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 leaching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21초

Mineralogical studies and extraction of some valuable elements from sulfide deposits of Abu Gurdi area, South Eastern Desert, Egypt

  • Ibrahim A. Salem;Gaafar A. El Bahariya;Bothina T. El Dosuky;Eman F. Refaey;Ahmed H. Ibrahim;Amr B. ElDeeb
    • 분석과학
    • /
    • 제37권1호
    • /
    • pp.47-62
    • /
    • 2024
  • Abu Gurdi area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Desert of Egypt which considered as volcanic massive sulfide deposits (VMS). The present work aims at investigating the ore mineralogy of Abu Gurdi region in addition to the effectiveness of the hydrometallurgical route for processing these ores using alkaline leaching for the extraction of Zn, Cu, and Pb in the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has been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the alkaline leaching of the used ore including the reagent composition, reagent concentration, leaching temperature, leaching time, and Solid /Liquid ratio, have been investigated. It was noted that the sulfide mineralization consists mainly of chalcopyrite, sphalerite, pyrite, galena and bornite. Gold is detected as rare, disseminated crystals within the gangue minerals. Under supergene conditions, secondary copper minerals (covellite, malachite, chrysocolla and atacamite) were formed. The maximum dissolution efficiencies of Cu, Zn, and Pb at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i.e., 250 g/L NaCO3 - NaHCO3 alkali concentration, for 3 hr., at 250 ℃, and 1/5 Solid/liquid (S/L) ratio, were 99.48 %, 96.70 % and 99.11 %, respectively. An apparent activation energy for Zn, Cu and Pb dissolution were 21.599, 21.779 and 23.761 kJ.mol-1, respectively, which were between those of a typical diffusion-controlled process and a chemical reaction-controlled process. Hence, the diffusion of the solid product layer contributed more than the chemical reaction to control the rate of the leaching process. High pure Cu(OH)2, Pb(OH)2, and ZnCl2 were obtained from the finally obtained leach liquor at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by precipitation at different pH. Finally, highly pure Au metal was separated from the mineralized massive sulfide via using adsorption method.

폐가전제품 및 폐컴퓨터의 분해성 평가와 중금속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isassembly Estimate and the Leaching Characteristic of Heavy Metal from Wasted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 이행승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1호
    • /
    • pp.1-1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management of wasted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The generation of wasted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in korea was estimated. Disassembling wasted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according to disassembly procedure, investigate fittings weight and disassembly time. To evaluate hazardous contaminants from televisions and computers, measure heavy metals by leaching test.

  • PDF

피혁슬러지 고형화시 시멘트 혼화제의 영향 (The Effect of Cement Admixtures on Solidification of Tannery Sludge based Cement Method)

  • 주소영;박상찬;전태성;손종렬;김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4호
    • /
    • pp.36-44
    • /
    • 2003
  • The cement-based system among S/S(Solidification/Stabilization) is widely used to treat hazardous wastes. In this study, tannery sludge was solidified to evaluate the stabilization effects of using admixtures in the cement-based S/S. Fly ash as substitute also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S of hazardous waste. The compressive strength measurement and leaching experiment of chromium metal of solidified mortar were carried out to compare and evalu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lidified hazardous waste sludg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increased of compressive strength by using AEW-3(early-hardening AE water reducing agent), and leaching concentration of chromium became low enough to satisfy the regulatory criteria. The successful solidification for the organic contaminant and heavy metal in hazardous waste should enable to treat by cement-based system using early-hardening AE water reducing admixture and fly ash as substituted cement.

폐석탄회를 활용한 숏크리트의 중금속 용출특성 (Heavy-Metal Leaching Properties of Fly-ash for Shotcrete)

  • 박철우;심종성;강태성;박성은;최우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27-428
    • /
    • 2009
  • 본 연구는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쉬와 실리카퓸을 숏크리트에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금속 용출시험을 통해 환경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시험 결과, 국내외 기준에 만족하여 환경적으로 무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중금속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습식자력선별법 사용 시 최적 토양분산 조건 (Optimum Condition of Soil Dispersion for Remediating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using Wet Magnetic Separation)

  • 전철민;박정식;박숙현;김재곤;남인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2호
    • /
    • pp.121-1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력선별 토양정화기술 공정에 적합한 토양의 최적 분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토성이 다른 중금속 오염토양 2종의 시료(US, JIK)를 대상으로 분산특성 및 중금속 용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산제로는 인산염(pyrophosphate, hexametaphosphate, orthophosphate), 계면활성제(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사용되었으며, pH = 9~12와 농도변화(1~200 mM)에 따른 토양입단의 분산특성 및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분산조건을 도출하였다. 분산용액의 pH변화에 따른 토양분산 특성은 입도변화 결과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분산용액의 pH가 12에 가까워질수록 현탁액의 점토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pH가 상승함에 따라 PZC(point of zero charge)이상의 pH가 유지되면서 점토입자들이 분산된 상태로 유지된 것으로 여겨진다. 농도변화에 따른 토양분산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높은 점토함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산화철, 산화망간의 PZC보다 높은 분산용액의 pH조건과 분산제의 흡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입자의 분산에 따른 중금속 용출은 pyrophosphate, hexametaphosphate, orthophosphate는 50 mM 이상의 농도에서, SDS의 경우 100 mM이상의 농도에서 비소 용출량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분산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비소 용출량도 증가하였다. 인산염은 비소와 유사한 화학구조를 지니고 있어 토양입자표면에서 흡착경쟁을 하여 비소의 탈착을 유발하고, 계면활성제는 토양입자표면에 흡착하여 비소가 탈착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분산용액에 따른 분산효과는 pyrophosphate > hexametaphosphate > SDS > orthophosphate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분산효율 및 비소용출량을 고려한 최적의 토양분산용액 조건은 pH 11, 10 mM pyrophosphate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구배 자력선별 기술을 이용한 토양정화 공정을 최적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ogeochemical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Mineral Transformations: Consequences for Metal and Nutrient Mobility

  • Gadd, Geoffrey-M.;Burford, Euan-P.;Fomina, Marin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23-331
    • /
    • 2003
  • Bacteria and fungi are fundamental biotic components of natural biogeochemical cycles for metals and metalloid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dissolution, precipitation, oxidation and reduction processes. Some processes catalyzed by microorganisms also have important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biotechnology in the areas of ore leaching and bioremediation.

도시고형폐기물 소각비산재의 Electrokinetic 정화

  • 조용실;한상재;김수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24-227
    • /
    • 2001
  • In general,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fly ash (MSWIF) has a potential hazardous leaching of heavy metal with subsurface environment variation. Therefore, to remove the heavy metal from MSWIF electrokinetic technology were used. With constant current density condition heavy metals in MSWIF removed by ion migration. During 7 days operation 40~80% of Cr, Cd and As were removed and longer operation, 14 days treatment, showed 35~100% removal efficiency.

  • PDF

황산에 의한 폐망간전지로부터 아연과 망간의 침출 (Sulfuric Acid Leaching of Zinc and Manganese from Spent Zinc-Carbon Battery)

  • 손현태;안종관;손정수;박경호;박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4호
    • /
    • pp.44-50
    • /
    • 2002
  • 분쇄, 자력선별을 통하여 철 성분을 제거한 폐망간전지 분말을 대상으로 침출제 농도, 온도, 고액비, 교반속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황산용액에서 아연과 망간의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침출시료의 X선 회절분석 결과 아연은 금속아연과 아연산화물, 망간은 이산화망간과 +3가 망간산화물로 존재하고 있어 황산에 의한 아연의 선택침출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폐망간전지의 분쇄산물을 대상으로 황산침출을 행한 결과 고액비 1:10, 황산농도 1 M, 반응온도 $60^{\circ}C$, 교반속도 200 r.p.m에서 60분간 침출하였을 때 아연과 망간의 침출율은 각각 92%, 35%로 나타났으며, 반응 후 침출용액의 pH는 0.75, 침출용액 중 아연 및 망간의 농도는 각각 19.5 g/l, 7.8 g/l 이었다. 폐망간전지 분말의 황산침출시 망간의 침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원제의 사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연제련잔사의 알칼리 침출에 의한 갈륨의 회수 (Recovery of Gallium from Zinc Smelting Residues by Alkali Leaching)

  • 김성규;이화영;오종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3호
    • /
    • pp.22-28
    • /
    • 2000
  • 아연재련전사로부터 갈륨을 회수하기 위하여 NaOH용액을 사용한 알칼리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아연질산을 NaOH용액으로 알칼리 침출할 경우 주로 침출되는 원소는 Zn, K 및 Si 등이며, Fe를 비롯한 여러 base metal들은 극히 미량만이 침출되기 때문에 용매추출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갈륨을 정제할 수 있다. 한편 알칼리 침출의 특징은 알칼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광액농도가 낮을수록 갈륨의 침출율이 증가하며, 특히 침출에 앞서 아연잔사를 물로 세척하여 용해성 아연화합물을 미리 제거하면 알칼리 소모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갈륨의 적정 침출조건은 아연잔사를 물로 세척하여 용해성 아연화합물을 미리 제거하고 광액농도 333g/L NaOH 농도 1~1.25 M/L로 하여 상온$25^{\circ}C$에서 2시간 정도 침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 경우 약 80%이상의 갈륨을 회수 할 수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