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on of Expressway Ramp Metering Sites and Priority Making

고속도로 램프미터링 도입지점 및 우선순위 선정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시스템공학부 교통공학) ;
  • 심상우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이의은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인수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Received : 2009.05.20
  • Accepted : 2009.06.16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spite of the proven effectiveness of ramp metering system, it has not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Korean sett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lect target locations to introduce ramp metering into the Korean expressway system. For this, domestic standards to introduce ramp metering have been presented after reviewing those of the US. The major criteria are level of service (LOS), the existence of detour route, space for queue build-up and opened ramp. 15 different locations were selected and AHP has been used to make priority among them. Intuitively, the result of priority was in accordance with the congestion and traffic volume. The core results identifi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d in different cities and expressway networks elsewhere.

램프미터링은 이미 미국, 유럽 등에서 실효성을 인정받았고 가장 효율적인 교통관리기법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시설물의 기준 미달 및 홍보 부족 등으로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90년 이후 ITS의 도입으로 진입제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국내 램프미터링 도입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도로에 램프미터링을 원활하게 도입하기 위해 도입 기준을 수립하고 대상지점을 선정하였다. 도입 기준은 미국의 램프미터링 도입 기준을 기반을 국내 여건을 반영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기준은 서비스수준, 우회도로 존재, 대기 공간 길이, 개방식 운영구간 등이며,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15개 지점을 도입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지점의 우선순위를 계층화분석과정(AHP)을 통해 선정한 결과 교통량이 많고, 혼잡이 심할수록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국내에 램프미터링 도입함에 있어 실효성을 확보하여 보다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2. 양인태, 김동문, 유영걸(2001) 도로의 최적노선 결정을 위한 GSIS와 AHP의 적용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2D호, pp. 247-253.
  3. 오주삼, 임성한, 조윤호(2005) AHP를 적용한 상시 교통량 조사 지점 선정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7권 제4호, pp. 21-30.
  4. 이욱재, 조윤호, 오주삼(2001) 계층화분석과정에 의한 일반국도 교통 관리시스템의 구축 우선 순위 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6D호, pp. 765-773.
  5. 이형석, 강준묵, 한승희(2001)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효율적 노선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1D호, pp. 145-152.
  6.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2005)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pp. 3-18.
  7.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1997) 고속도로 RAM P METERING 도입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연구보고서.
  8.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2000) 고속도로 FTM S 구축편람 수립연구, 연구보고서.
  9. 한국도로공사(2008) 고속도로 램프미터링 타당성조사 연구, 연구보고서.
  10. Ramp Meter Design Guideline (1991)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1.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2008)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