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Syndrome(Met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3초

실천지침 이행률에 따른 대사증후군 중재 효과 비교: 직장인 남성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health outcomes according to intervention compliance in male Korean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 남경희;강지연;이연주;성숙희;장윤균;이지영;박일근;최태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56-16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how achievement of session goals contributes to outcomes of subjects after participation in a 12-week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MetS). Thirty office workers with MetS, aged $47.2{\pm}6.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rch to July, 2011.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d face-to-face counseling five times during the 12-week period. Counselors and subjects designed session goals for each round. The average of the goal achievement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compliance for each rou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tertiles of achievement rate: Low-compliance group (LC, < 59%), medium-compliance group (MC, 59-70%), and high-compliance group (HC, > 70%). Anthropometry, biochem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 program. After the intervention,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group, and waist circumference (WC)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C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I group. Changes in SBP and DB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p < 0.01). Changes in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Results for intake of total energy, protein, fat, and sodium, as well as rates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articipants (p < 0.05). The change in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The change of fruit serving siz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C group (p < 0.01). The number of risk factors for Me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and HC group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In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is interven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risk factors for Me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habits, especially in the High-compliance group.

전당뇨병 대상자의 유제품 및 어패류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의 관련성 연구 : 2015년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dairy products, fish and shellfish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prediabetes: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2015)

  • 박정섭;김경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447-459
    • /
    • 2017
  • 본 연구는 2015년 K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전당뇨병 대상자들의 유제품 및 어패류의 식품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전당뇨병군과 혈당 정상군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관련 생화학적 지표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전당뇨병군의 유제품 섭취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제품 섭취 중앙값 (187.0 g) 이상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혈중 TC 수준과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총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MUFAs 및 무기질 섭취량은 중앙값 이상 대상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BP와 혈중 LDL-C 수준은 중앙값 이상 섭취하였을 때 상승할 확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섭취 유제품의 유형과 함유성분을 고려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어패류는 식사의 반찬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섭취량 뿐 아니라 조리방법과 함께 섭취하는 식품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여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하게 규명할 연구수행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and Diagnostic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 고경선;허경화;원용림;이성국;김기웅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285-2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MetS) 진단지표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MT)의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동맥경화와 기타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남성 근로자 315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받고 수행하였다. 인체계측과 혈청생화학 항목에 대한 검사는 체성분분석기기와 생화학자동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MetS의 진단은 NCEP-ATP III 기준에 의하여 판단하였다. Carotid IMT는 고해상도 B-mode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경동맥 분지점과 근위부의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Carotid IMT는 $0.739{\pm}0.137\;mm$이었고 연령증가와 더불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중성지방 및 공복혈당도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Carotid IMT는 BMI(r = 0.170, p = 0.004), 수축기(r = 0.148, p = 0.011)와 이완기혈압(r = 0.123, p = 0.036) 및 HDL-cholesterol(r = -0.164, p = 0.00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MetS 진단지표와 carotid IMT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carotid IMT는 혈압(교차비 = 4.220, p < 0.01)과 MetS(교차비 = 1.301, p < 0.05)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혈압과 대사증후군이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 PDF

광주 전남지역 성인의(19-64세) 건강생활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 -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ssociations between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nd Awarenes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19-64 years) in the Gwangju-Jeonnam Area: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 천인애;류소연;박현희;박종;한미아;최성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4호
    • /
    • pp.217-228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광주 전남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 16,473명을 대상으로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려한 건강생활 실천은 흡연, 음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저염 식습관, 스트레스 인지 등 5개 영역으로 개별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경우 1점,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점으로 환산하여 건강생활 실천점수를 계산하였다(범위: 0-5점).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정, 다중로 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개별 건강생활 실천여부와 건강생활 실천점수와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19.8%가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개별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은 금연하는 경우(aOR=1.33, 95% CI=1.14-1.56), 고위험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aOR=1.54, 95% CI=1.27-1.88),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경우(aOR=1.48, 95% CI=1.28-1.72), 저염식습관을 실천하는 경우(aOR=1.30, 95% CI=1.13-1.51)에 대사증후군 인지의 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생활 실천점수는 0점에 비해 2-3점(aOR=1.64, 95% CI=1.01-2.66)과 4점 이상(aOR=2.47, 95% CI=1.51-4.04)에서 대사증후군의 교차비가 높았다. 또한 개별 건강생활 실천을 모두 고려할 경우 대사증후군의 인지에 대한 교차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이었다(aOR=1.50, 95% CI=1.29-1.74).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의 인지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영역과 다수의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경우에 대사증후군 인지가 높았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인지도 향상, 나아가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개별적인 건강행위별 접근보다는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등의 건강행위 개선 사업이 통합적으로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Low HDL cholestero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therogenic lipoproteins an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classified with metabolic syndrome

  • Fernandez, Maria Luz;Jones, Jennifer J.;Ackerman, Daniela;Barona, Jacqueline;Calle, Mariana;Comperatore, Michael V.;Kim, Jung-Eun;Andersen, Catherine;Leite, Jose O.;Volek, Jeff S.;McIntosh, Mark;Kalynych, Colleen;Najm, Wadie;Lerman, Robert 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92-498
    • /
    • 2010
  • Both metabolic syndrome (MetS) and elevated LDL cholesterol (LDL-C) increase the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We hypothesized that low HDL cholesterol (HDL-C) would further increase CVD risk in women having both conditions. To assess this, we recruited 89 women with MetS (25-72 y) and LDL-C ${\geq}$ 2.6 mmol/L. To determine whether plasma HDL-C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dietary components, circulating atherogenic particles, and other risk factors for CV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high HDL-C (H-HDL) (${\geq}$ 1.3 mmol/L, n=32) and low HDL-C (L-HDL) (< 1.3 mmol/L, n=57). Plasma lipids, insulin, adiponectin, apolipoproteins, oxidized LDL, Lipoprotein(a), and lipoprotein size and subfractions were measured, and 3-d dietary records were used to assess macronutrient intake. Women with L-HDL had higher sugar intake and glycemic load (P< 0.05), higher plasma insulin (P< 0.01), lower adiponectin (P< 0.05), and higher numbers of atherogenic lipoproteins such as large VLDL (P < 0.01) and small LDL (P<0.001) than the H-HDL group. Women with L-HDL also had larger VLDL and both smaller LDL and HDL particle diameters (P<0.001). HDL-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DL size (r=0.691, P<0.0001) and HDL size (r=0.606, P<0.001),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VLDL size (r=-0.327, P<0.01). We concluded that L-HDL could be used as a marker for increased numbers of circulating atherogenic lipoproteins as well as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ho are already at risk for CVD.

한국 성인에서 혈청 중성지방/고밀도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고밀도 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들과의 관련성: 2016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Triglyceride/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io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Using the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유아름;신새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7-139
    • /
    • 2019
  • Purpose : The lipid profile is a major predictive index for cardiovascular disease, but there have only been a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ratio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Korean population.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ree lipid ratio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6. Lipid ratios included triglyceride (TG)/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total cholesterol (TC)/HD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HD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cluded in this research were: systolic blood pressure $(SBP){\geq}140$, diastolic blood pressure $(DBP){\geq}90$, fasting blood sugar $(FBS){\geq}126$, $HbA1c{\geq}6.5$, body mass index $(BMI){\geq}25$, waist circumference (WC) $men{\geq}90$, $women{\geq}85$, and metabolic syndrome (MetS). A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lipid ratio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Results : 1) TG/HDL rati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BP, FBS, HbA1c, BMI, WC and MetS. 2) TC/HDL ratio was correlated to SBP, DBP, FBS, BMI, WC, and MetS. 3) LDL/HDL ratio had association with BMI, WC, and MetS. Conclusion : We identifi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lipid ratio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three lipid ratios were particularly strongly associated with BMI, WC, and MetS.

대사증후군의 인지와 신체활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데이터 마이닝 접근 (Factors influencing metabolic syndrome perception and exercising behaviors in Korean adults: Data mining approach)

  • 이수경;문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81-588
    • /
    • 2017
  • 본 연구는 기계 학습법 중 하나인 XGBoost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집단을 예측하고자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시도되었다. 이에 2009-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고 370,430명의 성인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대사증후군의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정도에 따른 단계로 3단계로 구분하였다:Stage 1(무인지, 무 신체활동), Stage 2(인지, 무 신체활동), and Stage 3(인지, 신체활동). 예측변수로는 5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중 공통으로 수집된 문항으로부터 161개의 특성을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R program을 이용하여 XG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확도는 0.735 이었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10개의 특성은 나이, 교육수준, 체중조절시도 경험, EQ-5D 운동능력, 영양표시 확인, 개인 건강보험가입 유무, EQ-5D 일상활동, 금연광고경험 여부, 통증유무, 당뇨에 대한 보건기관의 교육 경험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XGBoost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계층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성인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mong Korean adults)

  • 안서은;전신영;강민지;신상아;위경애;백현욱;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13-324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성인 614명의 3일치 식사조사 자료를 한국인 상용식품의 항산화 비타민 함량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항산화 비타민(비타민 A (${\mu}g$ RE, ${\mu}g$ RAE), 레티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비타민 E)의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항산화 비타민 섭취밀도에 따라 대상자를 3분위로 나누어 대사증후군 및 그 위험요인의 오즈비를 계산한 결과, 남성에서 레티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낮았으며, 여성 대상자에서도 레티놀의 섭취 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중간 및 높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낮았다. 또한 남성 대상자에서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고혈당의 오즈비가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여성 대상자에서는 비타민 A (${\mu}g$ R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복부비만 오즈비가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 성인에게서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 또는 개입연구가 실시되어 인과관계를 더욱 명확히 파악하게 된다면, 대사증후군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식생활 관련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moking Habits and Neuropeptides: Adiponect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Leptin Levels

  • Kim, Ki-Woong;Won, Yong Lim;Ko, Kyung Sun;Roh, Ji W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91-9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level of neuropeptides among current smokers, former smokers,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and how smoking habits affect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MetS). Neuropeptide levels,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indices were determined among male workers; 117 of these had never smoked, whereas 58 and 198 were former and current smokers, respectively. The total sample comprised 373 male work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howed that current smokers attaine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fat thickness values than former smokers and those who had never smoked. Current smokers' eating habits proved worse than those of non-smokers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The level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 the neuropeptides in the case of former smokers was $23.6{\pm}9.2pg/ml$, higher than that of current smokers ($20.4{\pm}6.1$)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22.4{\pm}5.8$) (F = 6.520, p = 0.002). The level of adiponectin among former smoker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current smokers, whereas leptin levels were higher among former smokers than current smokers;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diponectin and triglyceride among non-smokers (odds ratio = 0.660, ${\beta}$ value=-0.416, p < 0.01) and smokers (odds ratio = 0.827, ${\beta}$ value=-0.190, p < 0.05). Further, waist circumference among non-smokers (odds ratio = 1.622, ${\beta}$ value=0.483, p < 0.001) and smokers (odds ratio = 1.895, ${\beta}$ value=0.639, p < 0.001) was associated with leptin. It was concluded that cigarette smoking leads to an imbalance of energy expenditure and appetite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neuropeptides such as adiponectin, BDNF, leptin, and hsCRP, and influences food intake, body weight, the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and abdominal fat, which are risk factors for Met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igh Density Lipoprotein from Egg Yolk (EYHDL) Improves Dyslipidemia by Mediating Fatty Acids Metabolis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Yu, Zhihui;Mao, Changyi;Fu, Xing;Ma, Meih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9-196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gh density lipoprotein from egg yolk (EYHDL) on serum, hepatic and fecal lipid and fatty acids (FAs) levels and on gene expression involved in FAs metabolism. Male KM mice were fed either normal diet (ND; n=20), high fat diet (HFD; n=20), or high fat diet containing EYHDL (EYHDL; 0.6 mg/g, every day by oral gavage, n=20) for 100 day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effects of treatments on biochemical parameters, FAs profiles and involved gene expression were analyzed. Our results revealed that EYHDL markedly suppressed the body weight gain, accumulation of abdominal fat tissues, serum concentrations of LDL-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s, hepatic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 accumulation, while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 of HDL-cholesterol (HDL-C). EYHDL intake also increased total cholesterol (TC) excretions compared with HFD group. Moreover, it alleviated the severity of fatty liver and improved glucose and insulin tolerance compared with HFD. More importantly, EYHDL partially normalized FAs profiles in serum, liver and fecaces and neutralized the HFD-induced upregulation of SREBP-1c, Acaca, Fasn, GPAT and Scd1. In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EYHDL may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metabolic disturbances that occur in HFD mice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dietary recommenda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MetS).