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ve awarenes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 of Using Metacognitive Strategies in Mathematics Lesson on Students' Metacognitive Awareness

  • Hizir, Kucukakca;Ayse Elitok, Kesici;Ji-Eun,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245-266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ing metacognitive strategies to students in a sixth-grade mathematics class affects their metacognitive awareness. Participants were 36 sixth-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Education of Turkey in the 2020-2021 academic year.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n = 18) were taught a total of 40 mathematics lessons for eight weeks to improve their metacognitive awareness.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n=18) were taught mathematics in line with the regular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the Jr. Metacognitive Awareness Inventory, participants in both groups took a pre-test at the beginning and a post-test at the end of the study. To better interpret the data obtained, various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The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of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t-test for the normally distributed data for dependent and independent groups. The pre-test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tacognitive awareness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0.05). The comparison of post-test averages showed that students' metacognitive awareness differed significantly in favor of the experimental group (p<0.05). According to this, it was concluded that metacognitive strategy teaching in mathematics course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metacognitive awareness levels.

Writing Listening Logs and Its Effect on Improving L2 Students' Metacognitive Awareness and Listening Proficiency

  • Lee, You-Jin;Cha, Kyung-W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4호
    • /
    • pp.50-67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writing weekly listening logs could influence college English learners' metacognitive awareness and listening proficiency. In addition, the Metacognitive Awareness Listening Questionnaire (MALQ) was applied to examine the learners' knowledge of their listening process. It is process-oriented research conducted by analyzing the MALQ and students' listening logs as to how their metacognitive awareness and listening proficiency have changed during the semester. Eighty-nine students who took an English listening practice course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FL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ome subscales of metacognitive awareness. Second, the students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earning through regular listening activities, and weekly listening logs, which included important information about listening process and practice. Third, as th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increas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it was found that introducing listening logs along with classroom lessons helped the students improve their listening ability. Finally, the high proficiency group students used multiple strategies simultaneously, regardless of the type of listening strategies, while the low proficiency group students used one or two limited listening strategies. However, the low proficiency group students may have had trouble expressing their ideas in English or recognizing the listening strategies they used, not because they did not use a lot of listening strategies. Therefore, teachers should regularly check if students are following their instructions and help them use appropriate strategies for better understanding.

대학생의 학습전략 효과성 인지, 선호 및 활용 (Metacognitive Awareness, Preference, and Use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n Korean Undergraduates)

  • 안다휘;이희승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321-353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얼마나 잘 알고 있고, 선호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7개 중요 학습전략(정보양식효과, 정적매체학습, 매력적인 군더더기 부재학습, 시험, 분산학습, 교차학습, 생성학습)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 인지, 선호, 활용을 묻는 시나리오 기반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학점과 메타인지적 자기조절을 측정하여 어떤 학생들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잘 알고, 선호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4개 전략(정보양식효과, 매력적인 군더더기 부재학습, 정적매체학습, 교차학습)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학습전략의 효과성을 잘 모르고 있었으며 2개 전략(시험, 생성학습)에 대해서도 절반가량의 학생만이 그 효과성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 대학생은 효과적인 학습전략에 대해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학점은 학습전략에 대한 효과성 인지 및 선호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활용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메타인지적 자기조절은 일부 학습전략에 한하여 효과성 인지, 선호 및 활용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에게 효과적인 학습전략에 대한 교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전략에 대한 효과성 인지와 선호를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두 변인이 서로 다른 구인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어 평가 지문 읽기에서 영어 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대한 연구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Test-typed Text Reading between Gifted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General Middle School Learners)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45-3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의 영어 평가 지문을 읽는 동안 메타인지 읽기전략사용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시의 영어 영재 74명과 일반 중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연구 대상자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학기 말에 두 연구대상자들에게 MARSI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이 영어 평가 지문을 읽는 동안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에는 차이를 보였다. 다시 말해, 영어 영재 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에 비해 영어 평가 지문 읽기에서 더 자주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전략에 대해 말하자면, 영어 영재 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에 비해 총체적 전략과 문제해결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그룹의 연구대상자들은 지원전략의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 읽기 지도에 대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활동 안내를 통한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능력 활성화 가능성 탐색 (A case study on activating of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ve abilitie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guidance material for metacognitive activities)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17-23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new method for activating the metacognitive abilities that play a key role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MPSP).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Can the MPSP activate metacognitive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encil-and-paper environment using guidance material for metacognitive activities\ulcorner To solve this question, two cas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wo student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via informal interview. They voluntarily took part in 13 experimental lectures. The activating paths of their metacognitive abilities in the MPSP were chronically described and analyzed. All the activating processes of the students focusing on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s were analyzed by means of interview, observation, self-report, and activity data. The two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MPSP voluntarily recognized and reflected their deficiencies in metacognitive abilities, and therefore maximized their own performance. They made quite significant progress in the course of activating their metacognitive abilitie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gained greater confidence in the MPSP. Hence they have become good problem solvers. They expressed not on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behavior but also their self-awareness during the metacognitive activities. In the long run, this experiment will increase possibilities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metacognitive process.

  • PDF

성인학습자 대상 메타인지 학습능력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Metacognition Learning Ability for Adult Learners)

  • 김현진;김태희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2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 메타인지 학습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주제 및 목표는 '메타인지적 지식'에 속하는 요소들의 이해와 적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각 세션은 '메타인지적 조절' 의 요소인 '계획-점검-조절'을 코칭 REGROW모델에 통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A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들 중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할당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집단으로 본 연구 완료된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메타인지 학습능력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지각된 메타인지적 학습능력 전체 및 하위영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했으며,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적용이 높아졌으며, 집단코칭 방식이 유익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일반학생과 수·과학 영재들의 영어 읽기과정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Reading among General Learners, Gifted Learners in Science and Mathematics)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46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수 과학 영재학생의 영어읽기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학생 98명, 과학영재 79명, 수학영재 8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MARSI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그 자료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과학영재 사이의 영어읽기 과정 중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수 과학 영재학생들과 일반 학생들 사이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네트웍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성찰지원 도구 설계 전략 탐색 (Review on design strategies for reflection-scaffolding tools in the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 김동식;이승희;김지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89-10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웍 기반 협력학습(CSCL)에서 학습자의 성찰을 지원하는 인지적 도구를 설계하는 주요전략과 도구의 구성요소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CSCL에서는 실세계에서 직면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학습경험을 유의미한 의미생성과 지식구성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찰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학습자가 자신 또는 그룹의 학습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제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성찰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네트웍 기반 성찰지원 도구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을 토대로, 협력학습과정을 지원하고 그룹인지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협력적 성찰지원 도구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학습자의 협력적 인식, (2)사고의 시각화, (3)대화(협상) 촉진, (4)메타타인지적 단서로 세분화하였으며, 성찰지원 도구의 구성요소로서 추석달기, 협력노트 및 메타인지 프롬프트 등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