRE Based Optimal Nonlinear Observer-Controller Design for Ramp Metering System)

  • 이기호;최한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33-536
    • /
    • 2014
  • In this paper, a near optimal decentralized observer-controller design method is proposed for ramp metering systems based on SDRE (State Dependent Riccati Equation) approach. The optimal nonlinear observer gain is parameterized in terms of the solution matrix of an SDRE. This paper gives a simple algorithm to compute the near optimal observer gain. The optimal control design problem is also considered. Finally,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given to illuminat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the proposed design method.

도시철도 직류 전력량 계측을 위한 직류용 스마트미터링 시스템 개발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DC Smart Metering System for the DC Power Measurement of Urban Railway)

  • 정호성;신승권;김형철;박종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5호
    • /
    • pp.713-718
    • /
    • 2014
  • DC urban railway power system consists of DC power network and AC power network. The DC power network supplies electric power to railway vehicles and the AC power network supplies electric power to station electric equipment. Recently, because of power consumption reduction and peak load shaving, intelligent measurement of regenerative energy and renewable energy adapted on DC urban railway is required. For this reason, DC smart metering system for DC power network shall be developed. Therefore, in this paper, DC voltage sensor, current sensor, and DC smart meter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by performance test. DC voltage sensor was developed for measuring standard voltage range of DC urban railway, and DC current sensor was developed as hall effect split core type in order to install in existing system. DC smart meter possesses function of general intelligent electric power meter, such as measuring electricity and wireless communication etc. And, DC voltage sensor showed average 0.17% of measuring error for 2,000V/50mA, and current sensor showed average 0.21% of measuring error for ${\pm}2,000V/{\pm}4V$ in performance test. Also DC smart meter showed maximum 0.92% of measuring error for output of voltage sensor and current sensor. In similar environment for real DC power network, measuring error rate was under 0.5%. In conclusion, accuracy of DC smart metering system was confirmed by performance test, and more detailed performance will be verified by further real operation DC urban railway line test.

다수용가 스마트그리드 전력계량시스템에 대한 실증사례 연구 (A demonstration case study on the multiple-customer smartgrid power metering system)

  • 이일호;송광재;송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26-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수용가형 집합건물, 공장형 아파트 및 빌딩에 적합한 다채널 전력계량시스템(MCMS:Multi Customer Metering System)의 성능평가방법 및 현장실증의 결과를 제시하고, 핵심 요소인 mA CT의 성능평가방법 및 표준현황 연구를 통해 향후 MCMS 국내 도입을 위한 시험인프라 구축 및 관련 제품의 적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계량시스템을 활용한 수요관리자원에 대한 가치평가연구 (A Economic Evaluation for Demand-Side Resource using Smart Metering System)

  • 임상국;신희상;조성민;이희태;윤용태;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44-50
    • /
    • 2010
  • 에너지관련 자원가격의 급등으로 전력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전력회사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생산비용과 판매가격의 왜곡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스마트계량시스템은 전력 소비자의 전력사용 정보제공을 통한 소비패턴을 변화시켜 전력에너지절감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마트계량시스템의 보급을 위해 2008년도 실효성 검증을 위한 실증연구 과제를 추진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계량시스템 보급에 따른 잠재적 이득과 캘리포니아 테스트를 통한 가치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사무소 건물의 에너지 미터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installing of Energy Metering Systems in an Office Building)

  • 한혜심;이나은;이진숙;정학근;장철용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51-57
    • /
    • 2013
  • Energy saving starts by knowing how much energy is being consumed. A building factor is easier than any other things in energy saving. Since, especiall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user's space-use-patterns and manager's utility-operation-style. An energy metering system lets building users know about energy consumption pattern in buildings and measure energy in real time. Development and materialization of metering systems need more careful plans, so that they depend on a demand of individual facilities and available infrastructures they used to use. But, so far, there is no guidelines how to install metering systems. This paper suggested how to install meters and researched a method for how to analyze by using metered data. For that, Green Building in KIER is used as a test bed. As the results, nevertheless the smallest number of meters is basically one for the whole building energy measuring, it is too limited in analysis. So we needed to add the sort of fuel and utility types and found that it depends on all cases. For this reasons, a guideline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install meters as soon as possible. It would be suggest a way to save more energy in building factor.

고속도로 램프미터링 도입지점 및 우선순위 선정 (Selection of Expressway Ramp Metering Sites and Priority Making)

  • 최기주;심상우;이의은;김인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579-585
    • /
    • 2009
  • 램프미터링은 이미 미국, 유럽 등에서 실효성을 인정받았고 가장 효율적인 교통관리기법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시설물의 기준 미달 및 홍보 부족 등으로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90년 이후 ITS의 도입으로 진입제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국내 램프미터링 도입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도로에 램프미터링을 원활하게 도입하기 위해 도입 기준을 수립하고 대상지점을 선정하였다. 도입 기준은 미국의 램프미터링 도입 기준을 기반을 국내 여건을 반영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기준은 서비스수준, 우회도로 존재, 대기 공간 길이, 개방식 운영구간 등이며,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15개 지점을 도입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지점의 우선순위를 계층화분석과정(AHP)을 통해 선정한 결과 교통량이 많고, 혼잡이 심할수록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국내에 램프미터링 도입함에 있어 실효성을 확보하여 보다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